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7번 답 왜 2번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183701
저 1번해서 틀렀는데
일부 부정의한법도 시민 불복종의 대상이 되지 않을수 있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수환 선생님 수업듣고 도움 많이 받았었는데 어디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전혀 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183701
저 1번해서 틀렀는데
일부 부정의한법도 시민 불복종의 대상이 되지 않을수 있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정수환 선생님 수업듣고 도움 많이 받았었는데 어디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전혀 알...
저도 1번 해서 틀림... 생각해보니까 롤스는 시민 불복종의 목적을 다수의 이익 증진에 두는 게 아닌 듯
아아 이익증진이 아니라 다수의 정의관때문에 하는건가요?
네 다수에게 이익이 돼도 공유된 정의관에는 안맞을 수 있으니까... 근데 2번은 저도 아직 이해가 안가네요ㅋㅋ
저도
아..
ㄹㅇ 2번 왜 맞는거죠
ㄹㅇ.. 모르겠네요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소거법으로 그거만 남더라고여ㅎ
공직을 맡을 권리를 침해하는건 롤스 정의의 원칙중에 기회 균등의 원칙에 어긋나서 2번골랐는데 다수의 이익증진을 위한건 싱어아닌가?
저도 기회균등 보고 풀었어요
저도 이렇게 풀었음
아아 감사합니다
기회균등의 원칙의 정의가 2번이고 1원칙이나 2원칙 중 기회균등의 원칙에 대한 현저한 위반이 불복종의 대상입니다. 차등은 아니고요. 부정의하다고해도 그것이 매우 심각하게 혹은 오래 위반하지 않는다면 시민 불복종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니까 2번에 심각한or현저한 침해라는 표현이 있어야 하지 않나요?
저도 처음엔 1번인 줄 알았는데 '다수의 이익 증진'이 '공공적이어야한다'랑 완전히 일치하는 건 아닌 거 같아서 2번 했어요. 다수의 이익 증진만 따로 두고 보니 공리주의 관점에 더 가깝다고 생각이 들기도 했구요 2번이 맞는 이유는 윗분 생각과 동일합니당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