[의치한약 정보성 글]개원 수입과 소득(+약사, 문과 전문직 일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669614
집 살 수 있을까?
의치한 가야하는 이유
국시 공부 하기 싫다...
그래서 얼마쯤 벌까 조사해봤습니다.
이미 오르비에서는 치과의원과 한의원에 대해 2015년 경제 총조사와 국세청 자료를 기초로 Mandible 선배님께서 정리해주셨는데 의원을 추가하고 기타 자료를 추가해서 통으로 적어보겠습니다.
>명심할 것: 니가 벌 수 있는 돈은 아니야~
>개원가는 날이 갈수록 어려워짐. 지금 입학하는 학생들은 평균 12년 정도는 후에 개원가로 나갈 것이므로 참고해야함. 12년 전과 지금을 비교하면 지금은 암담한듯...
>주의사항
스압 오짐
다시 말한다. 니가 벌 수 있는 돈은 아니야
돈만 보고 직업선택 ㄴㄴ
갈 수 있는 과의 소득이 적다고 울상짓지 말고 부동산, 주식 공부나 합시다
노동소득<<<<<자본수익
>선요약
2016년 기준 1인당 개원 "평균" 1개월 영업 이익(정확하지 않음)
의사 1,326만원
치과의사 1,242만원
한의사 827만원
맹점:
의사는 과 상관없이 통틀어 조사함. 의사가 짱이네 ㄴㄴ
1인당 영업이익을 조사한 통계가 아니고 의원당 영업이익 통계와 의원당 의료인 수로 나눈 값이라 부정확함
의원 규모 관계 없이 영업 이익 평균이라 몹시 부정확함
>분위별 근로소득 점유율(2017년 기준)
https://www.yna.co.kr/view/GYH20191006000200044
1인당 평균소득
상위 0.1% 2억 6,417만원
상위 10% 1억 1,273만원
>보건의료 수급추계
http://www.seminarbiz.kr/news/articleView.html?idxno=12724
2020년 2025년 2030년
의사 -1,837/ -4,339/ -7,646
치과의사 1,566/ 1,364/ 1,391
한의사 1,084/ 1,364/ 1,391
단, 정말 의사가 부족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 있음.
>면허 의료인 수(2017)
의사 121,638 + 매년 약 3,000명
치과의사 30,333 + 매년 약 800명
한의사 24,560 + 매년 약 800명
약사 68,616 + 매년 약1,900명(수정)
>개업 대비 폐업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138
2019년 기준
의원 1108/2045 54.1%
치과의원 534/911 58.6%
한의원 794/1095 72.5%
약국 1713/2367 72.4%
개원하면 이만큼 폐업한다는 게 아니라 개업 비율 대비 폐업 비율임. 오히려 아래의 생존율 참고.
>업종별 5년 생존율(수도권/비수도권)
http://www.dent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94
일반의원 59.4/55.3
치과의원 73.7/80.9
한의원 58.9/63.8
약국 38.7/39.3
>수도권 업종별 생존 기간'
http://www.dent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94
10년 이상
일반의원 49.6%
치과의원 52.7%
한의원 43.4%
약국 38.4%
>2010년과 2015년을 비교하였을 때 10만 명당 의료기관 수 증가율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5111
의원 0.04%
치과의원 0.09%
한의원 0.08%
>2010년과 2015년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5111
인구 증가율 0.05%
의원급 의료기관 수 증가율 11.89%
>2015년 매출액/영업이익/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5111
월평균 환산 과정에서 오차 발생 가능
의원 5850만원/1990만원/34.01%
치과의원 4820만원/1740만원/36.09%
한의원 2660만원/910만원/34.21%
>의료기관종별 의료기관 당 의료인 수(의원은 의사, 치과의원은 치과의사, 한의원은 한의사)
통계청(2016년 기준)
http://210.179.230.152:8083/statHtml/statHtml.do?orgId=358&tblId=DT_15358N_EB003&conn_path=I2#
의원 1.5
치과의원 1.4
한의원 1.1
위 아래 통계로 보면 대충 1인당 영업이익(2015년과 2016년의 기관 당 의료인 수 거의 변화 없다고 가정하면)
의사 1,326만원
치과의사 1,242만원
한의사 827만원
>1사업장당 신고수입금액(백만원)
2016년 기준
방사선과 1,537
일반외과/정형외과 1,113
안과 1,088
산부인과 1,063
신경정신과 706
피부비뇨기과 698
일반과/내과/소아과 615
치과의원 572
이비인후과 540
한의원 310
성형외과 205(??)
>2020 국감 자료
https://www.etoday.co.kr/news/view/1952274
2018년 국세청 전문직 개인사업자의 업종별 종합소득 신고 자료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1인당 평균 2억2640만원
변호사 1억 1580만원
회계사 9830만원
변리사 7920만원
>고소득전문직 개인사업자 소득신고 현황(2019년 8월 기준 평균보수, 천원)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7325
1위 안과의사 41,705
2위 산부인과의사 26,721
3위 일반과의사 24,771
4위 성형외과의사 20,832
5위 피부과의사 20,205
6위 변호사 17,052
7위 치과의사 17,000
8위 한의사 10,070
9위 변리사 9,704
10위 약사 9,599
11위 회계사 8,030
12위 세무사 6,487
13위 관세사 6,420
14위 수의사 6,231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2019년.12월.18일 발표
주당 근무시간
의사 45.9시간, 치과의사 45.0시간, 한의사 49.1시간
단, 의사 26개 과목에 대한 조사이며 교수, 봉직, 개원의, 전공의 평균이라 한계 있음
////////////////
치과 중심(경제 총조사 참고)
http://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23268
http://www.dentist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70
http://www.dentalarir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47
>치과의원은 경제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990년도 후반, 2000년도 후반에 치과의료비는 급감하였음
>지역별 치과의원 수
1위 서울 4,588개
2위 경기도 3,643개
3위 부산 1,193개
4위 경남 814개
5위 대구 809개
>지역별 치과의원 증가율
1위 경북 25.5%
2위 충북 23.3%
3위 제주 23.2%
4위 전북 21.1%
5위 전남 20.5%
수도권보단 지방의 증가율이 훨씬 큼. 서울은 6.0%. 서울 포화로 해석 가능함.
단, 모든 개원의 형태가 신규개원은 아니므로 수도권 개원이 불가능한 것은 아님.
>지역별 치과의원 월평균 매출
1위 충북 5,410만원
2위 충남 5320만원
3위 강원 5260만원
공동 4위 전북,대전 5,000만원
부산, 대구, 서울, 광주 등 대도시는 13~17위에 위치
>치과의원 종사자 규모별 영업이익/사업체 수(%)
1(0.2%): 24백만원
2~4(57.0%): 122백만원
5~9(35.2%): 232백만원
10~19(6.3%): 458백만원
20~49(1.2%): 936백만원
50~99(0.1%): 2,997백만원
>매출액규모별(백만원) 치과의원 수(%)/평균 종사자 수/평균 영업 이익(사업체 별)
50백만원 미만 -- 1.3%/3.3명/9백만원
50~100 -- 2.5%/3.24명/21백만원
100~500 -- 59%/3.8명/97백만원
500~1,000 -- 27%/5.8명/204백만원
1,000~5,000 -- 10%/12명/514백만원
5,000~10,000 -- 0.2%/36명/2,488백만원
10,000~20,000 -- 무시/224명/5,345백만원
종사자 수 = 치과의사 수 아님
보통 치과의사 1인 원장 치과면 종사자는 총 3~4명 되는 듯
매출액 1~5억 구간이 가장 많고 평균 종사자 수 3.8명인 것으로 보아 대부분 1인 원장 치과로 유추
이 구간의 평균 영업 이익은 연 9,700만원
종사자 5.8명인 치과도 대부분 원장 1~2인 치과로 생각되며
이 구간의 평균 영업이익은 연 2억 400만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형 1.사탐으로 개꿀빨고있는 공대 지망 에겐남새끼 2. 사탐으로 런했다가 고통받는...
-
씨이발 담요단 미친년들 16
스카에서 하루종일 이기상만보내 안질리나 +김기현
-
9덮 사문 45 0
보정 1 되너요?????????? 제발 ㅜㅜ ㅠㅜㅜ 어처구니없는실수를하다니
-
인생은 운빨 망겜 16
앞으로 뭐가 더 망가지려나
-
홍익대 0
09인데 내신 ㅈ반고 (5등급제) 내신 1.3에 수능 342332면 홍익대 인문 ㄱㄴ?
-
2일 1실모 정도 하나요? 일단 9모는 50점이긴 했어요 ㅎㅎㅎ 대성 패스 밖에...
-
1컷으로 가능인가요.. ㅜ ㅜㅜ ㅜㅜ 제발 공통3틀확통1틀이에요 9덮 확통 강k 김기현
-
ㄹㅇ
-
41 41아면 22는 뜨나요
-
진짜 울 뻔.. 감동적인 해설이다 진짜 개많이 배워간다
-
떡볶이 분석하는 유튜버인데 걔가 낸 떡볶이가 우리 집 앞 편의점에 들어옴 난 그거 오늘 먹을거임
-
나는 듣보다 7
듣보니까
-
9모땐 87이얶ㅆ는데 독서에서 5문제 빼고 다 틀렷어요..... 하.........
-
지가 뭔데 신의 칭호를 갖다 쓰노?
-
미적분 수분감 0
시발점 끝내고 쎈이나 마플 이런거 안풀고 수분감 넘어가도 될까요? Step0부터요...
-
저는 젊어요! 6
아직 안 늙었어요! 04년생이에요!
-
하루종일 시간남으면언매도풀어요
-
고3 9모낮은4등급입니다. 수능공부는 안해봐서 독서 문학 기출 풀고있는데 독서는...
-
제 주변엔 4수하는동안 평가원 수학 2틀하고 의대간 사람 있음
-
실모 추천좀 1
킬캠 Omega + 블랙시리즈 신성규 쌤 강사모 해모 이정도 풀고있는데 좀 어려워도...
-
모든 부양비 노령화지수 다 편하게 쓸수 있음 나이순 아니라 선지에서 물어볼때 유부노...
-
프로모터 샀어 4
흐흐흐
-
이해원 시즌2 어려웠으면 설맞이 시즌2 사면 안되나요? 0
수1은 괜찮았는데 수2는 좀 어렵고 미적이 대체로 많이 불지른 느낌이였는데 이러면...
-
정신 헤롱헤롱할때 ㅇㅇ
-
6모 96, 9모 92인데 킬캠 이점수면 수능때 버틸만함? 드릴이런거 안듣고 수학...
-
일단 나부터
-
이감 6-3 13
언매 응시 비문학에다 40분 넘게 씀(독서 너무 못한다는...) 가채점 결과:...
-
저는 요즘 몸상태 신경 안 쓰다가 몸살감기에 걸려버렸네요.이제 수능이 얼마 안...
-
댓 달아주십쇼 ㅠㅠ
-
다들 n축 쓰나요? 15
전 뭔지 몰라서 못쓰고있는중
-
명목론 실재론 틀려서 48점인가 개빡팀 아직도
-
공부해야되는데 10
애니 여운이 남아서 공부가 안잡혀
-
나 스스로도 어려운 순간들 맞닥드리고 이럴 때마다 이것 또한 스스로 능력 쌓는...
-
빠른정답이라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지듣노 1
-
문학 비중을 조금 줄여도 상관없겠죠? 3시간 국어한다치면 반반씩 쓰는데 문학...
-
적백인분들은 3
문제를 딱 보면 어떤 요소로 어떻게 출제한지 딱 보이는건가여..? 너무 부럽다 대체...
-
9덮 수학 82m 100 미적이 좀 문제가 아쉽네.. 4
미적 어려운거 원합니다 ...
-
노유부가 젤 좋지 않나? 부양비랑 노령화지수 다 분모가 아래있어서 이게 젤...
-
이해햇어.. 0
(0,7) 이런것도 사실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 7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
이제 더 이상 실모치는게 싫지 않음
-
화작 96 확통 88 영어2 경제 50 사문 39 긴장 졸라 타는 성향이고 사설은...
-
무휴반 0
여간 힘든게 아니다
-
나심심해
-
시즌1보단 쉽긴한데 또 그렇게 마냥 쉽지도 않음
-
오랜만에 재공유
-
꿀모 풀지 유니온 풀지 고민임... 이왕이면 기하 어렵고 좋은 걸로 풀고 싶은데
치대는 저평가
과연...
약사 정원이 매년 1500명 ㄷㄷ
좀 많긴 하네요. 몇 년 전에 신설 엄청 돼서 그런지
정확히는 1750명으로 국시합격자는 1900명씩 나와요..
더 많았네요...저는 그냥 2016년-2017년-2018년 변화로 대충 썼는데 고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무리 봐도 치대정원 너무 많은듯
ㄹㅇㅋㅋ 좀 많은거 같긴 합니다. 들어올 땐 많은 게 좋았는데...
개원의의 본인 소득은 자신도 모른다는 얘기가 있죠. 경비처리하고 이런거 포함하면 일반적인 유리지갑 직장인이랑은 비교하기 힘든..
맞습니다...
개원소득과 수익으로 따지면 가정의학과와 한의원은 어느쪽이 평균적으로 나을까요?
연간 영업이익을 보면
가정의학과 2012년 기준 의원당 9,826만원
한의원 2015년 기준 의원당 1억 920만원
2010년과 2015년 사이 의원의 영업이익은 약 45% 증가하였습니다. 매해 8%씩 증가했다고 치면
가정의학과의 2015년 예상 의원당 영업이익은 1억 2,377만원입니다.
의원당 의사 수가 2016년 기준 의원은 1.5명 한의원은 1.1명이지만 의원은 과별 평균이 아니므로 의사당 영업이익은 불확실합니다.
인턴 레지던트 하면 죽을만큼 힘든가요?? 할만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