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ODA LAB [440633] · MS 2013 (수정됨) · 쪽지

2020-09-08 21:36:27
조회수 9,772

주예지T) 7번 풀면 내 것이 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053522

7번 읽기 공부법이라는 공부법에 대한 책이 있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7번이 아니더라도 


한 권의 책을 여러 번 읽으면서 공부하라


는 얘기는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특히, 수학은 오답노트까지 만들어서 틀렸던 문제를 계속 반복해서 풀도록 하는 분위기도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오답노트도 하고, 2~3번도 넘게 풀어본 문항과 유사한 문항인 A를 만났을 때 생깁니다. 선생님은 문항 A를 해설하면서 이거 저번에 본 그 문항이랑 유사하지?’라고 얘기하는데 


나는 왜 저번에 그 문항이랑 유사하다는 생각이 안들지?’


라고 괴리를 느끼기 때문입니다.


[Finale 모의고사 中 48 모의고사 2회 6번]


안녕하세요, 주예지T 수학 연구실 AJOODA LAB 입니다


위의 문항을 보면 각자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심상이 있겠죠? 어떠한 문항도 떠오르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공부 방법을 이 글을 기회 삼아 점검해보길 바랍니다. 


오늘은 본인이 선택한 개념, 유형 교재를 2~3, 많게는 7번까지 보는게 과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아닙니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계속 똑같이 읽고풀기 때문입니다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나 문제를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7번을 봐야 한다고 합니다. (평균이니까 당연히 똑똑한 분이나 개념 자체가 익숙한 분들은 한 번에 이해하기도 할 겁니다.) 


여기서 ‘7번을 본다는 것은 ‘See’가 아니라 ‘Experience Or Explore’입니다. , 여러분이 주어진 것을 읽고, 푸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경험하고, 탐험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제를 푸는 것을 예를 들어보면, 첫 번째 풀 때는 별 생각하지 않고 그냥 풀고, 두 번째 풀 때는 다른 풀이가 있을 수 있는지 고민하면서 풀고, 세 번째 풀 때는 독설해 단계를 밟아가며 풀고, 네 번째 풀 때는 어떤 유사한 문제가 있었는지 생각하며 풀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풀 때는 가장 합리적인 풀이가 어떤 것인지 선택하며 풀 수도 있겠죠


이렇게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풀 때마다 최대한 다른 관점으로 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이제 앞에서 같은 것을 여러 번 보는 것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말한 이유를 이해했을 겁니다


아무리 다양하게 보려고 노력해도 그냥 풀어서 틀린다, 해설을 본다, 오답노트에 정리한다, 또 그냥 푼다에 그친다면 사실상 오답노트에 정리한 것을 50번을 다시 풀어도 겨우 2번 정도 본 것에 그치는 수준입니다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KSPMA) 학회장님은 사람들은 지식을 받아들일 때 평균적으로 7번의 새로운 형태로 지식을 마주해야 완벽하게 이해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처럼 여러분도 


어떻게 하면 7번을 다른 형태로 경험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것들에 묶이지 말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을 가져보기를 바랍니다. 저희는 다양한 관점을 적용해볼 수 있는 좋은 강의와 컨텐츠로 함께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9월 평가원 대비 모의고사 무료 배포를 위해 또 한번의 콜라보를 준비했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를 하면 금방 찾아오겠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