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자 한 글자 : 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527285
一
한 일
MC : 팔굽혀펴기 1500개를 하신다구요? 하루에?
차인표 : 하루에 1500개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아세요?
MC : 가능합니까 그게?
차인표 : 네 가능해요. 한 개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 힐링캠프 차인표 편 중 -
0 XDK (+100)
-
100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527285
一
한 일
MC : 팔굽혀펴기 1500개를 하신다구요? 하루에?
차인표 : 하루에 1500개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아세요?
MC : 가능합니까 그게?
차인표 : 네 가능해요. 한 개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 힐링캠프 차인표 편 중 -
0 XDK (+100)
100
ㄷㄷ
대답 십간지 ㄷ

진짜 간단하지만 정말 많은게 담겨있는 말인거 같아요오 드디어 나도 아는 한자가 나왔다

제일 간단명료한 한자 같아요 ㅡ
오늘 1개 한다한계입니다

언어유희 ㄷㄷ ㅋㅋㅋㅋㅋ
천리길도 한걸음부터지요그거 한개 한게 너의 한계

이거 잘 써먹으면 힙합이나 랩 가사로도 괜찮을거 같아요 ㅋㅋㅋㅋ이미 스윙스곡에 있읍니다 ㅋㅋ

아 진짜요? ㅋㅋㅋ 와 역시 머리 좋은 분들.. 이미 쓰셨구나아는한자다

가끔 쉬운 한자도 섞어야겠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모든건 하나 둘 점점 쌓여서 이루어지는거죠오늘도 고마워요

와우
영상에서는 가볍게 처리된 부분이었는데 계속 기억에 남았던 말..오늘도 수고했어요! 읽어주셔서 고마워요

드디어 아는 한자가 나와 답장 답니다 아 ㅋㅋ
가장 간단하면서 직관적인 글자죠 ㅋㅋㅋ찾아와주셔서 고마워요

형....... 이건반칙이지........
하지만 한자는 한자니까! ㅋㅋㅋㅋ 사실 한자보다도 저 문구를 소개하고 싶었는데 가장 잘 나타내는 한자가 ㅡ자밖에 없었죠
한일!!!모 고등학교가 생각나네요!!

엌ㅋㅋㅋ 자주 들어본 고등학교죠 ㅋㅋㅋㅋ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어..?
멋있어요
진짜 멋있더라구요.. 저 한마디로 처음에 시작하는 마음하고 하나씩 차근차근 꾸준히 하는 끈기 모든걸 나태낸거 같아요젖지님 머리카락 한 개씩 심으시면 풍성해지..
교주님도여....

그렇게 10년.. 20년.. 50년이 지났지만..한개가 한계인 사람들은 이때까지 한게 뭘까라는 생각을 하고 한개한개 한계를 늘려봅시다

와 라임이 ㄷㄷㄷ ㅋㅋㅋㅋ
오늘도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어요
하루 하루 쌓인 것들이 큰 보상으로 돌아왔으면 좋겠어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차인표님 제가 좋아하는 배우이자 작가..

저 영상보고서 진짜 멋있는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평소 생각하던게 말로 나오는 법인데..레전드다

하나하나 하다보면 결국은 언젠가는 반드시 끝이 온다..
짤막일본어一応(いちおう)ichiou 우선,일단
예문: 一応寝てから考えることにした
일단 자고나서 생각하는거로 했다.
하나부터 차분하게 하는 마음가짐 우리나라 사람들은 빨리빨리라서 대부분은 안맞는 마인드겠죠...?

하나씩 차근차근 해나가는게 어떻게보면 끝까지 갈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인데.. 다른 편법이나 꾀를 부리다 이도저도 안되는 경우도 많지요* 돈과 관련해서 쓸 때는 갖은자로 좀 더 복잡한 모양인 壹 자를 씁니다

오오 아 저렇게도 쓰는군요ㅡ 는 너무 쉽긴 했어요 ㅋㅋㅋ 저 한자로 할걸 그랬다..
壱 이렇게도 쓰더라고요 ㅋㅋ 3은 参
와 오늘 세 개나 새롭게 배워가요! 감사합니다

한국에서는 參으로 쓰고 참여하다의 뜻으로 쓸 때는 ‘참’으로 읽어요근데 이미 다 알고 있죠?

아 근데 삼이라는 의미도 있다는건 처음 알았어요 뭔가 복잡한걸 좋아하는건가..
헉 ㅋㅋㅋㅋㅋ 현관 나가자마자 들어와야겠는데요그거 병훈쌤 유튜브 영상으로 들었어요 ㅋㅋㅋ

오 정확해요 저도 그 병훈쌤 영상 처음보고 한번 찾아본 거였어요! 뭐든지 갈길이 멀어도 일단 하나부터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셔요! 감사합니다
화이팅합시다 오늘도!초딩 땐 분명히 한 개 가능했었는데...

다시 하나부터 시작하는거죠!저 한자 보니까 생각나네
중1때 짝꿍이 넉 사를 "ㅡ"
네 번 쓰더라고요ㅋㅋㄱ

ㅋㅋㅋㅋ 하긴 일 이 삼까지는 단순하게 잘 나가다 갑자기 4에서부터 글자가 이상해지죠
좋은 글귀 어떻게 이리 많이 아나요?
예전부터 이런 글귀나 격언 찾아 읽는걸 좋아하긴 했어요 사실 명언은 그냥 보는거보다 그 내용을 실천하는게 더 중요하긴 한데.. ㅋㅋㅋ이얼싼 이얼싼 원투쓰리 원투쓰리 이치니산

3개국어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