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388153] · MS 2011 · 쪽지

2012-10-06 21:27:24
조회수 2,773

연대 사회 답안 '공유'해봐요ㅎㅎㅎㅎ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05554



저는 방금 독서실 도착..하...ㅋ...13시간만에 다시 왔네요 집
지금 사회계열 쓰신 분들 답안 슬슬 보고있는데 이것도 맞는거같고 저것도 맞는거같고
이거 보다가 저거 까먹고 해서....
댓글로 여러분 의견 공유해주시면 서로서로 비교해봐요!
어짜피 뭐..결과는 우리 손을 떠났지만 이런 거 안 하면 재미가 없으니까요ㅋㅋㅋㅋ

1. 대응 및 비교 문제

찬찬히 읽으니까 예외 찾으신 분들 많으시네요...ㅎ...

저는 일단 가/나-다 표 그려서 그냥 일일히 대응했어요 
그래서 아주아주 평범한 걍 제시문 복붙이 되었다능../ㅁ/

2. 

전 가-1 주장 옳다고 전개했어요.

라-그래프 해석은 낙관,현실>비낙관,현실>비낙관,비현실>>낙관,비현실로 보고
현실성이 낙관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며, 현실적일 땐 낙관적인게 도움이 되지만 현실적이지 않을 땐 낙관성은 오히려 독이다.
그러나 가에서 비현실적인 낙관론자들인 학생들의 성적이 좋다고 하였다.
이는 라와 전면적으로 배치되는 실험으로, 긍정적 환영을 옹호할 수 없다.
긍정적 환영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실혐결과가 이렇게 나온  근거는, 제시문 가-에서 찾을 수 있다.
ㅡ행복을 믿는 사람들은 기준을 자신에게 유리한 것으로 지정하며 사실이 아닌 의견도 받아들인다ㅡ
뭐 이렇게...대충 막 쓰고 제시문 가-의 전체적 내용 (앞쪽 문단)이 긍정적 환영론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다고 생각해서 가가 옳다고 서술했어요.

근데 지금 보니 저 안드로메다 간 듯ㅋㅋ

여러분은 어떻게 쓰셨나요?ㅎㅎㅎㅎ
전 광탈인거같아욬ㅋㅋㅎ헤헿ㅎㅎㅎㅎ오늘 13시간 버렸네옄ㅋㅋㅋㅋ
기차도 놓치고 공부할 시간도 놓치고 연대도 놓치고?ㅎㅎㅎㅎㅎ공부나 해야지...하...ㅎㅎ

그래도 붙었으면 좋겠네요..ㅋㅎㅎㅎㅎ^^ 이제 다들 수능 대박납시다! 
의식의 흐름대로 글 썼네요...마치 내 논술같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엘 · 415086 · 12/10/06 21:41 · MS 2018

    13시간이면 지방이신가요ㄷㄷ 고생하셨네요! 전 비교, 대응문제는 처음에 시간 부족할까봐 허겁지겁 쓰느라 세밀하게 분석하지는 못했고 그냥 평---범 하게 쓴 것 같네요ㅠ 2번은 가 주장이 옳지 않다고 전개했어요. 가의 역경을 시험하고 대응해서 역경 극복에 유리하다는 주장이 틀리다고 하고, 반론은 가에서 말하는 행복은 라의 실험으론 판단할 수 없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때 자아 발전을 이루어낸쪽이 행복할것이다라는 쪽으로 썼어요. 표 대응할때는 낙관 하&현실상> 낙관하&현실하를 이유로 현실성이 중요함을 드는게 포인트였을듯...

  • 행정학 · 388153 · 12/10/06 21:45 · MS 2011

    저만 가 옳다고 한듯..ㅎㅎㅎ...논리적 구조라도 맞았으면 하네요
    전 1번은 세밀하게 일일히 대응했는데 예외 이런걸 안 구한게 함정...ㅋ.. ㅠㅠ2번도...말 그대로 추론을 전혀 안 했어요..그저 이제 수능이나 잘 쳐야겠네요ㅠㅠ

  • 오엘 · 415086 · 12/10/06 21:54 · MS 2018

    저는 1번 대응할때 기준을 안세우고 통으로 썼어요..ㅠㅠㅠ 다른사람들이 쓴만큼은 쓴 것 같은데 이번에 워낙 쉬워서;; 그런데 예외가 있었나요??ㄷㄷ;;;; 가 옳다고 써도 연세대는 근거만 맞으면 맞다고 하던데요 뭘! 오히려 특이하다고 점수 더 줄껄요ㅠㅠ 이번에 저 포함 워낙 대다수가 천편일률적으로 써서ㅠㅠㅠㅠ

  • 은봄 · 373368 · 12/10/06 23:11 · MS 2011

    저도 걍 첫번째 문제는 표 그려서 제시문 복붙ㅋㅋㅋㅋㅋ제시문 가 요약 300자정도 할애하고 나머지는 공통점 간단히 서술하고 차이점에 몰아버렸어요ㅋㅋㅋ.
    그리고 두번째는 가-1은 올바르지 않다고 했는데 이것도 타당하지 않다~다음에 가-1언급 간단하게 하고 도표도 그냥 보이는 그대로 썼어요ㅋㅋㅋㅋㅋ
    꼬아서 생각할 필요도 없었고..걍 현실성의 정도가 더 중요하다 라고 썼구요 반론도 걍 물론, 낙관성이 높은 쪽이 점수를 더 높게 받기는 했지만 낙관성이 높고 현실성이 높을 때 그런거니까 현실성이 꼭 필요한 조건이다 이런식으로 썼구요 그래서 여전히 제시문 가-1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다 뭐 이런식으로여..
    이번에는 자기 생각을 잘 풀어서 쓰는 게 관건이였던 듯. 막상 쉽다 쉽다해도 머릿속에 있는 걸 고대로 옮겨쓰기가 생각만큼 쉽지가 않으니까요ㅋㅋ 님 수고하셧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