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l pro set11 4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409525
저작권 상 올리기 힘들어서요 ㅠㅠ
물질을 물에녹일 때 출입하는 열량은 물의 양과 상관이 없으며 녹이는 용질의 양에 비례한다.라고 코멘트가 나와 있는데 왜 맞는 말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0모 못봤다고 우울말고, 잘봤다고 우쭐말자. # 챙겨가야할 문항들로는...

완전히 녹는다고 가정하면 맞는 말 아닌가요??Q=CMT로 판단하면 아니지 않나요?

그건 출입한 열량 크기 측정할 때 쓰는거..예시를 들자면(비열은 다 같다고 가정)
용질 1g을 용매 99g에 녹여서 2도 올라간거랑
용질 1g을 용매 199g에 녹여서 1도 올라간거랑
출입한 열량은 같잖아요??
근데 용질 1g을 용매 99g에 녹여서 1도 올라간거랑
2g을 198g에 녹여서 1도 올라간거랑
출입한 열량은 2배 차이납니다!!
네넵
어쨋든 둘 다 출입한 열량인데 명확히 이해가 안 되는데 어떡하죠 ㅠ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하기는 한데 ㅠㅠ

그럼 용질을 각설탕으로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용질 1g이면 각설탕 1개만큼 힘을(??)낸다고 생각하면
용질 1g을 50ml에 녹이든 100ml에 녹이든 결국 각설탕 하나 녹이는 건데
용질 1g을 녹이는거랑 용질 2g 3g을 녹이는 거랑
각설탕 넣는 양 자체가 다르니까요!!
(억지 설명 죄송합니다;;)
넵 감사합니다!!! 그냥 약간 두 가지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죠? 1.반응할 때 열량 2. 용질의 양에 따라 반응을 만들어내는 정도는 비례관계이다. 따라서 이 둘을 구분해서 생각하기로 정리하면 되겠죠?

넹 일단 4단원 개념 다시 훑어보시고 팟팅하십시오!!지금부터는 개념정리랑 수특 수완 보는 게 합리적이겠죠?

저는 고인물이지 썩은물은 아니라 훈수 둘 처지는 아닌 거 같습니다!!지금은 복습이 더 좋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