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수능영어 해설 1편(18번부터 24번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571162
21년도 수능해설 1.pdf
지방에서 수능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영어강사입니다. 수능독해문제 해설을 순차적으로 올릴 예정이니 내년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해설은
1. 주요 문장 해석
2. 유형별 접근법 소개
3. 기출에 녹아있는 개념 및 주제 분석
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 댓글이나 쪽지로 보내주세요.
18번 글의 목적
You can bring your items for donation to our booth
Just drop off the items there during usual library hours
The donated food should be non-perishable like canned meats
We will distribute the food to our neighbors
->음식기부에 참여하는 방법 안내
대의파악 문제에서 정답의 근거
1. 명령문 2. 조동사 (must, should, had better) 3. 부정표현
19번 심경 변화
지문의 초반부
I had lost the piano contest to my friend
I was deeply troubled and unhappy
->필자의 심경이 부정적인 상태임을 알 수 있음.
지문의 후반부
Instead, I should focus on myself and my own improvement.
At last, my mind was at peace.
->자신의 향상에 집중해야 함을 깨닫고 마음의 평화를 얻음.
심경변화 문제풀이 팁
심경변화 문제는 반드시 지문에서 주인공의 심경이 한 번 변해야 한다. 즉, 지문의 마지막 부분과 처음부분이 심경의 대조를 이루며, 마지막 부분에 집중하면 바로 문제가 풀린다.
1)처음이 부정적이면 마지막은 긍정적이다.
2)처음이 긍정적이면 마지막은 부정적이다.
수능은 압도적으로 1번 상황이 출제된다.
20번 주장
앞서 말한 대의파악 정답의 근거 세 가지(명령문, 조동사, 부정표현)를 기억하자.
It’s clear that we should concentrate our own expertise on those domains of choice that are most common and/or important to our lives, and those we actively enjoy learning about and choosing from.
이것은 분명하다(뭐가?)/우리가 우리 자신의 전문기술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어떤 전문기술?)/선택의 영역에(어떤 영역?)/우리의 삶에 가장 공통적이고 중요한/그리고 영역들에(어떤 영역?)/우리가 활동적으로 배우길 즐기며 선택하는/
이런 식으로 해당 문장을 꼼꼼하게 해석하면
정답선지인 1번: 자신에게 의미 있는 영역을 정해서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를 고를 수 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는 3번: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데 해당 선지를 골랐다면 평소에 감독해로 문제풀이를 하고 있는 건 아닌지 점검해야 한다.
또한 이 지문에서는 general(universal) v.s. specific 개념이 사용되었는데 20년도 9평 34번 빈칸추론 문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It does not assume that there are universal social domains, preferring instead to discover domains empirically as aspects of each society’s own classificatory schemes ― in other words, its culture.)
21번 함의추론
함의추론문제는 밑줄 친 부분이 비유적/추상적으로 쓰인 경우가 많으며, 해당 표현의 원관념을 찾는 것이 해당 유형의 출제의도이다.
Environmental journalists have to play the role of the ‘lion’s historians’.
이 문장을 보면 밑줄 친 부분이 환경기자가 해야 할 역할을 ‘사자의 역사가들’로 비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로 다음 문장에서 이 비유를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They have to put across the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 to people who make the laws.
그들(Environmental journalists)이 환경에 대한 관점을 국회의원에게 전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해결방안)
The present rate of human consumption is completely unsustainable.
현재 인간소비의 정도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하고 있다. (문제제기)
그리고 지문의 마지막 문장에서
It’s time we changed our thinking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rights of humans and the rights of the rest of the environment.
인간의 권리와 나머지 환경 사이의 권리에 차이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고 정리하고 있다.
(해당 부정표현을 긍정표현으로 바꾸면 ‘인간과 환경의 권리는 동등하다’ 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을 ‘urging a shift to sustainable human behavior for nature’로 고를 수 있다.
자연을 보는 관점(community v.s. commodity)과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를 소재로
17년도 수능 20번 요지문제로 출제된 적이 있으니 참고해보자. (They draw too heavily, too quickly, on already overdrawn environmental resource accounts to be affordable far into the future without bankrupting those accounts.)
22. 요지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그래서, 음악 평론이 예술에 대한 여론을 선도하는 대신에(인터넷 이전에 그것들이 그랬던 것처럼), 음악 평론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중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해당 문장을 해석하면 정답선지인 1번: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음악 비평이 대중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를 고를 수 있다.
예술 소재의 지문은 비교, 대조, 변천사로 글이 전개되므로 해당 문장을 꼼꼼하게 해석하면 빠르게 정답을 결정할 수 있다.
(참고칼럼 링크 https://orbi.kr/00030502997)
23. 주제
지문의 초반부 문장과
Difficulties arise when we do not think of people and machines as collaborative systems, but assign whatever tasks can be automated to the machines and leave the rest to people. This ends up requiring people to behave in machine-like fashion, in ways that differ from human capabilities.
지문의 후반부 문장이
When we divide up the machine and human components of a task in this way, we fail to take advantage of human strengths and capabilities but instead rely upon areas where we are genetically, biologically unsuited.
(우리가 과업의 기계와 인간적 요소들을 이런 식으로 나눌 때, 우리는 인간의 강점과 능력을 살릴 수 없고, 우리가 유전적으로, 생물학적으로 부적합한 영역들에 의존하게 된다.)
서로 밀접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이를 또 다른 표현으로 정리하면
정답선지인 issues of allocating unfit tasks to humans in automated systems 가 된다.
24. 제목
People don’t usually think of touch as a temporal phenomenon, but it is every bit as time-based as it is spatial.
도입부에 사람들의 통념(촉각을 시간적 현상으로 생각하지 않음)이 제시되어있고
Your ability to make complex use of touch, such as buttoning your shirt or unlocking your front door in the dark depends on continuous time-varying patterns of touch sensation.
후반부에서 촉각의 정교한 사용능력이 지속적으로 시간에 따라 바뀌는 패턴들에 달려있다고 정리하고 있다.
전형적인 통념 비판형 지문으로 글의 후반부에 집중하면 정답선지: Time Does Matter: A Hidden Essence of Touch를 고를 수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모교 지나갈 때 장군 진급 축하 현수막 걸리는 거 보면... 0
왜 어르신들이 별 다는 것을 대단하게 보는지 조금은 이해가 가긴 합니다.중령에서...
-
아이민만 보면 알수있듯이 개틀딱 화석쉑입니다. 한때 계약학과의 가장 큰 문제점이...
-
ebs연계수특 공부할때 강민철선생님의 강e분이 좋나요 아님 전형태선생님의 나bs가...
-
사문 0
지금부터 드가도 늦지 않았겠죠...?진짜 대가리 깨져서 계속 화학 하고 있었는데...
-
응..
-
오늘 ㅅㅂ 없나 0
슈뱅 왜 없노
-
개 ㅂㅅ인 ㅈ반고에서 공부좀 깔짝거리면 연대도 갈 수 있다는게 웃겨 죽겠구나 (기만아님 자괴감 듦)
-
[소신발언] 공부 잘하는게 이제 대단한게 아닌것처럼 느껴짐 6
사교육도 예전에 비해 엄청 많이 풀리고 "그" 방까지 관여해서 이제 공부도 예전에...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동의동의ㅠㅠ
-
ㄱㄱ혓
-
시대 문항공모 10개중 9개 선정이라니...
-
언기물진데 들어볼만한 강의가 있나요?
-
잠시 꿈을 꾸었다고 생각하자
-
계속 사회에 어느정도 남아있었으면 좋겠음 나도 고등학교 자퇴하고 싶었던 순간이...
-
오늘한것 0
낮술 롤체 술 오비르
-
현역인데 왜 공부해야해
-
기지배처럼 ~~하구 이럼 ㅋㅋ 귀여워
-
다시 애니를 보고 싶은데 쉽사리 입문작을 못정하겠네요 기준은 2022년도 이후에 나온 작품으로..
-
엔티켓 4규 이해원 이로운 드릴 설맞이 지인선 서킷브릿지엑셀 실모 엔티켓은 할지말지 고민되네
-
인생 망했네
-
지금 림잇 생윤 듣고있는데 유교윤리 설명해주실때 공자랑 맹자를 구분으시는거같지는...
-
화작해도되나요? 한개잘못봐서틀리긴함ㅜㅜ
-
내일 놀까? 6
뭔가 좀 그런데 공부 조금만 하죠? 그럼 뭔공부를 해야하는가? 국어 영어 탐구...
-
ㅓㄴㅁ/;ㅣㅏ러ㅏㅣㅓㅈ다랴ㅐ;저댜ㅐ;멎ㄷ럊ㅁ러댜ㅐ; 2
세엣스으
-
그냥 다 비슷한가요?
-
어 형이야.. 6
-
여목 낸거 인증함
-
재수의기운이느껴짐 ㅅㅂ
-
반수생이고 4월에 공통 뉴런 끝내고 5월부터 미적분 들어가려고 하는데 늦을까요?...
-
죽일래!
-
근데 11111이면 놀아도 되나? 3모 그냥 증류수급 표본에서 11111인데 기분...
-
크악심심해 9
인증메타 안도나요
-
현실은 영재고한테 따잇
-
5058하면 무조건 갈 것 같은데 제발ㅠ
-
나니가 스키? 2
망나니 스키
-
현역공부 0
수학은 1~2고정으로 뜨는데 국어가 3~4 영어는 운좋으면 3뜨는 정도입니다...
-
책으로 렙 다 올림
-
경찰대는 뭐라고 울어야하지
-
가장 증원폭 큰 대학중 하나인 충북대는24 4925 12526 200(아마도 거의...
-
전생슬 얘기하는 줄 알았잖아
-
수특 독서 0
하루에 2지문씩 한달컷 도전
-
모솔 특) 0
연애안해봄
-
다들 얼마를 쓰는거임..?
-
아 치대가고싶다 3
ㅇㅇ
-
몇렙부터 옯창인가요 18
ㅈㄱㄴ
-
약간 체형이 E.T가 되가는거 같구나 이게 맞나
-
낼부턴 진짜 달린다
-
기분 다운됨 6
전처럼 불쾌한게 아니라 차분해짐 비 온 뒤 땅이 굳어지듯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