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수능언어vs11수능언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60553
08학년도 수능 언어와 11학년도 수능언어 어떤게 더 헬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우나를 가지않는이상 모루나 직장 건강검진때나 가서야 알게되남
-
ㅈㄴ 남자답고 뇌섹남임 ㄹㅇㅋㅋ
-
해서 얻는게 없을텐데
-
원래 오타쿠는 지능이 낮거든 ㅇㅇ 이딴걸 왜 사냐고? 물으면 지능 낮아서 그럼 이유...
-
물론 대학이 끝이 아닌건 알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근데 막상 들어와보니 여기서부턴...
-
뼛속까지 꼬인 패배자인지라 무의미한 반박을 계속했을 뿐
-
잘생긴수능강사 2
우영호
-
사진을 올리느것도 아니고 디엠이 오는것도 아니라 없어도 될고같다
-
수험생 시절 기준이니까 이의 있어도 이해 해 ㅎ 김기현 박석준 김종웅 강영찬 강윤구...
-
아이돌 굿즈..
-
로고스 인문논술 가격 대충 달에 얼마인가여,, 하…
-
팔길래
-
하루빨리 1
여자도 군대가는 세상이 왔음 좋겠다 군대가서 몇명 죽고 뉴스에 나오면 그때가서야...
-
명조견 있음? 0
질문 있는데 지금 폐사구간 아니지?
-
제발 공도는 도형을 우선해서
-
얼버기 4
얼인가?X 버인가?X 기인가?X 뻥임뇨
-
고대 산업경영공학 정시로 가기 많이 빡센가? 사탐 두개 만점이어도 못 갈 정도?...
-
버튜버한테 10
200후원해도 식데도안해주던데 아이돌굿즈는 왜사는거임??
-
좀보기힘든애있네 6
-
옛날엔 이명학이라 생각했는데 이제 또선생님 같음
-
시네마틱은 다 봤고 나무위키 문서 보고있음
-
작수 언매99고 올해는 피지컬 자체를 더 기르고 싶어서 지금 인강민철하다가 리트로...
-
난 놀랬던 게 9
대중에겐 인지도 없는 보이그룹이 돈 쓸어담는 거였음
-
옯밍아웃하고 현실에서도 친해질거임? 아님 현실에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척 할거임?
-
연예인 힘들다 발언 10
관심빨라고 뻥치는거임 정치인과 연예인은 관심 = 권력
-
무물보 20
없으면자야지
-
슬슬잘까 12
할거없
-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여돌)도 탑티어로 많이 까이는 축에 끼는데 누가누굴 걱정하는 건지 모르겠긴함
-
아마 제가 수능을 봤으면은 아무것도 안떠오르고 70점대 나왔을것 같은데 다시 보니까...
-
얼버기 7
안녕하세요
-
뭔진 얘기 못함
-
가장 먼저 성적 인증합니다. 전 글에서 썼던 그 성적표 사진 그대로긴 합니다.....
-
가슴이 웅장해진다 진짜
-
설마 제가 그동안 목록으로 110페이지가 넘을 정도의 글을 썼다는거에요?
-
뭐??? 모쏠 오르비언들은 상관없다고,????
-
그래도 학창시절에는 쟤 그래도 공부는 어느정도 해 이 쉴드때문에 개무시당하지는...
-
가끔이런생각해봄 7
어쩌면 나는 태어나서부터 죽을때까지 그냥 뇌에서 보여주고 있는 일종의 1인칭 3d...
-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풀이 해주는 거 다 인도 형님들임? 갈색 손 서툰 영어 억양
-
체스하실분 14
https://link.chess.com/play/kcxeR6
-
제가 친히 구매해드립니다
-
설경vs5급공채 7
문과 기준 어디가 더 높음
-
평균 6등급이라 단순히 공부 시간을 늘리자면 확통이 맞는 것 같은데 순수하게 흥미가...
-
닌진 누나 4월에 보는거만 생각하면셔 살고 있음
-
학교다닐 때 내신 5등급이고 맨날 남자아이돌 영상이나 보면서 노는 여자애가 홍은채...
-
인생의공략법 1
행복의필승법 반복하고 반복해서 다시태어나서 린카네숀 린카네숀 의비통한외침
-
여기에는 친구들이 있어서 좋아요 좋은 밤 보내고 내일봐요
-
자야겟가.. 2
응..
-
파돌리기 송
저도 08수능이 더 어려웠어요
11수능은 지문이 어렵다기 보다는 문제가 어려웠고
08수능은 문제보다 지문쪽이 더 독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후아아후
저는 윗님이랑 반대로 생각했는데....저도 할인률 넘어려웠어요.
전 11수능에한표 08은 왜 일컷이 90인지몰게씀
11
지금보니 08년도에 레전드 문제들이 많네요. (어려운걸 떠나서 질좋은 문제들이 많네요...개구도 구하는 짜증나는 문제도 하나있고)
그런데 08년도 수능은 좋은 문제들이 많아서 그만큼 시중에 많이 떠돌고 분석도 많이 되서 학생들이 여기 쓰이는 출제자의 습관들이 대부분 체화가 됬을거에요.
특히 하비의 순환이론같은 경우도 1번같은 경우는 문제해결을 묻는 문제라 준비된 학생이라면 이게 뭥미??하며 풀릴 정도거든요. 할인률도 분명 그때 킬러문제지만 (그당시 수험생들한테)
분석해보면 할인율은 이자률과 역의 관계이다. 라는 말이 여러번 언급되는데 이걸 통해서 이자율은 늘어나면 좋은거니 역으로 할인율은 늘어나면 나쁜거구나 하고 추론이 가능해요.
또한 난이도가 높아서 학생들을 배려하려고 그런건진 모르겠지만 선택지들끼리 모순을 일으키게 해놔서 (답이 명확하다는 말) 상황이 여의치 않은 수험생같은 경우는 이런식으로 맞았다고도 하더라구요...
그러니까 수리영역으로 치면은 무한등비급수 도형 처음나왔을때랑 지수로그활용문제 처음 나왔을때 4점으로 어렵다고들 생각했잖아요. (지금은 하도 반복되서 3점이면서 그당시보단 객관적인 기준으론 훨씬 어려운데)
그래서 지금 수험생들한텐 등급컷 보면 이해가 잘 안갈수도 있을것 같아요. 하지만 11수능은 10 6평 10 9평 처럼 추론의 영역도 강하고 (채권 2번 문제같은 경우는 완전...) 두더지 처럼 완전 문법중심의 문제도 나오고 그레고리도 준비안된 사람이라면 (문제해결+계속반복되는 유형) 벅찰만큼 복잡해 보일수도 있으니까요. 보통 추론의 영역이 많이 들어가면 시기에 관계없이 무조건 어렵다고 느끼는거 같아요. 10 6평하고 10 9평 분석해보니 대부분 틀린 문제들이 거의 추론유형이더라구요. 대부분의 언어에서 어머니의 m과 같은 유사성은 배제해야 한다?? 이거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