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049128
???: 벡터 없는 수학이 수학이냐??
라는 분들이 종종 보이는데...
님이 한건 ' 수학 ' 맞음?
애초에 ' 수학능력 '(그 수학 말고)을 평가하는게 수능 아닌가??
학문적 잣대를 들이대려면, 그 학문의 엄밀함부터 따져보셈.
대학과정만 밟아 봐도 수능이 철저하게
' 사고력 만 '요구하는 시험이란걸 알 수 있지 않음??
범위가 줄어든 " 현재의 수능 수학 "은 수학이 아니다라는 말은,
수학이 어떤 범주를 다루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일 뿐임.
꼰대소리 ㄴ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상 3
ㅇㅇ
-
헐
-
요새는 좀 옯창력 사라짐 전에비해...
-
생윤 파이좀 가져왔으려나 압도적 만만함 1위일거같은데
-
@orbiwhatthefuckwhy 헥핻
-
오공완 ㅇㅈ 6
시험 쳐서 그런가 집중이 안되는관계로 일찍퇴근
-
계정 인증시 무료로 해드림
-
아 옛날이여
-
어떻게 글을 저만큼 쓸수있지 단시간에
-
오르비 끄고 4
오르비 켜라
-
유로파권에서 놀아야 될 애들이 아챔으로 와있으니 ㅋㅋ
-
무물받아요 6
별거없는 사람이긴 합니다만, 뭐든 좋으니까 무물받아요
-
칼싸움 할 사람 12
난 일본도 넌 커터칼
-
자야할시간~ 새르비 같은거 할때가 아니에용~~
-
시즌2 2화 시청중
-
게임 혼자할려니까 16
엄두가 안나네 왤케 재미없지
-
이거들어바 6
긴 장마가 올거래
-
두명 있음 이 두분은 진짜 현생에서도 인기 많고 착하실듯
-
새벽 두시
-
웹툰 봐야지 8
웹툰 봐봐봐야야지
-
잘 되길 바란다 12
니들
-
오렌지를 먹은지 얼마나 오랜지 이거 중딩때 친구한테 첨 들엇는데 너무 충격적이엿음...
-
예
-
투수들아 존 모서리에 정확히 공을 던지고 안타 맞지말고 볼넷 내주지마라
-
아니 잇는 줄도 몰랏네
-
그래서 어떻게 된지 아는 사람
-
누구 머리에서 나온 아이디어인가
-
캬캬캬
-
초심 찾자 1
으응
-
좋아요정 야이 기요마
-
아 오늘도 6
물소짓 좀 해볼까 흐흐
-
에서 털것같은데 가나 동양 너무 돈거 아님? 작년 에이어만해도 충분히 털었는데 의문임
-
듣는다면 강기원센세 아니면 김현우센세 들을듯
-
여캐 짤 투척 6
굿밤
-
만백 때문에 안 할려고 햇는데 작년 화1 보니깐 한지 개꿀인 듯
-
청춘 2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
테두리 이쁘다 1
옯비에서 젤 이쁜 테두리 >.<
-
워낙 사설은 14번에 이상한 도형 많이 박아놓으니까 그거 ptsd와서 쫄고...
-
탐구가 고민이네 1
세사,동사,지리 고민중인데 1컷이 50이라네.....아오
-
원래 진짜 실력은 노연계지
-
경제 가나형 3
(가)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나) 레닌의 현실사회주의 자본론, 카를 마르크스
-
청백운 숙향전 전우치전 호질
-
먹던 술도 깨게하네
-
작년에 수학볼때 감독관이 파본검사 하라는 말을 안햇어 수학 시험시작하고 그제서야 넘김
-
핑뚝 4
핑뚝
-
올해 트람푸 때문에 법이랑 좀 엮여서 나오기도 좋은 해 아닌가 법이 아예 안 나올수도 있나
-
어디 갔으려나
-
다음주 부터 0
편의점 야간알바 추가로 하기로 했음 전에는 예전에 야간알바 10시간 했을 때는 겁나...
-
21 9평 이거 말고도 법지문 다른것도 다 어려웠어서 따로 함 모아서 다시...
-
전 문제 답 4
하지만? 기백없는 수학은 재미가 없자나~
야건 코지ㅋㅋ 재미없는건 ㅇㅈ..
아 근대 이거랑 별개로 벡터 그 친구 가끔 그리워요,,,,
ㅆㅇㅈ...
또 그렇지만은 않음.
나름 수학사적으로 섬세한 동선을 따르고 있어서 킁
저는 약간 다르게 생각하는데 수능이 평가하고자 하는 능력이 실제 수학(math) 능력인지 여부와는 별개로 일단 지식적 측면에서 알긴 알아야 됨
예를 들어서 이공계 신입생이 초월함수의 미적분을 모른 채로 대학에 온다? 이건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음?
마찬가지 이유로 행렬도 있어야 되고, 복소평면도 가르쳐야 됨. 이것들을 가르치는 게 수학이라는 학문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는지와는 별개로 고등학생들에게 알게 하는 게 맞음.
저는 반대인게,
수능 수학의 본질과 목적이 ' 지식 전달 ' 에 치중되어 있다고 보진 않아요.
지식을 ' 어떻게 활용 ' 할지에 촛점이 두어져 있다고 보거든요.
실제로, 행렬이 교과과정에서 빠진(09) 체제 이후, 대학생들이 이공계 실적에서 아웃풋이 뒤쳐진 다는 소리는 아직까지 들어본 적이 없거든요. ( 진행하는 과정에서 아주약간의 시간은 더 투자 되겠지만.)
요지는, 지식은 후차적으로 습득하면 된다고 생각한다는게 제 요지입니다. 또, 그것이 시류(정보화시대?정도?)에 맞는 교육이라 보고요.
+이공계 신입생이 초월함수를 몰라도 아웃풋은 똑같을거란게 제 생각이에요.
다만, 과도한 지식의 축소는 활용적 사고를 변별하는데 장애를 유발하기에, 적정한 수준을 만들어 둔거라 보거든요.
글쓴이 말대로 사실 정량적인 지식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은데.. 단답식으로 답내는것도 '수학'에서는 별로 안중요하지 않을까요 증명, 풀이과정없는 수학이 수학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요는, 그 중요치 않은 부분을, 똑같이 본질적이지 않은 알량한 교육과정가지고 꼰머짓 하지 말란 소리ㅇㅇ
벡터가 그리우면 물2를...ㅎㅎ
ㄹㅇ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