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426722
'단어를 바르게 띄어 쓰기'에서 '띄어' 형태소 분석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띄- + -어
어간 어미
의존 의존
실질 형식
이렇게 분석한 것이 맞나요? 또, '띄어'가 하나의 단어인데, 두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졌기에 복합어입니다.
합성어는 아니므로, 파생어인데, '-어'는 어미이자 접사인 것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사전 찾아보면 띄어 쓰다 할때 띄다는 띄우다의 준말로 되어 있습니다. 띄우다는 뜨-+-이우-+다 로 구성되어 있고, 뜨다의 사동사입니다.
이거랑 별개로 직접구성요소를 찾을 때 어미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직접 구성 요소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모의고사 풀다가 마주친 기억이 나긴 하는데..
말을 직접 이루고 있는 두 부분으로 나눈거요. 이거에 의해서 합성어인지 파생어인지 결정되죠
직접 구성 요소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자 해서, 모의고사 문제를 찾아본 후에 풀어봤는데... 문법이 의외로 재미있군요 ㅋㅋ
제가 분석한 게 맞을 때마다 짜릿함이 있네요
하나 못 여쭌 게 있네요..
그렇다면, '읽은'은 단일어이죠? '어'라는 어미를 고려하지 않으면 '읽-' 이라는 어근밖에 남으니까요
어미이면서 접사가 될순없지않나 둘이 아예다름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