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상, 매칭이론의 셰플리와 로스가 수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23753
![](https://s3.orbi.kr/data/file/united/236992448_2qywVUxH_RTR395YL.jpg)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 님들이 만드시는거에여?
-
솔직히 어린시절부터 내 이름 별로 안좋아했는데 모 고닉이랑 장난삼아 이름바꿔보니까 둘한테 다 좋아보임 13
그냥 이름바꾸고 싳다 진짜로
-
현재 모고 국영수 435에 탐구는 제대로 봐본적도 없는 그냥 공부 안하는 인생망한...
-
이제자러가야지 4
큰일남일곱시반에일어나야되는데 다망했어
-
뭐가 더 낫지 15
커피 vs 몬스터
-
맨전드 캬
-
여행이 땡긴다 2
미드나잇 인 파리 극장에서 봤는데 여행가고싶다
-
크하하하하
-
오야스미 4
네루!
-
방향이 잘못되면 성적이 안 나옴?
-
야식 ㅇㅈ 10
불닭큰컵+핫바
-
똑같이 푹 쉬었는데 왜 토트넘은 부상 복귀하고 우리는 멀쩡하던 4명이 사라져요???
-
제 전적대가 전문대라 학점이 거의 만점에 가까운데 괜찮은 학교에서 3후반~4점대...
-
버그겠지
-
언제 어디선가 꼭 되돌려 받을 수 있길 바랄게요 오르비언들 좋은 밤 되세요
-
저번에 시킨 지점은 고바순 조각을 작게 해줘서 소스 찍어서 한입에 먹기 좋았는데...
-
숏컷하면 이상하게보려나 11
머리감기 귀찮아서 졸업사진 찍고 숏컷하고 싶긴한데… 좀 이상하게 보려나요?
-
닉네임 뜻 15
노래제목에서 따왔어요
-
맛있으면 우는 고양이
-
ㅎㅎ
-
여친 생일 선물 .. 10
추천좀 해줘용ㅇ..ㅜㅜ
-
브라마굽타 3
브라마굽타
-
마지막 기회)파리비 레어 사시는 분 1만5000덕 드림 9
여기서 안 팔리면 걍 안고 삶
-
댓글 제일 먼저다는 사람의견에 따르겠소
-
ㅎ 아 트레블당하는건가?
-
2월도 절반이 지났군 10
-
연고대 서성한이 한성대, 삼육대처럼 약술형논술 시행으로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
-
안녕하세요 올해 21살된 05년생 남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24수능을 친후 지잡대를...
-
인사해주세요 3
반가워요 선생님,, 오늘도 머리에 잡음으로 가득해서 잠이 안 오네요.,.
-
동아대 논술 0
왜 동아대 논술은 없니? 신한대, 강남대 약술형 논술 있잖아
-
진짜 독헉재수할때 너무 힘들고 외롭고 우울할때(특히...
-
우리나라에 없는 것 같아 삼 대학 가서 여기다 음료 담아서 강의실에서 마셔야지
-
맞팔구 6
-
홈팀의 무덤 맞죠? 원래는 원정팀의 무덤이었던거 같은데?ㅎㅎ
-
나도몰러
-
내일이 벌써 6평이네 11
살짝 떨리는거 같음
-
옛날이 그립군 4
차가운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와 혐오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나조차도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군......
-
챔스나갈수있는 4위에서 유로파권인 5위로 하락 ㅠㅠ
-
오르비에 오는 횟수가 줄고 있음 언젠가 진짜 그만 오는 날이 있을거같음…
-
흐흐
-
후란쓰로
-
시차적응 1
진짜 하루만에 되는 느낌
-
요맘때좋다 2
맛있어
-
이미지써주세요 24
아이고말고..
-
레전드로 누웠음 9
이궈궈던
-
가르나초야..? 10
엄...
-
이미지 써드림 47
정성 들여서. 선착 7명
-
그래도 대학 가기 전에 12
한능검이라도 따서 다행 인생 현타 씨게 올 뻔
저 대입제도 좋긴한데.. 우리나라에서 하면 문제많을것같네요 쏠림현상때문에
그래 서울대! 서울대가 좋겠다!
다 서울대 지원하겠죠. 근데 서울대는 맘에 드는 몇 명만 꾸리고 데려서 확정지음. 그럼 나머지는 또 연고대에 지원. 연고대에서 또 좋은 애들 꾸려서 확정지음. 그럼 남은 애들은 그 다음 순위 또... 무한 반복.
쏠림현상이 문제될 방안은 아닌 듯.
우선, 제가 이해한 바로는 (NYT에서 검색했습니다.)
1. 한 학생은 자신이 제일 가고 싶어하는 학교에 지원을 합니다.
간단하게, 하나만 쓰는거죠.
그럼 그 학교는 자신 학교에 원서를 넣은 학생의 스펙과 성적을 학교 나름대로의 알고리즘대로 순서를 매겨, 정원내의 학생은 일단 hold하고 순위 밖에 밀려난 학생들에게는 reject를 날립니다.
이때, 합격이란 용어는 쓰지 않습니다.
2. reject를 받은 학생은, 자신이 제일 원하던 학교에 떨어졌으니 자신이 생각하는 2지망 학교에 원서를 쓰게 됩니다.
그럼 그 학교에서는, 또 1지망 중 정원내의 학생들을 hold한 상태이겠지요. 이때, 2지망으로 쓴 학생들의 성적과 스펙을 또 면밀히 전부 검토합니다.
그것과 기존 hold한 학생들을 전부 합쳐 순위를 매겨, 정원 내의 학생은 hold, 그 밖은 reject를 보냅니다.
3. 이런 방식대로라면, hold 통보를 받았다고 해도 자신이 정원 밖으로 밀려나게 되면 언제든지 reject를 받습니다.
4. 이 과정을 reject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 까지 반복합니다.
즉 사회에 최대로 효율적인 분배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겁니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지만요.
참고로, Alvin Roth 교수는 경제학 분야에서 노벨상의 대상으로는 잘 언급되지 않은 분입니다. 그래서 지금 경제학에서는 한층 더 매칭이론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구요.
+
이 이론이 주목을 받은 점은, Lloyd Sharpley 교수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체계화시켜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도출했다는 것이네요.
학생이 선호 순서를 적어내면, 그 알고리듬대로 학교 배정이 이루어지는 겁니다.
여튼, 이 방식대로라면 학교 간 경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 상황은 정의역과 치역이 서로 다른 변수를 가진 two-sided matching이기 때문에,
양자가 서로 각자의 선호를 순차적으로 제시해서 서로를 택하는 과정이고, 이 과정을 통해서라면 학생이 선호를 속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 분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