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언대 [981836]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0-08-24 23:49:39
조회수 1,743

이것이 기출 분석이다(외적준거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774952

(1.9M) [664]

보기를 읽는 자세.pdf

저번에 재수 때 제가 사용한 국어 공부 방법에 대한 글을 썼는데 생각보다 '분석을 어떻게 하나요?', '루틴을 찾으라고 하셨는데 루틴을 어떻게 찾나요?(무슨 루틴인가요?)' 등의 질문이 많아서 간단하게 써봤습니다.


문학에서 보기를 볼 때 제 루틴에 대해서 썼는데 먼저 모든 <보기>에서 이 방법으로 답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문학에서 선지의 중요도를 판별하고, 12345의 순서가 아닌 중요도의 순서를 매겨 더 유력한 선지부터 보는 습관을 길러주는 방법이고, 저는 이 방법을 사용해 보기->선지->지문의 순으로 문제를 풉니다.


제가 이것으로 전하고 싶은 것은 이렇게 풀어라!!가 아닌 이런 식의 기출 분석을 통한 자신만의 루틴을 만들어 수능장에서 무의식적으로 그 루틴에 따라 문제를 풀도록 분석하고, 연습해라!! 입니다.


기출 분석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자신만의 푸는 기준 곧 루틴이 될 듯 싶습니다.


위 자료는 제가 보기 기출 분석을 통해 정립한 방법론 중 하나이며 이런 식으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가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많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앞으로 시간이 된다면 다른 부분의 제 루틴도 써보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