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학번 의머생 [778872]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0-12-07 10:29:57
조회수 1,302

입시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653770

수험생 여러분 대학을 고르실 때 가장 고려해야 하는 몇가지 조건에 대해서 적어볼게요


1. 통학


 학교와 집과의 거리가 왕복 1-2시간 이내 라면 괜찮아요 하지만 그 이상 시간이 걸린다면 통학에 너무 많은 시간,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어 대학생활애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어요
 물론, 자취나 기숙사가 가능하다던지 그런 통학에 즐거움을 느낀다던지 개인차는 있습니다. 통학이 힘든 학교를 고려하신다면기숙사나 자취 대책을 잘 세우시길 바랍니다


2. 학과


 대학을 고르실 때 가장 중요한 점 중에 하나가 학과인데요 이미학과를 정해두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절대! 점수에 맞춰서 높은 대학을 쓰느라 원하지 않는 학과를 고르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낮은 학과를 써서 전과하려는 분들도 계실텐데 전과에는 큰 성실성이 필요합니다. 고3때 수험생활에서 해방되어 갓 대학에 입학해서 행복하고 싶은 수험생들이 과연 전과를 할 수 있을 충분한 성실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학과를 생각하지 못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최대한 자기 적성을 찾아보시고 정 못 찾으시겠다면 차라리 취업을 위한 학과를 고르세요


 문과라면 개인플레이가 좋다 > 경제

 사람들과 협력하는 팀플이 좋다 > 경영, 사회과학


 이과라면 물리를 잘한다 > 

 삼성전자,하이닉스,한전 가고싶다 > 전자전기

 현대,기아 자동차 가고싶다 > 기계

 그외 다른 분야들 > 화공, 토목, 건공 등등

 물리를 못한다 > 방학동안 물리를 빡세게 팔 자신 없으면

화학과 생명과 식품영양학과 등등


3. 집안 사정


 만약 여러분의 대학 등록금을 집에서 지원을 해주셔서 등록금 대출을 받아 대학교를 다녀야한다면 그에 대한 방안을 열심히 고민해보셔야 합니다. 하향지원을 해서 장학금을 받는다던가 대학생활동안 과외를 해서 등록금을 번다던가(개인차, 힘듦) 국가정책으로 장학금을 받는다던가 군 장학생으로 장학금을 받는다던가(개인적으로 추천) 대학교를 무사히 졸업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졸업했을때 4년치 등록금의 빛이 있다면 출발선이 남들보다 힘들어집니다.. 이에 대한 고려도 충분히 이뤄지면 좋겠어요


 이정도 적어봤는데 이외에도 고려해야될 점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생각나신다면 댓글에다가 적어주시면 좋겠네요

 여러분들 점점 학벌의 중요성은 낮아지고 있어요 물론 절대 학벌이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블라인드 채용,ncs시험, 지역인재 제도등 점점 학벌이 불리하더라도 개인의 노력으로 그걸 이겨낼수 있는 사회가 되고 있습니다 오히려 학벌이 안좋아도 유리해 지는 경우도 생기고 있죠 이제 좀 sygsshjges 그만 외칩시다 우리 모두 힘들게 수능점수 따냈으니까 후회없는 대학진학 하자구요 이상 저였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