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EBS수특 지엽선지 3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29626
수능 특강 마지막 편입니다. 반응 좋으면 수능 완성까지 꾸준히 올려보겠습니다.
좋아요 감사합니다.~~
1. 주계열 단계의 모든 별은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2. 백색왜성의 내부는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핵융합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3. 고온의 별일수록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4.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에 반비례한다. (빈의 변위 법칙)
5. 광도가 같은 별은 표면에서 방출되는 총 복사 에너지의 양은 같다.
6. CNO순환 반응은 수소 핵융합 반응의 한 종류이다.
7. 코로나그래프로 중심별의 별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계행성을 직접 촬영하는 직접 탐사는 주로 적외선 망원경을 이용한다.
8. 지상의 설치된 ATA 전파 망원경은 SETI프로젝트에 이용할 수 있다.
9. 타원 은하는 원에 가장 가깝게 보이는 은하를 E0, 가장 납작한 타원형으로 보이는 은하를 E7으로 분류한다.
10. 충돌 은하와 퀘이사는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로는 분류할 수 없다.
11. 우주 초기에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로, 물질과 복사가 분리되지 않았다.
12. 최초로 관측된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은 7.3cm로 관측된다.
13. 코비 망원경, 더블유맵 망원경, 플랑크 망원경 순으로 발사됬으며 모두 우주 망원경이다.
14. 관측 결과 현재 우주는 완벽할 정도로 평탄하다.
15. Ia형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폭발하여 생성된다.
16. 나선은하는 뒤에 붙은 소문자가 a,b,c로 갈수록 중심핵의 크기가 작고 나선팔이 느슨하게 감겨 있다.
17.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c/H이다.
18. 우주의 크기는 허블 상수에 반비례한다.
19.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빛이 이동할 수 있는 시간보다 우주의 나이가 더 적다.
20. 암흑 물질은 우주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류나 오타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편보기 : https://orbi.kr/00033081327/%EC%A7%80%EA%B5%AC%EA%B3%BC%ED%95%991%20%EC%88%98%ED%8A%B9%20%EC%A7%80%EC%97%BD(%3F)%EC%84%A0%EC%A7%80%201%ED%8E%B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캬 숙소에서 아침먹고 지금 토스봤는데 돈이 들어왔네?!?!?!? 좌흥
-
한계야슬슬
-
대학입학후 5
부모님한테 용돈 안받고살고있음 근데 월급이 40..투잡 마렵네
-
하 시11발 작년에 미성년자라 못갔는데 올해는 6평 3일 전이라 못가네 ㅅㅂ ㅋㅋㅋㅋㅋ
-
이번달 교통대금 1
58,800원... 고딩때는 2만원대였는데 ㅠㅠ
-
시발련들아 2
형 생윤 수특 잃어버린거 찾았다
-
2025학년도 전국 39개 의대 신입생 출신자 연령 2
2025학년도 전국 39개 의대 신입생 출신자.. : 네이버블로그
-
현재 윤사 김종익으로 개념 1회독 했고 3모 40점이에요 지금이라도 응시생 숫자많은...
-
얼버기 10
글리젠 다 죽었네
-
윤동주 시인이 연희전문(연대 전신) 출신인 거 아는 사람과 방정환 선생이...
-
휴르비 해제 선언 10
-
여기 부자 너무많음...
-
아 배고파ㅣㅣㅣ
-
정상화 실검 2
(대충 네캎 내가 해냄 콘)
-
얼버기!!!!! 10
-
션티 키스타트 4회독쯤 하고 NF 2회독 했는데 뭔가뭔가… 아직 부족한 것...
-
과외 같은거 안 할 생각이라 지금 땡겨둬야할 것 가틈 짧은 방학동안 동기들이랑...
-
남녀혼합 자습실 3
별로임 신경개쓰여
-
지방고에선 의대가기가 서울대가기보다 훨씬 쉽네
-
?gpt에서 갈아타볼만함?
-
인문논술용 최저 맞춰야해서 수학 빼고 국영탐(탐구 2개) 4개를 해야하는데 3합...
-
힘들다네요..
-
쥐뿔도 안 해줬는데 또 그걸 자랑하는
-
https://www.suneung.re.kr/sub/info.do?m=0401&s=...
-
예아, 무슨 돌아버린 일이 있길래 이리 떨떠름하게 있노
-
6모 신청 했음 0
학원 직접 안 가도 되는 거 개꿀이네
-
어떤 교재 살까요? 원문풀이가 가장 좋나요
-
과외를 위해 수2 공부를 시작해야한다는 사실이 믿기질 않네
-
국정원 고1이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인가요?
-
이젠 진짜 코파뿐이야... 그리지 코케 마지막 시즌일 수도 있는데 제발 코파만이라도 따게 해주세요
-
진짜 개 압도적이다 이게
-
뒤져도 별상관없자너
-
있나요...? 갑작스러운 약 처방 이슈긴 한데..........
-
https://atom.ac/books/13231-InDePTh+%EC%98%81%E...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80프로 회복 완뇨
-
안녕하세요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
내가 이해한 지문 내용이랑 해설이랑 논리가 달라서 질문했더니 말은 해설이 틀렸다는...
-
60대 부부 일터 나간 오전 10시, 29살 아들은 방에서 나와 TV 켠다 9
2월 경제활동인구 통계 55~64세 女 61.5%가 일해 10년전 52%보다 확...
-
갑자기 삼도극을 빼질않나 과탐 죽이지않나 문학으로 승부보려하지를 않나 킬러배제같은 x소리를 하질않나
-
외야되...
-
얼굴뿐만 아니라 인성도 문제 있음
-
한완수 시작 0
기대된다 이걸 끝내면 나도 기하 고수가?
-
누가 또 기만런데
-
제가 논술을 아예 몰라서 그런데요.. 지원하는 과에 따라 지문과 문제가 다른 건가요??
-
집안에 고양이가 엄청 많았는데 무슨 고양이 요양원처럼 대부분이 아픈 고양이었음.....
-
아니면 그냥 정석적인 풀이 써져있나요??
-
군수 밸런스게임 3
04년생 지금 대학교 1학년이고 26,27수능만 본다는 가정하에 1. 25.8월...
-
아....
12번 아니지않나요
맞습니다. 수능특강 10장 196p 10번 문제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저도 펜지어스가 관측했을때 7.3이라서 지금은 더 길어졌다 이런소리를 얼핏 들었던거같긴한데...
근데 수특 답ㅈ 해설에 그냥 7.3cm 라고 써있네요
이러면 걍 7.3이라 외우면 될 것 같아요
그러쿤요 감사합니다 : )
짧아졌는걸로 아는데
실제로 7.3보다 더 짧은지 긴지는 잘 모르겠지만 수특에는 현재 우주배경복사 파장의 길이가 7.3cm라 나와 있습니다
아니에요ㅠ
빨리 수정 해주셔야 할듯요
그때 관측한 파장이 7.3이고 최대복사에너지 파장도 달라요(에초에 7.3cm파장만 나오는것도 좀 이상하잖아요)
최대 방출 파장은 2mm가 맞습니다. 이부분은 수특 해설도 오류같아서 혼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수완인가? 수특인가? 거기서도 우주배경복사 최대 에너지 방출 파장은 7.3이다 질문 있더라고요(틀리다고 되어있음)
저도 이부분 좀 찾아본덕 있었는데.. 다른 분들도 많이 햇갈리실것 같네요
답도 적어주세연
아 다 O인가
네 전부 O입니다. 틀린 선지는 알맞게 고쳐놨습니다.
19번 설명좀 해주세요..
수특 p204 12번문제 ㄷ선지 해설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이유는 언급하지 않고 있는 것 같네요
빅뱅우주론 4가지 문제중에
우주의 지평선 문제 때문일거에요
우주의 지평선 문제가 19번 사실로부터 도출된거로 알고 있습니다
급팽창이론때문에 그런거아님?
다알고있는걸보니 수특열심히 했다는 걸 확인했슙니다 꼭 지학만점맞아야징

지학 50점 기원ㅇㄷ
8번 추가)전파 관측만 가능하다면 뭐든지 seti 프로젝트에 참여 가능
맞습니다
12번 선지 실제 파장은 7.3cm보다 짧지 않나요? 수능완성에서도 짧다고 나와있는데
최대에너지 파장이2mm여서 그 선지가
틀렸을걸요
그니까 짧은거 아니에요?
최초 관측이 7.3cm이고 최대에너지 방출파장은 2mm가 맞아여 물론 7.3cm도 관측이 되겠죠 플랑크곡선위의 모든 파장에서 관측이 되는겁니다.
네 이게 정확한 답변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수특 해설이 애매한 부분이 있었네요
근데 지금 관측되는 최대에너지 파장이 2mm이고 그때 당시는 옛날이니까 펜지어스가 관측햇을때 최대에너지 파장은 2mm보다 작지않을까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우주배경복사 2.7K(온도) 플랑크곡선 위에 있어요 그리고 생각해보면 3000K일때 우주배경복사가 퍼져나갔는데 100년 정도 더 식었다고 큰 영향은 없겠죠?
고온의 별일수록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거요 비교대상이 금속인가요 중성인가요? 그니까 금속보다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인가요 아니면 중성 흡수선보다 이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인가요?.ㅠㅠ갑자기 헷갈려서요
중성이 분자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수특 160p 2번문제 그림자료와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온의 흡수선은 고온의 별에서 강하게 나타나며, 저온의 별에서는 분자나 금속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꼭 의대 가십쇼 파이팅!
다시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 제가 보던 책이랑 최대한 비슷한 그래프 찾아서 올리는 건데요, 그림을 보면 분자가 오히려 A형, B형 등 고온의 별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 같은데, 제가 뭘 잘못생각하고 있는 건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