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영 쌤의 네 번째 칼럼: 표면과 이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811895
‘표면과 이면’ 파트 시작합니다.
어떤 대상을 볼 때 눈에 보이는 부분을 표면, 눈에 안 보이는 부분을 이면이라고 합니다. 이면을 보기 위해서는 통찰력이 필요한 데 그 통찰력으로 표면을 관통하여 이면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은 겉으로 보기엔 멀쩡하지만 특정 계기가 생기면 그 본성이 드러나죠. 하지만 그가 본성을 드러내기 전에 표면적 특징들을 통해 그가 사이코패스 임을 추론할 수도 있습니다. 동물을 괴롭히거나 거리낌없이 죽이는 등의 모습을 통해서 말이죠.
표면을 대표하는 표현으로는 surface, external, outside, surrounding
이면을 대표하는 표현으로는 deep, internal, inside, inner 등이 있으며
Paradox는 표면과 이면 대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개념입니다. 겉으로 보이기엔 모순이지만 속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본심이 담겨있죠.
표면과 이면 개념이 나타난 대표적인 기출문제를 보겠습니다.
2017년도 수능 21번 주제
The precision of the lines on the map, the consistency with which symbols are used, the grid and/or projection system, the apparent certainty with which place names are written and placed, and the legend and scale information all give the map an aura of scientific accuracy and objectivity. Alth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goes into the construction of these cartographic elements, the finished map appears to express an authoritative truth about the world, separate from any interests and influences. The very trust that this apparent objectivity inspires is what makes maps such powerful carriers of ideology. However unnoticeably, maps do indeed reflect the world views of either their makers or, more probably, the supporters of their makers,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ere made. Some of the simple ideological messages that maps can convey include: This land is and has long been ours; here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 if we do not claim this land, the enemies you most fear will.
정답 선지는 ideologies lying beneath the objectivity of maps 입니다.
표면은 precision, apparent certainty, authoritative truth, objectivity
이면은 ideology
눈으로 보이는 지도의 정확성이 이면의 이데올로기를 감추고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18년도 6평 34번
Since life began in the oceans, most life, including freshwater life, has a chemical composition more like the ocean than fresh water. It appears that most freshwater life did not originate in fresh water, but is secondarily adapted, having passed from ocean to land and then back again to fresh water. As improbable as this may seem, the bodily fluids of aquatic animals show a strong similarity to oceans, and indeed, most studies of ion balance in freshwater physiology document the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by which fish, amphibians and invertebrates attempt to maintain an inner ocean in spite of surrounding fresh water. It is these sorts of unexpected complexities and apparent contradictions that make ecology so interesting. The idea of a fish in a freshwater lake struggling to accumulate salts inside its body to mimic the ocean reminds one of the other great contradiction of the biosphere: plants are bathed in an atmosphere composed of roughly three-quarters nitrogen, yet their growth is frequently restricted by lack of nitrogen.
표면은 surrounding fresh water
이면은 inner ocean
해당 지문은 민물에 살고 있는 해양생물들이 내부에 바다를 유지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것이 contradiction처럼 보인다는 걸 언급하고 있죠.
그 다음으로 최근에 치러진 6평을 보겠습니다.
21년도 6평 34번 빈칸추론
A large part of what we see is what we expect to see. This explains why we “see” faces and figures in a flickering campfire, or in moving clouds. This is why Leonardo da Vinci advised artists to discover their motifs by staring at patches on a blank wall. A fire provides a constant flickering change in visual information that never integrates into anything solid and thereby allows the brain to engage in a play of hypotheses. On the other hand, the wall does not present us with very much in the way of visual clues, and so the brain begins to make more and more hypotheses and desperately searches for confirmation. A crack in the wall looks a little like the profile of a nose and suddenly a whole face appears, or a leaping horse, or a dancing figure. In cases like these the brain’s visual strategies are projecting images from within the mind out onto the world.
표면은 out onto the world
이면은 within the mind
눈으로 보이는 것과 뇌가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다고 합니다. 표면과 이면 대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죠.
정리해보면
표면과 이면 대립의 키워드 inner, external 등을 지문에서 발견하면 그 두 개를 대립시켜서 지문을 읽어가야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습니다.
표면 이면대립 연습용으로 17년 9평 34번 문제를 풀어보세요.
Even if it is correct to say that we express and represent our thoughts in language, it may be a big mistake to suppose that there ar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what is doing the representing and what is represented. Robert Stalnaker, in his book Inquiry, suggests an analogy with the representation of numbers: The number 9 can be represented as ‘12—3’ but it does not follow that 12, 3, or subtraction are constituents of the number 9. We could compare a thought and its verbal expression with toothpaste and its ‘expression’ from a tube. That the result of expressing toothpaste is a long, thin, cylinder does not entail that toothpaste itself is long, thin, or cylindrical. Similarly, a thought might get expressed out loud in a statement with a particular linguistic structure. It does not follow that ____________________. Suppose, for example, that I look at a fruit bowl, and think that there is an apple and an orange in that bowl. The objects in front of my eyes include some pieces of fruit and a bowl, but no object corresponding to the word ‘and’ exists either in the world or in my visual image. [3점] * subtraction: 빼기 ** entail: 의미(함의)하다
① the thought itself has such a structure
② linguistic analysis of a thought is unlikely
③ the language in mind lacks a logical structure
④ a thought and its verbal expression are distinct
⑤ the sentence structurally differs from the thought
다음 칼럼에서는 '창의성'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국은 트씨가 많나? 트럼프말고 유명인 또잇나?
-
생명 뭐가 더 어려웠음?
-
과탐이거 런각인데
-
뭔 놈의 효과가 하루 하고 끝이냐
-
맛점하십쇼 0
지금 일어나신 분들은 맛아~
-
살려 다오 2
살려 주십시오
-
23살 지잡대 간호학과 4학년입니다 학벌에 너무 미련이 남아서 3학년 말부터...
-
인생이 무료하다 3
유료하고싶다
-
얼버기 7
으악 피곤해요
-
하루에 한명씩 0
그만두네 일강도 ㄹㅇ 미쳣구나
-
일하기 싫고 그럼.. 그냥 도피하고 싶어
-
6모 이후 시즌부터 김현우 미적 정규반 라이브랑 안가람t 모의반 합류하려고 하는데...
-
으아아악 체략이 안돼 진짜
-
쌤이 담넘으면 선도 보낸다는데 담 안넘으면 5분정도 돌아가야해서 시간아까운데 어케할까여
-
기하 강의 0
골라주세요ㅠㅠ
-
아니 진짜 너무 느림
-
[KBS 대구]대구와 경북 선거관리위원회는 제21대 대통령선거에 앞서,...
-
힘들군 5
열 다시 나
-
대학생 분들 종강일 하루 늦춰졌나요?(대통령 선거) 2
화요일에 개강을 해버려서 종강이 월요일인데, 대통령 선거가 화요일임...
-
뭐지다노
-
수학 기출 푸는데 킬러 문제들 못 풀겠는데 어느정도 풀어보고 해설 봐야할까요?
-
힘들군 4
어르신한테 조인트까였네..
-
적금 << 원금에 이자를 보장해준다고? 와 샌즈!
-
종강종강 0
돌을던지자
-
1.제가 말장난에 잘 넘어가는 편이고 딱딱 떨어지는걸 좀 더 선호하는 편이라...
-
사랑으로 낳아 키운 아들, 왜 시민으로 키우는 데 실패했나 1
동갑내기 여학생을 칼로 수차례 찔러 살해하고, 새벽녘 자기 집에서 체포된 13세...
-
[단독]윤 전 대통령, 나경원 만나 “나라 위해 역할해야…대선 출마 고려해달라” 3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305136...
-
언매도 다 죽여버릴 수 있는 문제 전문으로 만드시는분 6
누고 두더쥐 숟가락 열다흩다 등등 네임드 문제 다 이분작품
-
김동욱 t 듣는중인데 독서는 만족하는데 문학을 바꾸고 싶습니다 작년에 김승리 올오카...
-
8년만에 다시 공부해서 3모 61 나왔는데 신발끈이랑 노베 이거 둘 중에 하면...
-
화작런할까 0
너무 고민이 많다 ㅜㅜㅜㅜ 화확생사라 표점이 너무 안나옴..
-
'트럼프 4월20일 계엄령 선포' 루머 확산…美 국경에 무슨 일? 2
(서울=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0일...
-
눈비비지 않기 0
-
생윤 질문 열심히 하니까 쌤이 쇼펜하우어 질문했다고 논문 뽑아와서 정리해주심
-
제게 고능한 풀이를 보여주실 수 있나요… 쓸데 없이 큐브 마스터 전환을 해놔서...
-
25학년도 한양대 문과 정시로 합격하신 분들 혹시 백분위 원점수 알려주실 수 있나요..?
-
독서 수특이 작년보다 어렵네요 기분탓일까요? 제가 감다뒤인걸까요…?ㅠㅠ
-
241122 2
X=0에서 미분계수 음수 < 이거 못 봐서 너무오래걸렸는데 어떻게 이런 사고를...
-
?
-
기하런 고민중인데 표본 너무 얇을까봐 그리고 미적분 표본이 너무 적어져서 더...
-
내 생일 돌아오기 전까지 절대 탈릅 안한다
-
롱충이의 계좌가 복구되진 않음
-
시간제한이 없으니 자꾸만 늘어져서,, 한지문당 폋분 정도 잡는게 좋을까요?
-
관세 협상 없던 일로 롱 숏 다 죽이는 와리가리 무빙 사실 진짜 악재는 대만...
-
라인 잘 모르겠는데 궁금한 곳 탑 2
-
스파이는 중국이었다
-
탐구 선택 1
사탐 +과탐 투과목은 뭔가 고인물 픽이라고 생각함 개간지

왜 좋아요가 없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