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EBS수특 지엽선지 3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29626
수능 특강 마지막 편입니다. 반응 좋으면 수능 완성까지 꾸준히 올려보겠습니다.
좋아요 감사합니다.~~
1. 주계열 단계의 모든 별은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2. 백색왜성의 내부는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핵융합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3. 고온의 별일수록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4.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에 반비례한다. (빈의 변위 법칙)
5. 광도가 같은 별은 표면에서 방출되는 총 복사 에너지의 양은 같다.
6. CNO순환 반응은 수소 핵융합 반응의 한 종류이다.
7. 코로나그래프로 중심별의 별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계행성을 직접 촬영하는 직접 탐사는 주로 적외선 망원경을 이용한다.
8. 지상의 설치된 ATA 전파 망원경은 SETI프로젝트에 이용할 수 있다.
9. 타원 은하는 원에 가장 가깝게 보이는 은하를 E0, 가장 납작한 타원형으로 보이는 은하를 E7으로 분류한다.
10. 충돌 은하와 퀘이사는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로는 분류할 수 없다.
11. 우주 초기에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로, 물질과 복사가 분리되지 않았다.
12. 최초로 관측된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은 7.3cm로 관측된다.
13. 코비 망원경, 더블유맵 망원경, 플랑크 망원경 순으로 발사됬으며 모두 우주 망원경이다.
14. 관측 결과 현재 우주는 완벽할 정도로 평탄하다.
15. Ia형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폭발하여 생성된다.
16. 나선은하는 뒤에 붙은 소문자가 a,b,c로 갈수록 중심핵의 크기가 작고 나선팔이 느슨하게 감겨 있다.
17.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c/H이다.
18. 우주의 크기는 허블 상수에 반비례한다.
19.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빛이 이동할 수 있는 시간보다 우주의 나이가 더 적다.
20. 암흑 물질은 우주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류나 오타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편보기 : https://orbi.kr/00033081327/%EC%A7%80%EA%B5%AC%EA%B3%BC%ED%95%991%20%EC%88%98%ED%8A%B9%20%EC%A7%80%EC%97%BD(%3F)%EC%84%A0%EC%A7%80%201%ED%8E%B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야함? 후기보면당연한소리다 이런말도있어서..
-
오르비 잘 있어요
-
아무도 나 안 좋아함 12
-
국어, 영어 독해하는데 시간 더 걸리던데 ㅅㅂ
-
공부 ㅇㅈ 6
샤인미 46문제풀었다
-
지인선 미쳤네 0
한회차 3개씩 나가면 ㄱㅊ한건가
-
고지자기.. 못 알아먹겠던데 시즌1 사서 할까요…?
-
걍 나가자 이계정 망했네 새로 시작하자
-
ㅂㅂ 3
-
탈릅선언은 2
걍 하지말자 만화에서도 감동적인 이별후 다시 오면 그만큼 짜치고 뻘쭘한게없음
-
고구마님이 국어만드신 그런거처럼..
-
평소에도 댓글 잘 안 달리는데 없겠지 뭐....
-
GG
-
즉, 내가 싫어하는 오르비언은 오르비언이 아님
-
재밌어지는 법 2
중딩때는 머릿속이 드립으로 넘쳤어요 고등학교 올라오면서 적어지더니 자퇴하고 수능보고...
-
시대컨 질문좀요 2
이번 3모 적백인데 트러스 엑셀 둘다 사야함? 트러스는 쉽다는 말 있던데 잘 모르겠네용
-
인강 듣거나 빡집중으로 실모보는거 제외하면 무조건 들음
-
수학도 잘하지 인성 좋지
-
나 좋아하는 사람 26
모여라
-
기회 1번
-
수학풀때는 진짜 못참는데 그리고 공부안될때 음악틀고 사탐 수특 벅벅 풀면 그만한 힐링이 없음
-
수학 기출 0
스블 회독하면 따로 기출문제집 사서 안풀어도 되나여
-
요즘껀 어렵나 아직 18 19 20 기출임
-
ㄱㄱ
-
근데 난 슈퍼스타도 아닌데 왜
-
순수하게 분탕을 치기위해 오르비를 들어오는 ms들
-
첨알았당
-
ㅇㅇ
-
엑셀 살까 2
작년 강k 어렵게(?) 구했는데
-
박석준쌤 어떰? 2
3모 해설강의 보니까 문학 풀이방식이 조금 독특한 것 같아서.. 국어 문학을 너무...
-
조용히 들렸다가 가세요
-
공부도 못해 잠도 못 자에휴 씨 발
-
업로드되는 칼럼들은 유튜브 영상으로도 제공되니, 많은 관심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로스쿨 가야하니까 배려라고 생각하려고 해도 공대는 학점 필요없나? 걍 다 필요한건데...
-
은 뭔가요
-
지금 피램 2일치 유기함...... 아.... 죄송합니다 열심히 살지 않아서.......
-
탈릅한다고 하고 재릅하는자와 밑도 끝도 없이 도덕적이고 착한 페르소나를 연기하는...
-
로스쿨예과느낌 아닌가 실제로 리트 엄청 많이 보지 않음?
-
프사바꿈 5
-
사탐런때문에 공대 못써서 자유전공-전전 테크 타려고 했는데 막상 와보니까 과생활에서...
-
단순히 내가 공부를 못하는데 의대를 노린다던가 하는 것을 떠나서 내가 밑천이 없는데...
-
이거 전국 모든 잇올 다 합친 석차인 건가요 이게 맞다면 더프 본 잇올러만 전국에...
-
난 n제 추천해줄때 16
무조건 설맞이 1순위로 추천해주는데 물론 저거 풀만한 등급대면 ㅇㅇ
-
1. 실수 줄이는 법(부제 : 사람은 항상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2....
-
아이디어 수강후 기생집 중인데 실전개념이 좀 부족한거같아서 뉴런 들으려고 함 근데...
-
플래너쓰고 좀 거시적인 계획은 잡아야겠어
-
현역 고3인데, 학교에서 엄기은 쌤 수업 듣는 사람이 저밖에 없는 게 너무 아쉬워서...
-
걍 바꾸지 말까
-
음음
12번 아니지않나요
맞습니다. 수능특강 10장 196p 10번 문제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저도 펜지어스가 관측했을때 7.3이라서 지금은 더 길어졌다 이런소리를 얼핏 들었던거같긴한데...
근데 수특 답ㅈ 해설에 그냥 7.3cm 라고 써있네요
이러면 걍 7.3이라 외우면 될 것 같아요
그러쿤요 감사합니다 : )
짧아졌는걸로 아는데
실제로 7.3보다 더 짧은지 긴지는 잘 모르겠지만 수특에는 현재 우주배경복사 파장의 길이가 7.3cm라 나와 있습니다
아니에요ㅠ
빨리 수정 해주셔야 할듯요
그때 관측한 파장이 7.3이고 최대복사에너지 파장도 달라요(에초에 7.3cm파장만 나오는것도 좀 이상하잖아요)
최대 방출 파장은 2mm가 맞습니다. 이부분은 수특 해설도 오류같아서 혼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수완인가? 수특인가? 거기서도 우주배경복사 최대 에너지 방출 파장은 7.3이다 질문 있더라고요(틀리다고 되어있음)
저도 이부분 좀 찾아본덕 있었는데.. 다른 분들도 많이 햇갈리실것 같네요
답도 적어주세연
아 다 O인가
네 전부 O입니다. 틀린 선지는 알맞게 고쳐놨습니다.
19번 설명좀 해주세요..
수특 p204 12번문제 ㄷ선지 해설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이유는 언급하지 않고 있는 것 같네요
빅뱅우주론 4가지 문제중에
우주의 지평선 문제 때문일거에요
우주의 지평선 문제가 19번 사실로부터 도출된거로 알고 있습니다
급팽창이론때문에 그런거아님?
다알고있는걸보니 수특열심히 했다는 걸 확인했슙니다 꼭 지학만점맞아야징

지학 50점 기원ㅇㄷ
8번 추가)전파 관측만 가능하다면 뭐든지 seti 프로젝트에 참여 가능
맞습니다
12번 선지 실제 파장은 7.3cm보다 짧지 않나요? 수능완성에서도 짧다고 나와있는데
최대에너지 파장이2mm여서 그 선지가
틀렸을걸요
그니까 짧은거 아니에요?
최초 관측이 7.3cm이고 최대에너지 방출파장은 2mm가 맞아여 물론 7.3cm도 관측이 되겠죠 플랑크곡선위의 모든 파장에서 관측이 되는겁니다.
네 이게 정확한 답변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수특 해설이 애매한 부분이 있었네요
근데 지금 관측되는 최대에너지 파장이 2mm이고 그때 당시는 옛날이니까 펜지어스가 관측햇을때 최대에너지 파장은 2mm보다 작지않을까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우주배경복사 2.7K(온도) 플랑크곡선 위에 있어요 그리고 생각해보면 3000K일때 우주배경복사가 퍼져나갔는데 100년 정도 더 식었다고 큰 영향은 없겠죠?
고온의 별일수록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거요 비교대상이 금속인가요 중성인가요? 그니까 금속보다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인가요 아니면 중성 흡수선보다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인가요?.ㅠㅠ갑자기 헷갈려서요
중성이 분자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수특 160p 2번문제 그림자료와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온의 흡수선은 고온의 별에서 강하게 나타나며, 저온의 별에서는 분자나 금속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꼭 의대 가십쇼 파이팅!
다시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 제가 보던 책이랑 최대한 비슷한 그래프 찾아서 올리는 건데요, 그림을 보면 분자가 오히려 A형, B형 등 고온의 별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 같은데, 제가 뭘 잘못생각하고 있는 건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