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하나만 도와주세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07765
레오폴드는 생태계 간섭 되지 않나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데이터못쓰는데 인강에답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07765
레오폴드는 생태계 간섭 되지 않나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데이터못쓰는데 인강에답이...
간섭 되니까 A 아니지 않나요?
이게 해설인데 제가 해설을 잘 이해 못한거일까요?!ㅠㅠㅠ
국어랑 생윤은 특히 EBS 해설에 오개념이 많습니다...^^
레오폴드 애초에 취미가 사냥이에요
아 ㅋㅋㅋㅋㅋ 그럼 그냥 무시하고 제가 아는 개념으로 가도 되겠죠??? 레오폴드 취미 사냥 ㅋㅋㅋㅋ 재밌네여
ㅋㅋㅋ이 말 들을 때마다 웃기네
생명윤리학자 취미가 사냥ㅋㅋ
테일러만 해당하는 선지에용
테일러도 불가피한 상황은 인정하지만 불간섭의 "의무"를 지녔다고 하거든요..
테일러는 아는데 레오폴드가ㅠ
레오폴드는 전체론자로서 생태계 전체의 안전을 위해선 개체수를 조절하는 등의 간섭이 가능하다고 봤어요
감사합니다! 오가념인가봐요!!
그리고 현돌님은 간섭보단 개입이 가능하다의 의미로 순화해서 이해해달라고 하시더라고요
아아아!!! 그렇군요!!
그런데 "인간상호간의 의무" 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ㅠ
갑,을,병 모두 인간은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존재라고 볼테니 인간 간에는 상호 간의 의무가 있는 거예요
말그대로 인간이 서로에 대해 내재적 가치를 존중할 의무를 갖는거죠 아마 생윤 모든 사상가가 동의할듯
아하!!!! 감사합니다
생윤 ebs 해설은 걍 거르면 됨.
오키~~|~~ 고맙삼당
저도 이거 비슷한 질문 한적 있는데 (임정환쌤 QNA) 이렇게 답변해주셨어요.
"레오폴드는 말씀하신 것과 같이 [간섭]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예외적인 상황이며
우리는 일단 의무적으로는 생태계에 불간섭해야하는 의무를 지닙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오히려 생태계에 간섭하는 것이 인간의 이익관심의 증진을 위한 수단으로 자연을 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고,
인간을 위해 자연을 막 이용하는 것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그렇다면 레오폴드 입장에서도 생태계에 불간섭해야하는 의무를 지니기 때문에 레오폴드랑 테일러 둘다 동의할 입장이라서 (ㄱ)이 틀린거 아닐까요?
아하... 넘 헷갈리네요ㅠㅠㅠㅠ 저도 임정환쌤한테 들을때 레오폴드는 인간이 생태계의 좋은 영향을 끼치는 걸 동의한다고 해서 약간 네스랑 비교하면서 간삽해도 된다고 생각했거든요ㅠㅠㅠ
문제출처 알 수 있을까요?
작년 9월 기출문제입니다!
레오폴드는 '생명공동체의 온전함, 안정성, 아름다움'을 지키는 것이 선입니다. 그게 전일론 관점입니다. 이건 기출 제시문에도 여러 번 나왔을 거에요. 그래서 판단은 간단합니다. 개입하는 것이 온전함에 기여하면 개입해야 하고, 개입하지 않는 것이 온전함에 기여하면 개입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불간섭의 '의무'라고 하면 안 되겠죠.
열공+즐공=대박!!!
수특 135쪽 9번 보기 ㄹ 확인해 보세요.
ebs 해설 저렇게 적어놨는데 수능에서 틀리다고 나오면 ebs 보고 공부한 사람 엿먹이는 거밖에 안돼서 나오진 않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