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1러분들 걍 들어오세요 (pdf. 자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314458
swkmiki123 생1 개념 정리.pdf
안녕하세요 swkmiki123입니다.
제가 맨날 지2자료만 올려서 이새기 뭐지 하셨을 텐데,
오늘은 근본있게 생1자료 투척할게요.
참고로 이 자료는 어디에도 올린 적이 없어요. 어제 방청소하다가 1년만에 발견한거거든요ㅋㅋㅋㅋ
위 자료는 제가 수험생이었을 때 공부한 생1의 개념들(평가원이 무조건 다루는 내용 절반, 사설/지엽 절반) 중에서,
문제를 풀면서 아직 체화가 되지 않았다고 느낀, 다시 봐야할 것 같다고 느낀.. 그런 개념들을 저만의 언어로 변형하여 모은 겁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위 자료는 제가 수학공부법 pdf https://docs.orbi.kr/docs/7471에서 설명드린 나만의 보라색 글씨 있잖아요? 그걸 한 곳에 모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근데 제가 2019학년도까지만 수험생이었으니까 위 자료의 내용에는 1년 공백이 있긴 합니다ㅋ 그래도 어느 정도 필수적인 요소들은 남아있다고 봐요.
여러분들도 앞으로 틀린 선지나 헷갈린 개념/생각들이 있으면 저처럼 한글파일에다가 하나하나 저장하거나 노트나 이면지에다가 하나하나 모아보세요. 어디에서 따온 선지/개념/생각이었는지 참고할 수 있도록 옆에다가 조그맣게 책이름/쪽수/문항번호 쓰시는것도 추천합니다.
근데 너무 '선지/개념/생각 컬렉팅'에 집착하지는 마세요. 시간 은근 오래 걸리니까 공부에 방해되지 않는 선까지 하시고, 솔직히 지금 자료로도 한 50%의 수고는 이미 덜으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수험생 시절 때 1~62는 그냥 싸그리 몽땅 외워진 상태로 수능장에 들어갔습니다.
학평이나 평가원 모의고사나 수능 등등 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 것들은 14, 27, 37, 38, 40, 41, 42, 48, 50, 60, 61, 62 처럼 '생각을 해야 하는(?)', '원인과 결과(인과관계) 추론을 해야 하는' 그런 선지들이었고, (얘네들은 시험장에서 재빠르게 척척척 생각해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훈련이 돼있어야죠? 솔직히 40, 42 등등은 아직도 헷갈려요. 경험담인데 훈련안돼있으면 시험장에서 뇌절오기 딱좋습니다)
그냥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은 2, 9, 12, 20, 21, 26, 28, 29, 30, 31, 32, 39, 44, 55, 56 이 되겠고,
나머지는 지엽 정도가 되겠네요.
그리고 7, 11은 식물과 관련된 것들인데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빠진 거로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 자료는 준킬러/킬러문제를 풀어내기 위한 자료가 아니라,
절대로 틀려서는 아니되는 중/하 문항들을 위한 자료라는 점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1
늦은 감이 있지만 그래도 초심 회복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그리고 다시 말씀드리지만 떠돌아다니는거 적발되면 선처 없습니다.
내년부터 값이 매겨질 저작물이기 때문에 반드시 개인용도로 사용해주세요.
P.S.2
위 자료에서 뭔말인지 모르겠거나 이상한 게 있으면 번호 앞에 붙이고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아래에다가 자료에 관하여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드렸습니다.
< 질문거리 정리 >
개정 전에는 '중간뇌'를 '중뇌'라고 했습니다.
28.에 '뇌교' 추가해주세요. 28.의 포인트는 척수는 뇌줄기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31.의 신경분류체계는 개정 전후가 살짝 다르다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40.에서 '후엽' 하고 '이어진부분'이라 돼있는데, 교과서나 참고서에 뇌하수체 전엽/후엽 그림 보시면 후엽은 뇌하수체에서부터 쭉 이어져있고 전엽은 그냥 후엽에 붙어있는 모양이에요. 그거 말한겁니다.
0 XDK (+1,100)
-
1,000
-
100
-
킹리적 갓심 0
12월 13일 공군 1차 합격발표였으니깐 3월입영해서 이제 훈련소 수료하고...
-
아침에샤워안하고나왔더니죽고싶음
-
아자아즈
-
그냥 찾아보다가 오르비 갑자기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 부산대...
-
그리운 오르비언 10
하이샵 구쏘개 라유 태루 없는분도 있는데 두분은 진심으로 잘되길 응원하고 있어요...
-
일찍일어나는사람
-
여캐일러투척 3
동일인물이라네요...
-
하루정도는 재밌네... 그런데 24시 카페 이런 곳 지금 가면 사람들 단체로...
-
상수 미븐하면 0되는지 모르는 친구 중력이 보존력인지 모르는 친구 뭐지이건
-
오늘도깼네 1
왜잠을푹자질못해
-
예시 찾아봐도 gpt 복붙한 글들밖에 업슴
-
생존자잇나 8
5시의오르비
-
잠을 자야해여 3
한 3시간 자려나… 왜 시험이 토요일에 잇고 지라리야
-
난 자주쓰는데 생각해보니 쓰는 사람을 거의 못본듯
-
오랜 생각이다.
-
그때그감성이되살아남
-
마지막 질문 18
이거 풀이가 물어보는 사람마다 다 달라서 어떻게 푸시나요
-
그냥 수식으로 밀어재껴내는 풀이는 흉내도 못내겠네
-
난인복이정말조은거같어 13
근데이런말하는사람들은보통자기가좋은사람이라그런거래~
-
날인가보다 오늘이
-
공부 정말 많이해야할듯
-
혼자 한잔했다 5
크으
-
인후통 좆같다 0
묘하게 서럽네
-
일 힘들때마다 찾는건 뭐야 더기분나쁘네
-
여행용 가장 큰 캐리어에 양쪽 다 수능교재만 넣으면 몇kg정도 될까요?? 사실...
-
ㅠ F 랑 직선 교점 잡고 l = a+5로 풂
-
은 다들 느끼는거갰죠
-
설마 3번째 코로나 감염인가...하
-
체급 차이가 너무…
-
나의 인스타 흑역사는 모두 새벽갬성으로 벌어진 일들임
-
평가원 교사경 전부풀기 이해원 n제 시즌1 랑데뷰 쉬사준킬 미적 지인선 n제 드릴...
-
아오
-
코시-슈발롬츠 공식 이거 올만에 보게 됨 근데 이거 교육과정 아니지 않나 머 어려운...
-
나는 홍대병이라 추남 EX)드레이븐(노홍철) 요들 EX)코르키 좋아할게
-
60도 5:7:8 (5와 8 사이) 2:3:루트7 (2와 3 사이) 3:4:루트13...
-
다시 목적이 생김
-
아까도 겟또 으하하하하
-
15렙이니까 감 5
낼봐
-
집에서도 공부하는 척하는데
-
요즘 뭔가뭔가임 8
글쓰면 다들 술마셨냐고 물어봄 웃긴 건 80퍼정도는 맞다는 거임
-
정적분으로 표현된 함수의 적분 ㄷㄷ 순간 당황함
-
14(찍맞) 15, 22, 30 틀려서 88점입니다. (기하러) 실전이었음 21도...
-
쿠팡 가야지 근데 겨울에 햇는데 자꾸 안 받아줫는데 이제 민증 나왓는데 받아주려나
-
지금 다니는 독서실이 재수생이랑 같이 있는 곳이라 오후 3시 등원만 가능하고...
-
큐브 나도 할래 5
나도 풀 수 잇는데 우으
-
원서시즌이라 한번 띡 누르면 천뷰 이천뷰이랬었는데 그래서 그때 저격하는사람보면 개무서웠었음
-
잘자요
-
94개 풀었네 ㅋㅋㅋ
-
그,ㄴ데 음원보다 라이브가 좋길래 걍 안 들음
감사합니다
호다닥조아요눌러씁니다
꺼이꺼이

슬쩍읽어봤는데 제가진자노베일때 ㄱㄴㄷ에서 하나씩나가던 선지총집합인거가태요 ,, 감사함미다쥐엔장 안믿고있었다고~~
자료 감사합니당

지2만 해도 너무 감사한데 생1까지ㅠㅠ
현역때 비킬러 정리법 보고 정리했던거같은데 진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그저 빛 ,,,,,
독재생은 오늘도 도움얻고가네요 감사합니당
감사합니다
좋아요 스크랩다했읍니다 ..
감사...압도적 감사..!
생1자료라니... 무한한 감사...
감사합니다ㅜㅜ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31번 신경분류체계 개정되면서 살짝 바뀌었습니다
구심성(감각)
원심성(운동):체성/자율(교,부교)
+ 뇌줄기: 중뇌 뇌교 연수

오.. 살펴봐주셔서 감사합니다!!제가 완전 잘못 공부하고 있었네요 6모 생1 2등급 이번 7모 생1 3등급 받으면서 전 아직 프리서바같은 사설모의고사가 아닌 기출과 ebs에 집중해야한다는것을 깨달았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가능하시면 지금부터리도 풀만한 생1 기출문제집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제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는 글이었습니다.ㅜㅠ
학생분이 문제가 되는 것은 준킬러/킬러 그리고 기출모의고사 연습일 거예요. 빨더텅으로 모의고사 보는 연습을 습관화하시고, 검더텅으로 보완하시기 바랍니다. 킬러유형부터 공부하시기 바라고 어차피 빨더텅 계속 풀다보면 본인이 어디서 실수하는지/헷갈려하는지를 스스로 인지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기출문제집은 아무거나 풀어도 되지만, 마더텅의 답지가 매우 좋아서 추천드리는 거예용
앗, 호흡이 '연뇌'?
뇌줄기는 아이고 나 '중뇌연'
평형은 '소중'해
중뇌는 눈관련
척수반사는 참을 수 없어
연수반사는 참을 순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