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변형문제가 좋은 변형문제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20686
변형문제를 올리고 ( http://orbi.kr/0003105970 )나서 학생들의 문의가 많습니다. 제가 오르비에서만 활동하는 게 아니라서 여기 저기에서 질문들이 나옵니다. 질문들 중에는 이런 것들도 있습니다. "선생님 작년에도 만드신 문제 있으시다던데 얼마나 적중 되었습니까?"
이런 질문을 받으면 안타깝습니다. 학생들에게 있어서 변형문제의 가치가 잘못된 곳에 놓여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중을 몇개 했는가?"가 중요하게 된 것은 상업적인 강사들이 자신들의 강좌와 교재를 팔기 위해서 만든 잘못된 가치개념일 수 있습니다. 제가 적중에만 신경을 쓰고 변형문제를 만든다면 저는 100% 적중시킬 수도 있습니다. ebs지문 개수만큼의 변형문제를 출제하면 됩니다. 웃기죠? 제작년인가 1500개의 지문을 뽑아놓고서 자신의 교재에서 90%이상 적중되었다고 자랑하는 강사를 봤습니다. 이게 자랑할일입니까? 원숭이나 코끼리가 뽑아도 그정도 적중률을 갖습니다. 20개를 뽑았는데 그 중에서 5개가 나왔다는 그 사람은 이미 "신"의 영역에 있는 사람입니다. 우리 주변에 흔한 통계의 마술에 속지 마시기 바랍니다.
수능은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고르게 출제가 됩니다. 따라서 적중률을 높이려면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다 뽑아야 합니다. 이게 제가 추구하는 가치는 아닙니다. 저는 일단 쉬운 지문은 배제시킵니다. 어차피 학생들이 쉽게 풀수 있다면 굳이 제가 다뤄줄 필요성이 없어질 것이니깐요. 저는 오로지 "만점"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변형되었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지문들에 대해 가장 신경을 많이 씁니다. 학생들에게 존재하는 빈 틈을 파고들어서 제대로 모르던 것을 제대로 알도록 해주는 것이 제가 추구하는 가치입니다. 물론 저도 대중성을 생각하기 때문에 "전형적 지문"을 뽑기도 합니다. 지문들 중에서 특정 유형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것들이 보이면 일단 문제로 출제를 합니다. 그리고 그런게 실제로 똑같은 문제로 출제되기도 합니다. 7월 교육청 모의고사 순서문제는 제가 만들었던 것과 지문을 자른 곳 까지도 일치했습니다. 이런게 전형적 문제입니다.
변형문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다른 곳에 두어야 합니다. 바로 "논리"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를 출제할 때, 아무 의미 없는 곳에 또는 근거가 부족한 곳에 빈칸을 뚫어 놓는다면 그게 학생들의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 어떤 도움이 되겠습니까? 근거가 희박한 문제는 어려운 문제이지만 더러운 문제가 됩니다. 그런 것들은 학생들에게 혼란만을 가져오게 됩니다. 빈칸의 정답 선택지는 문제 만들기 전에 이미 본문 속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답 선택지들은 변형문제를 만드는 사람들이 만들게 됩니다. 거기에 논리성이 없다면 문제로서의 가치는 떨어지고 학생들에게 잘못된 지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훌륭한 변형문제는 오답 선택지가 오답이어야 하는 명확한 이유와, 오답이 아니게 보이도록 하는 위장 장치를 갖춰야 합니다. 자의적 해석을 하는 학생들과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에 빠질 수밖에 없는 함정이 오답 선택지에 마련되어야지 좋은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주제, 제목, 요지, 요약문 완성처럼 정답 선택지도 직접 만들어야 하는 경우에는 문제를 만드는 사람의 자질이 정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정답 선택지가 정답이 될 수밖에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재수생 강사로 오랜 시간 강의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을 풀어 봤습니다. 근데 지문이 좋다고 문제가 좋은 것은 아니더군요. 문제의 질이 떨어지는 것들이 오로지 지문이 적중했다고 좋은 평가를 받는다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가치는 "진정한 실력" 이 아니라 단순한 쪽집게가 될 뿐입니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ebs 밖에서 나오는 30%의 문제들 (정확히 말하면 독해 파트의 40%이상의 지문들 - 문항 개수로 15개)를 풀 수 있는 실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훌륭한 변형문제는 EBS지문을 활용해서 EBS지문 외의 문제까지 대비시켜주는 것이어야 할 것입니다. 오답 선택지가 훌륭한 변형문제 - 이 변형문제가 가장 훌륭한 변형문제일 것입니다.
만점 받으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부터는
-
멋있음
-
질서를 주도하시네
-
올해는 여자친구 꼭 만들거예요
-
싸움구경하나는 재밌긴함 ㄹㅇㅋㅋ
-
그건 잘못인거 인지하고 안하겠음 그건 진짜 죄송했다는 말 들이고 싶음 다시...
-
인천대에서 삼반수해서 인하대 갈만할까요?
-
불편하셨으면 미안함
-
제가 지적한 부분에 대한 납득할만한 해명 그게 아니라면 그러한 행동들에 대한...
-
왜싸움? 10
진짜모름
-
진짜 궁금해서 묻는건데 이런게 왜 논쟁거리가 되나요?ㅋㅋ 5
이건 사실 싸우는 게 아니라 한 사람의 행동에 대해 자제하기를 촉구하는 것 아닐까요...
-
계속 수학 못하는 애들을 위해 확통 마련해주니까 저렇게 말하는거임. 확통 100인...
-
난 공부잘하는사람편
-
그런 모습을 기다려주는 것 또한 미덕이겠죠 잘못한 거 알면 입 닫고 잘못했습니다 한...
-
'오르비 비판' 이거임?
-
왜 자유전공도 유사법대 노릇을 하는거냐
-
영어 질문 0
We are largely ignorant 까지 해서 문장 완결 아닌가요? 뒤에...
-
저는 강약약강임 24
저보다 외향적인 사람앞에서는 내향적인데 저보다 내향적인 사람앞에서는 오히려 말 많아짐
-
반박해야 하는데 내가 20번 풀이쓴거 자삭해서 없네 3
증거 없음 걍 글 못쓰는 내가 진거다 이긴 내 병크다
-
수학 선택과목 체제도 병신 같고 오래된 생각이다
-
밥먹으면서 서로 섭섭했던거 이야기하셈 그러고 화해 ㄱㄱ
-
확통 미적 기하 다 해봤는데(기하는 개념만) 미분까지는 그렇다쳐도 적분까지하면...
-
으흐흐 1
좋은 몸인걸
-
식물 거래 후기 4
저보다 나이 훨씬 많으신 분이었는데도 거래하고 커피까지 쥐여주고 가심..
-
바지가 뜨끈하니 기분좋아져서 웃었어
-
사회문화로 쳐 빨리 꺼져❓ 알았다 어 진짜 갈게 정훈형님 보고계세요? 아 진짜 빨리...
-
테는 뭐임 7
뭐하면 주는 거임?
-
이 싸움을 끝내줘.....
-
스스로가 가진 틀에서 벗어나기란 역시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
자야하는데 11
라칸하는데
-
그때도 저 분이 저 과하게 돌리고 비꼬는거 보고도 흐린눈 했었는데 그때 한 말은...
-
섹시한 0
순두부찌개 먹어야징 ㅎ 일루와잇
-
한 250mL 먹엇는데 내 생각보단 별로 맛없네 알콜램프맛으로 시작해서 쓰다가...
-
이게무슨... 2
난리가났네요
-
어짜피 돌이킬 수 없음 11
나 사실 내 오르비 이미지 원래부터 망한거 암 걍 우울글 계속 쓰고 저능하다 그런거...
-
중재하고싶지만 1
너무나 윗분들의 싸움이라 쩔수없이 울면서 직관하는 기분
-
난 경제 모르니까 빠져야겠다 고등학교 경제는 모르지만 블랙숄츠는 알면 개추 ㅋㅋ
-
적당히들 합시다 4
상처뿐인 싸움은 빨리 끝내는게 이득입니다 그냥 이걸로 둘 다 얻는건 없어보입니다...
-
ㅈㄴ 유사법대같은데 스캠당한건가 국장연이라 리트치는것도 불가능하고 좆같다
-
근데 그렇게 따지면 수1 수열 점화식은 확통러들에게 유리하다고하심 도형은 기하에게 유리하고
-
어린양이 된 기분..
-
경제가 아니라 사문생윤이면 내가 옆에서 ㅈㄴ 공감해줄텐데 5
경제라 별로 할말이 없네 생윤사문은 말도안되는 개꿀통 맞습니다 표본 역체감 미친듯이...
-
소신발언 1
진짜 피곤한데 배가 너무 고픔 참고 잠 자려고 30분동안 수면음악 트러놓고 가만히...
-
인증을 요하신다면 무응답으로 일관하겠습니다
-
화해하세여.. 1
주말의 새벽이 불편한걸 보고싶지는 않잖아여? 서로 입장차이일뿐 농락의 의미는...
-
과학 지문이니까 또 문과 애들이 어렵다 지랄 발광 한거임 반면 그것보다 훨 어려운...
-
https://m.site.naver.com/1Abu2
-
그냥 좆같은거임 5
실패 한번에 사람이 흔들리고 한번 흔들리니 자꾸 부딪히고 넘어져서 몸좀 가누려고...
확실히 적중적중 하는건 좀 아닌 것 같아요...
막판되니까 확실히 적중에 목숨 거는게 느껴지는데 좀 안타까워요.
결국 이건 하늘에 달린 건데 말이에요...
정말 끝까지 실력 쌓은 놈이 이기는게 수능인것 같아요.
상변선생님 글 좋아요~
실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EBS때문에 교육에 파행이 생기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