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HfD5kEN80CQM [753526] · MS 2017 · 쪽지

2020-12-04 00:22:20
조회수 298

Sex하고싶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514074

절망에 빠진 인간이 가장 원하는 건 절망에서의 도피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절망의 상태에 빠져있길 지속함으로써 일종의 위안을 얻는데 이는 도피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에게 절망은 너무나도 큰 존재로 다가오기에 다른 사회적 규범이나 그 동안 지녀왔던 가치는 무의미해지곤 한다. 그런 상황에서의 반응은 흔히 두가지로 나타나는데 비본질적인 자아를 딛고 본질적인 자기자신과 마주하는 경우와 모든 것을 부정하고회의에 빠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나)의 주인공은 베트남 전에서 귀환한 후 일상적인 것들에 회의와 권태를 느끼고 있다 이는 그가 한계상황 속에서 격렬한 감정을 너무나 많이 경험해왔기 때문인데 이런 그에게 죽은 아들의 훈장을 찾는 노인의 행동은 일변 도전으로 다가온다. 

그는 노인에게 허무를 알려주려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옳은 것은?

1. 노인도 결국 도피행위를 하고 있을 뿐이야. 삶의 허무는 자신이 알고있는 이상의 실현이 가로막혔을 때 일어나는 무력감의 일종인데 허무 그 자체가 이상의 부존재를 의미하진 않기 때문이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