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405504

3번 문제에서 ㄷ이 틀린 이유가 두 별의 광도가 같으므로 각 별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파장에 따른 복사에너지의 총 합이 같아서 면적이 같다고 했는데요 그럼 저 그랴프의 면적이 광도를 의미한다는 건가요? 근데 4번 문제를 보면 별 (가)에 해당하는게 A인데.. 가의 광도가 더 작은데 그래프의 면적은 더 크잖아요.... 뭔가 이상한데.. 지금 제가 뭘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저도 이거 모르겠음
제생각에 4번은 단위면적당일껄요
3번은 총 복사에너지라 했잖아요
4번 이 그래프 준거같은데 이거 자체가 단위면적당이에요 단위면적당 ㅇㅇ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만족하게요
밑에까 총복사에너지양이아니라서 그런거아닌가요
저거 오지훈쌤이 수특 tcc에서 설명해주심 '복사 에너지 세기'가 3번같이 문제에 써있듯이 별 전체 표면에서 방출되는 총 복사 에너지 세기를 나타낸다면 플랑크 곡선 아래 면적은 광도구요 Y축의 '복사 에너지 세기' 가 별의 단위 면적 당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 세기라면 플랑크 곡선 아래 면적은 별의 단위 면적 당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 양이고 별 표면 온도 네제곱에 비례하는 값이에여 이해안가시면 오지훈 tcc 함 찾아보는거 추천

헉 알것같아요 다들 정말감사합니다!!!!!!!수특문제는 별전체에서 방출되는 광도로
광도곡선이고
플랑크곡선음 단위면적조건도 들어있습니다
넵 감사합니당!!
혹시 이거 몇년도 수특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