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시 [383752] · MS 2017 · 쪽지

2012-09-22 12:53:00
조회수 868

성대 2012 인문 1 논술 오류 있는거 아닌가요? 해설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78110

문제입니다.

문제 4] <보기>의 두 가지 헌혈정책의 장단점과 헌혈량을 늘리기 위한 추가적 개선방안을 [문제 1]의 두 입장
각각에 근거하여 논술하시오. (30점)
<보기>

우리나라에서는 그 동안 무상헌혈제도를 시행해 왔다. 그 결과 최근 3년간 모든 혈액형에 걸쳐 보유혈액량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헌혈 장려책을 두고 고민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① 무상헌혈 캠페인
② 헌혈 1회당(300cc 기준) 5,000원 보상

-보기를 읽어보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은 무상헌혈제도임

그리고 정부는 혈액량 공급의 절대적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가지 해결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우선 문제 자체의 중의적 표현

<보기>의 두 가지 헌혈정책의 장단점과 헌혈량을 늘리기 위한 추가적 개선방안을 [문제 1]의 두 입장
각각에 근거하여 논술하시오. (30점)

두가지 정책의 장단점을 먼저 서술하고  개선방안을 두 입장에서 각각 서술하라는 것인지

장단점과 개선방안을 두 입장에서 각각 서술하라는 것인지 모호함..

일단 해설은 후자를 선택하였음 (우선 이것이 문제)

그렇다면 (경제학적 입장, 사회학적 입장 2가지로 나뉘어짐 )





경제학적 입장에서 두가지 정책의 장점과 단점을 써야함


▶ (좁은 의미의) 합리적이라는 입장에서;
1) 장단점: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대하는 ‘무상헌혈 캠페인’은 소기의 목
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자기 이익을 먼저 추구하는 성향의 대다수
개인들은 자신에게 아무런 명시적 이익도 되지 않는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
므로 하나의 사회적 봉사활동으로서 헌혈을 권유하는 캠페인 정도로는 헌혈
량의 증대를 꾀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보상 정책’을 채택할 경우 헌혈 행위는 하나의 합리적 경제 행위가
된다. 따라서 그것은 자기 이익의 증대를 꾀하려는 많은 개인들의 참여를 유
도하는 효과적인 헌혈 장려 정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 보상 정책은 보상
금액이 너무 작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사람들이 자신의 혈액의 가치와 헌혈
에 수반되는 비용을 5,000원 이하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이 정도 보상으로
는 헌혈량을 증가시킬 수 없을 것이다.

이를 보면 경제학적 입장에서 1번 방안의 단점만 제시하고 2번 방안의 장점과 단점을 서술하고 있는데

단점 표시에서 오류가 나타남..

 그러나 현 보상 정책은 보상
금액이 너무 작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사람들이 자신의 혈액의 가치와 헌혈
에 수반되는 비용을 5,000원 이하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이 정도 보상으로
는 헌혈량을 증가시킬 수 없을 것이다.

아까 문제 4 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재의 우리나라의 정책은 무상헌혈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현 보상정책 이 5000원이라는 가정이 난데없이 
나타나고 있음..




대체 뭐지 ㅜㅜ



또한 사회학적 입장에서  2가지 정책의 장단점을 각각 서술해야함.

그런데

▶ 사회관계적이라는 입장에서;



1) 장단점: ‘무상헌혈 캠페인’은 사회적 관계나 압력에 민감한 개인들의 참여
를 잘 유도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무상 헌혈은 일종의 사회적 봉사 행위
로서 개인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개인들은 사적 이익을 추
구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익을 지향하거나 최소한 타인의 평판을
많이 의식하여 행동하기도 한다. 따라서 헌혈 캠페인은 무상헌혈을 하나의
숭고한 사회봉사 행위로 인식시키게 되고, 이는 다수 개인들에게 하나의 ‘사
회적 압력’으로 작용하여, 그들로 하여금 헌혈에 동참하게 만들 것이다.
반면에 ‘보상 정책’의 경우 그것이 다수 개인들의 헌혈을 유도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 그 주된 이유는 헌혈 행위에 대한 정해진 보상액이 그
다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개인들이 있다
고 하더라도 그들은 헌혈 대신에 그 보다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산출하는
행위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사회적 관계를 의식하는 개인들에게
보상금은, 제시문 2에 나오는 스웨덴의 사례처럼, 모욕감을 주어 오히려 헌
혈 참여를 저해할 수도 있다.

이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입장에서 1번 방안의 장점만을 서술하고 2번 방안의 단점만을 서술하고 있음..

논제를 잘 안지키고 있음..



그래서 제가 작성한 것은

아까 논제의 중의적 표현에서 2가지 방안의 장단점을 먼저 서술하고 문제1의 두 가지 입장 각각에 개선방안 제시



무상헌혈 캠페인
장점: 해당 부서의 예산의 차질이 생길 우려가 없음. 비용이 적게 듦

단점: 기본적으로 합리적 마음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는 개인 (사회학적이든 경제학적이든 합리성은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기에)의 동기적 부여를 
자극 시키기 힘듦.

무상헌혈 캠페인과 헌혈시에 돈을 지급하는 것은 양립 불가능한 차이이기 때문에 장단점이 서로 바뀜


헌혈 1회당(300cc 기준) 5,000원 보상

장점:사람들의 동기적 부여를 어느정도 자극할 수 있음

단점: 해당 부서의 예산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음


여기까지가 2가지 대책의 장단점이고

개선방안으로

경제학적(합리적)의 입장에서 무상헌혈을 개선하자면

문제점이 이익이 되지 않는다 니까

무상 헌혈을 할 시에 헌혈 증서를 하도록 함. 그렇게 되면 헌혈한 사람은 나중에 자신이 위급할 때 혈액을 우선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음.

그리고 헌혈 1회당 5000원 보상을 개선하는 것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가 없음

사람들이 자신의 헌혈의 가치가 5000원 미만이라고 생각하는지 안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 여기에서 개선방안 제시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어긋남. 여기서 금액을 올린다고 해봤자 그 올린 금액 마저도 개인들의 헌혈의 기회비용보다 적은지 큰지 알 수가 없음...


사회학적(꼭 합리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개선방안

무상헌혈 캠페인은  캠페인의 취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도록 해야 함. 이건 학교에서 발표한 게 맞을 듯....

5000원 보상을 개선하자면  사람들이 헌혈을 하고 금액을 받는 것에 대하여 수치심과 거부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5000원 받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그것에 대하여 또 적절한 캠페인을 펼쳐 모방 심리를 자극해야 함..








지금 작성하면서 저의 논리적 오류도 몇몇 보이긴 하는데

논술 혼자 독학하느라  힘드네요

논술 잘하시는 분들 의견좀 써주세요;

물어볼 데가 없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명수 · 284961 · 12/09/22 13:01 · MS 2009

    (수정) 댓글로 바로 답변해드릴게요.

  • 김명수 · 284961 · 12/09/22 13:18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김명수 · 284961 · 12/09/22 13:20 · MS 2009

    아울러, 간혹 출제진의 실수로 문제에 오류가 생기는 일도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문 일입니다. 내가 옳다는 프레임을 미리 깔고 보지 마시고 일단 내가 틀렸다는 프레임을 깔고 보시면 대학 측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더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응원합니다. 수고하세요^^

  • 냄시 · 383752 · 12/09/22 15:25 · MS 2017

    감사합니다. ~~~~~~~~~~~ taeng kyu bery mach

    제가 너무 편협한 사고를 가졌었네요.

    1,2,3번은 다 맞았었거든요. 근데 4번 깊게 들어가니까 들어갈수록 좀 이상한거 같아서

    제 의견이 논리적으로 안 맞는 쪽이 있는 것도 알았는데. 그래도 뭔가 꽁기꽁기해서리

  • 냄시 · 383752 · 12/09/22 15:30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냄시 · 383752 · 12/09/22 15:36 · MS 2017

    성대 논술이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는 거 좀 더 깨달아야 되겠어요 ㅜㅜ

    연대 풀다가 성대 푸니까 너무 보이는 것 같아서.. 이상한데 이상한데 하다가...

    그리고 한가지만 질문 더 드릴게요

    경제학- 보상정책

    사회학- 캠페인

    으로 놓으면 경제학적 입장에서 무상헌혈을 헌혈증서로 주는 제 개선방안은 아예 못 쓰게 되는 건가요?
    나름 창의적 답안이라고 헤헤헤헤 하면서 썼는데 ㅜㅜ

  • afsdafsd · 408733 · 12/09/22 13:38 · MS 2012

    그러나 현 보상 정책은 보상 금액이 너무 작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사람들이 자신의 혈액의 가치와 헌혈에 수반되는 비용을 5,000원 이하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이 정도 보상으로는 헌혈량을 증가시킬 수 없을 것이다. 현 보상 정책이 5000원이라는 가정이 나타난다. 이는 현재 정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 이건 문제에 두 가지 헌혈정책의 장단점과 헌혈량을 늘리기 위한 추가적 개선방안을 쓰라고 나와 있으니까 현 정책을 현재 고려하고 있는 정책으로 이해해야하는거 아닐까요?

    경제학적 관점에서 볼 때 개인 행위의 동기는 자신의 이익인데
    자신이 생각하기에 헌혈을 하는데 보상이 5000원 이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5000원 정책이 실시되면 헌혈하는게 자신에게 이익이라서 헌혈을 하겠지만, 반대로 헌혈에 대한 보상이 5000원이 너무 작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5000원 정책이 실시되면 현혈을 하는게 자신에게 불이익이기 때문에 헌혈을 안하는 상황이 오지않을까요? 따라서 최대한 많은 사람이 헌혈에 참여하게 하려고 한다면 헌혈에 대한 보상을 늘리는 것이 좋겠죠.

    저도 학생이라 막 비판하셔도 되요..

  • 냄시 · 383752 · 12/09/22 15:37 · MS 2017

    네 님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5000원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현 정책이고 이에 대해 보완하기 위해서는 금액을 더 늘리게 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헌혈을 하게 되니까 보완책으로 적절하네요


    결국 제가 장/단점 서술하라는 것을 잘못 인지한 것이에요

  • d.s.l.g. · 367478 · 12/09/22 22:26

    음..저는 작년에 실제 시험봤고 광탈했는데요(성대글로벌)
    4번풀때 저는 장단점은 쓰고12안. 그리고 추가 제시를 제가 하는거라 생각해서
    제가 새로운 안 쓰고.. 그 안 하나를 양쪽 입장에서 설명하라는 거라고 이해해서..
    약간 발문이 애매한듯합니다.. 암튼 저는 결과적으로 성대 광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