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칼럼> - 같은 수업을 듣지만 성적이 다른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610315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을 재학중인 17학번 캡틴쌤입니다. 항상 고생이 많으신 수험생분들을 위해 오늘은 '같은 수업을 듣지만 성적이 다른 이유'에 관해 칼럼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수험생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들어 칼럼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1. 나는 저 친구랑 같은 수업을 듣는데?
한번 쯤은 이런 생각을 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분명 같은 학원에서 수업을 듣고, 같은 공간에서 공부를 하지만 어떤 학생들은 성적이 잘 나오고, 어떤 학생들은 성적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보통 이런 상황이라면 성적이 잘 나오는 친구는 머리가 좋기 때문에,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일리는 있지만 많은 학생들을 가르쳐보고, 직접 수험생활을 겪어본 입장에서는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효율의 차이'입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부합니다. 단지 앉아있는 시간을 공부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자신이 몰두하고 기억하고 활용하는 시간을 비로소 '공부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고 수험생활에 임합니다. 수업시간에 함께 같은 공간에 앉아있다고 해서 공부를 하고 있다고 확언 할 수 없습니다. 강사가 하는 말을 귀 기울여 듣고 그 시간에 수업 내용을 얼마나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지가 공부를 하고 있느냐, 하지 않고 있느냐를 결정합니다.
학생들을 가르치다보면 이 학생이 수업에 집중을 하고 있는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지 눈에 확연히 들어옵니다. 수업을 할 때 마다 느끼지만 당연히 성적이 잘나오는 학생은 그 수업시간 동안 집중력을 유지하여 '공부'를 하는 학생들입니다. 이런 현실을 볼 때마다 비용을 받고 수업을 하는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마음이 크게 듭니다. 같은 비용을 내지만 땅바닥에 돈을 버리고 있는 학생들이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시간을 때우려고 수업을 드는 학생들', '부모님이 다니라고 했기 때문에 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을 보면 효율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실감을 하게 됩니다.
2. 성적 상승의 주요 요인은 '집중력'
강사의 수업을 들을 때는 '집중'하셔야 합니다. 매우 기본적인 규칙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간과하는 규칙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학생의 상관없이 10명을 수업한다고 가정하면 집중해서 수업을 듣는 학생을 2명에서 3명 내지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 2명에서 3명의 학생만이 성적이 오릅니다. 강사가 실력이 좋아 잘 가르치고, 못 가르치고는 두번째 문제입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학생 자신에게 있습니다. 그 수업시간에 얼마나 집중을 하여 수업을 들으면서 수업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느냐가 성적 상승의 가장 큰 요인입니다.
수업을 듣는 시간에는 항상 효율을 생각하며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시간~2시간 동안의 수업듣는 시간은 자습을 하는 같은 길이의 시간보다 소중합니다. 우리는 그 수업을 듣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3. 수업을 듣고 나면 끝인가?
성적이 오르지 않는 학생들은 큰 특징이 하나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들은 내용은 수업이 끝났으니 끝이라는 생각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수업시간이 1시간이라면 그 내용을 복습하는데는 2시간이 필요합니다. 같은 맥락으로 수업시간이 2시간이라면 그 내용을 복습하는데는 4시간이 필요합니다. 수업을 들었다고 그 개념과 풀이, 활용법이 자신의 것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치열하고 끈질긴 노력 끝에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그 수업은 의미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인강을 듣는 학생들은 복습하는 습관을 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에서 관리를 해줄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숙제를 내주는 강사가 있는 것이 아니고 공부 한 것을 확인하며 테스트해줄 조교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인강을 1강부터 끝까지 '들은' 후 한바퀴를 돌렸다고 표현합니다. 이것은 공부를 한 것이 아닙니다. 단지 청강을 한 것 뿐입니다. 복습을 하지 않으면 절대로 자신의 것이 되지 않습니다. 수업 들은 시간의 2배만큼을 복습하는데 들이시길 바랍니다.
철저한 복습을 통해서만 수업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인강 강사가 잘 가르치고 좋은 지는 효율을 결정하지만 자신이 복습을 하는 지 하지 않는 지는 전체공부량을 결정합니다. 자신의 공부 습관부터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가지시는 게 맞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같은 수업을 듣지만 성적이 다른 이유' 관해서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항상 복습하고 철저히 이해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지시고 시간을 버리지 않길 바라며 이만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수험생분들 화이팅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단 내가 있는 곳은 그렇다
-
원래 지구과학은 2일컷으로 1등급 가능하잖아
-
인턴들 다 정규직 전환시켜주었으면...
-
다 물에 젖었어.. 물통을 가방에 넣으면 안되는 이유..
-
3키로 붙었다고 얼굴이 이렇게달라지냐 굶어야지진짜
-
밥시간을 생각 안하고 일정이 짜여잇음 밥 일반적인 점심 저녁시간에 먹은적이 이번학기에 거의없네
-
음.....일단 대가리 깨져볼까
-
수능 사진 1
작년에 찍은거 쓰면 어떻게되나요?
-
분명 한글로나온다햇는데 영어로나왓음
-
ㅇㅇ 곧있으면 결혼함
-
농담이고 이론상 냥의 가능한가요?
-
최애의 아이로 바꿀가
-
내일은 걍 폰 패드 두고 와야겠다
-
상수항 없는 이차식은 등차수열 합으로 알고있는데 저런 조건에서는 등차수열 합이 적용...
-
ㄱㄱㄱ
-
매일 꾸준히 오는 사람들 하면 30명 안될 거 같은데
-
고2 정시 3
안녕하세요 지방 일반고에 다니고 있는 고2입니다 일단 정시파이터가 되기로 거의...
-
메타 바꾸기 1
ㅇㅈ메타 ㄱㅈㅇ!!
-
그 지문 다시는 안나오는데 그 지문에서 해야하는 행동이나 사고를 알려주는 수업을 들으셈
-
우선 제 상황부터 말씀 드리겠습니다 저는 운동하다가 접고 방황하다가 고등학교...
-
헛짖음이 좀 심하네
-
그래서 1학년 때부터 시작해서 통과 물1 물2 다 같은 쌤이라 자연스럽게 3학년이...
-
고3 정시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공대가 사탐으로도 지원은 가능한데 과탐은 가산점이...
-
미소녀도 똥을 쌈? 14
궁금
-
재밌는 거.
-
나히아 최애캐 5
-
아 메타 드럽네 0
드러운 메타는 옯생 처음인데
-
주제는 학교를 얼마나 안가야 수행평가 0점을 맞을 수 있을까?임
-
지금 림잇 듣는중 림잇 듣고 김종익 잘노는기출&현돌 기시감 이거 하려고 하는데 둘다...
-
분노조절장애는 없음
-
똥메타임? 1
우웩!!
-
카가 성이고 리나가 이름이겠지
-
(나)부분은 장수생들이 현장에서 봤으면 여러 생각이 들었을듯... 공동체에 대한...
-
뭔 소설에 약이 이렇게 많이 나와... 클로로마이신... 뎀피졸...
-
요즘 평균적으로 공대를 쉬운확통사탐으로 많이 가나요 아니면 그래도 가산점 받는...
-
그리고 그 위에 예술인것처럼 보이는
-
케인님한테 고소먹나요? 민주누님한테 고소먹나요?
-
하 하 하 1
일류니까 크게웃어
-
내 뱃속에서 키우고 낳은거잖아
-
내 학장시절인기 2
교생선생들이 막들이대며 번호따가고 여선생들이 애일 맛있는 빵 줌
-
초고속충전할려면 2
충전케이블도 아무거나 쓰면 안되나요? 초고속이 되는 게 따로 있는건가요
-
확통 3등급이 목푠데 등급컷보니 70점정도는 맞아야 하겠더라구요 6~7문제 안풀고...
-
서방님들 여르비왓어염 13
뿌우
-
하나도 모르에네..누가 누군거제..
-
감떨어지는 소리 들린다
-
경제학. 2
90점인가 제발 그대로 나와다오 에쁠 제발 에쁠
-
독서-피램 문학-김상훈 언매-김동욱 ebs-김승리 어쩌다보니 분야별로 찍먹을..
-
연필통 말구 딴걸루요 이감 시즌1, 인강민철, 데일리유대종중 생각중입니다 연필통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