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국어 연구소] 파이널 15회차 리뷰 및 Q&A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249424
안녕하세요, 상상 국어 연구소 검토위원 김십수입니다.
<작성자 소개>
2012 언어영역 백분위 99
2015 국어B영역 백분위 99
2016 국어B영역 백분위 98
2020 국어영역 백분위 97
2021 6평 국어영역 100점
2021 9평 국어영역 98점
2020 P.I.R.A.M 국어 검토진 참여
2020 P.I.R.A.M 국어 질답 조교
2020 6평 대비 상상 국어 베타 테스터
2020 상상 국어 연구소 콘텐츠 검토 위원 및 온라인 조교
2020 전형태 모의고사 검토
오늘은 파이널 상상 모의고사 15회차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게시물은 시험 내용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으니, 아직 해당 회차를 풀지 않으신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수능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올리게 되는 리뷰입니다.
수도권의 경우 코로나 대응 단계까지 격상되는 바람에 여러모로 멘탈이 불안정할 수 있는 상황인데요.
아래 리뷰 참고하셔서 상상 모의고사 잘 풀어보시고 남은 시간 동안 알차게 공부하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화작언 영역>
1.~10. 화작
특기할 만한 부분은 없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풀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11.~15. 문법
전체적으로 기본 개념을 묻는 문제드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1~12번에서 중세 국어를 다뤘는데, 개인적으로는 올해 중세 국어를 지문형 문제로 다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이번 회차의 해당 문제들은 난도가 평이한 편이어서 풀이에는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13번의 의존 명사/어미/조사 구분이 그래도 문법 영역에서는 킬러 문제로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이 부분은 평소에 정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다면 시험장에서 해결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니 미리미리 관련 개념 꼭 챙겨두시길 바랍니다. 14번의 음운론 문제와 15번의 필수적 부사어를 묻는 문제는 무난하게 해결하실 수 있으셨을 거라 봅니다.
<문학 영역>
22.~26. 박영준, 모범 경작생 + 송영, 호신술
좀 당황스러운 구성이라고 느끼셨을 수 있습니다. 소설과 극이 합쳐진 형태인데요. 지문이 시험지의 한 면하고도 절반을 차지할 만큼 길었습니다. 이 정도면 문제 해결보다 지문 이해가 급선무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문제 난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구성이라 힘들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31.~33. 송수권, 등꽃 아래서 + 황동규, 세일에서 건진 고흐의 별빛
올해 EBS에 작품이 수록된 작가들 중 개인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작가 중 한 명인 송수권 시인의 작품이 출제됐습니다. 전혀 공부하지 않은 상태로 접하게 되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작품이니, 수능 직전에라도 현대시와 고전시가 작품들은 반드시 보고 들어가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표현 방식과 작품 이해를 묻는 문제, <보기>의 감상 기준을 토대로 감상하는 문제 모두 난도는 높지 않았습니다. 작품에 대해 확실히 이해를 하고 푸는 게 역시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39.~41. 작자 미상, 최고운전
앞서 시간을 많이 쓰게 한 작품들에 비하면 상당히 수월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이 출제됐습니다. 내용도 어렵지 않았고 문제도 어렵게 느낄 만한 부분은 없었습니다.
42.~45. 작자 미상, 논매기 노래 + 작자 미상, 정선 아리랑
올해 예비시행 문제와 현 출제 경향 간 그 어디쯤에 있는 문항 세트로 보입니다. (가)에서 확실하게 감상 기준과 배경 지식을 줬기 때문에 풀이는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하구요. 올해 EBS에 단시조 작품이 여러 편 있는데 이런 식으로 묶여서 출제될 가능성도 꽤 있어 보입니다. 관련 공부를 소홀히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독서 영역>
16.~21. 소득세 물가 연동제
(가)-(나) 지문 구조의 문제였습니다. 아마 수능에서도 이 정도 위치에 이 정도 분량으로 출제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이제는 정형화된 문항 세트인 듯합니다. (가)에서는 소득세 물가 연동제의 개념과 소득세 물가 연동제 도입을 주장하는 측의 논지가 제시되어 있고, (나)에서는 이에 반대하는 측의 반박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가)-(나) 지문은 어떤 면에서는 풀이가 더 수월한 것이, (가)와 (나)를 어느 정도 분리해서 문제를 풀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최근의 기출에서는 비교/대조하며 독서 지문을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염두에 두시고 독해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27.~30. 이상치 판정 기술
오랜만에 기술 지문이 나왔습니다. 내용은 어렵지 않았는데, 이상치 판정 기술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지도 학습의 유형과 비지도 학습의 유형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었다면 무난했을 듯합니다. 올해 최근에 기술 지문이 직접적으로 출제된 적은 많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작년의 레트로바이러스 지문도 기술 지문이긴 하지만 사실상 과학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다룬 부분이 더 많았기 때문에... 그래도 가끔씩 이렇게 기술 지문 풀이 감을 살려두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34.~37. 표준적 실재론과 반실재론, 구조적 실재론
과학적 사고와 이론에 관한 인문 지문이었습니다. 과학을 제재로 다루고 있는 인문 지문이 다소 생소하셨을 수 있으나, 내용이 어렵지 않았기 때문에 풀이하는 데 어려움은 없으셨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내용 이해를 묻는 문제부터 <보기>에 적용해보는 문제 모두 무난했습니다.
이제 수능이 정말 열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아직까지 실감이 안 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남은 기간 기출을 통한 평가원의 기준 굳히기와 상상을 포함한 다양한 실모 풀이를 통한 현장감 익히기에 성공하셔서 다들 좋은 결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이제 군입대를 하는데요 군제대 한다음 곳바로 사법고시 볼까 생각중이거든요?...
-
검사가 되고 싶은 실업계 학생인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ㅎㅎ ^^ 1
입문계면 제가 조금 해볼만 한데, 실업계라서 지금부터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잘...
-
여기 게시판 글 몇개 보니까 좀 아니다라는 생각들이신 것 같은데 그 이유가 좀...
-
수능 언어영역 대비로 leet 언어이해 공부하는 거 바보인가요?? 3
고3입니다. 언어 기출을 3번 돌리고 나니까 답도 기억나고, 공부할 때 흥미를 못...
-
공대를 졸업하고 로스쿨 가기를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2
공대를 졸업하고 로스쿨 가기를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제 꿈이 지적재산권 및 저작권...
-
영문이나 소비자가족 학과가서 경영 복전하고싶은데요. 성대로스쿨 갈때 진입장벽잇나요?
-
이번에 서울대 사회대 정시 지원하고 합격자 발표 기다리는 학생입니다. 어려서부터...
-
저의 꿈은 검사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로스쿨이라는 것을 듣게 되었습니다. 서울대...
-
사시 없어지고 로스쿨 밖에 안 남으면 저 같이 돈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되나요?...
-
사법시험은 아니지만;; 행정고시 1차 시험 질문인데요 2
행정고시 지원분야가 다양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1차 시험 psat 문제도 직군...
-
한양대 경영학과에 11학번으로 들어가게 된 재수생입니다. 뭔가 아쉬워서 삼반수,...
-
1. 로스쿨 진학하려면 시험 + 학점 이라던데 시험에는 어떤 과목들이 있는건가요?...
-
장수의 나이로 의대를 준비하기 위해서 신림동 고시촌이라는 곳에 들어가려고 합니다.. 3
신림동 고시촌이 2동과 9동으로 나뉘어져 고시원과 고시학원이 몰려있는걸로 알고...
-
변호사, 판사, 검사 분들은 법의 몇항 몇조 가 뭔지 다 외우고 다니시나요?? 아님...
-
내년 1월에 졸업이라는데 임용 끝났는지 궁금...
-
ㄲㄲ.. 1
의학전문변호사가 되고 싶은 학생입니다.. 제가 수능을 좀 망쳐서,, 낮은...
-
로스쿨 생각하시고 고려대 연세대 지망하시는 고3,재수,n수생 여러분은 쪽지 주시면...
-
안녕하세요 법대에 관해 그간 궁금한게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법대가 폐지된...
-
저는 오늘 인터넷 기사를 통해 매우 부끄러운 기사를 보았습니다. 전국의 로스쿨...
-
음..저는 이번에 수능을 치룬 재수생입니다. 수능전까지만해도 엄청자신이 있었지만.....
-
1. 학교간판 2. 전공과 3. 학점 4. 공익영어시험점수 5. LEET 점수 6....
-
앞으로 곧 사법시험이 폐지되면 로스쿨 지원자가 훨씬 늘어 나지 않을까요? (경쟁률이...
-
2학년때까지 개판으로 놀다가 시작한 07입니다. 작년 2009년 1월 1일자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