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고_논술공부중 [307633] · MS 2009 · 쪽지

2012-09-19 19:51:11
조회수 1,015

건국 대학교 인문1. 2013 모의 논제 1. 제 답안 및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74085

(29.0K) [290]

건국대 수시 예시(인문사회 i).hwp


안녕하세요. 검고_논술공 입니다. ^^.

건국 대학교 논술 시험이 3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모두 잘 준비하고 계신지요?


아침부터 논술 공부를 하다.. 좀 지치고 공부도 잘 안되서..

잠깐 들어왔다가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건대 준비하시는 수험생 분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

============================================================
문제 1 : [가]를 참고하여, [나]에 나타난 모방성과 기업가정신, 혁신과의 관계를 분석하시오.
(501~600자)


논제 분석:
지시사항 파악.
1. [나]에 나타난 모방성과 기업가정신, 혁신과의 관계 는 무엇인가?

2. 이와 관련된 [가]의 참고할 내용은 무엇인가?

3.[가]를 참고하면 [나]에 나타난  관계는 어떻게 분석되는가?
--------------------------------------------------------
가개요:
600자-> 12문장 구성.

1문단: 2문장 구성
질문 2에 대한 답: (가)의 A는 ~이다. 반면 B는 ~이다.

2문단: 2문장 구성
나의 관계는 ~이다. + 보충문

3문단: 8문장 구성 그 관계는 ~라고 분석될 수 있다. + 보충문 7개


=====================================================
제시문 독해 후

진개요 작성:
1문단 2문단 그대로 감.

3문단.

버전 1. 그래프의 두 직선을 따로 나눠서 분석한다.

버전 2. (나)의 해석의 준거인 (가)의 두 개념을 각각 이용해서 분석한다.




ver. 1.

1)(가)의 플라톤은 모방을 진리와 본질을 왜곡시키는 부정적 행위로 파악한다.
2)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을 인간의 본능이며 지식과 즐거움을 얻는 행위로 파악한다.

3)한편,(나)의 도표에서는 기업가 정신과 혁신 사이의 비례관계가 나타난다.
4)또한, 조직의 모방성 정도에 따라 그 관계의 뚜렷한 정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우선, 높은 모방성을 지닌 조직의 경우 기업가정신이 높은 경우 혁신이 많은 횟수로 발생 한다.
6)이는 (가)를 참고했을 때, 적극적인 모방을 통해 모범적인 타 조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많은 혁신으로 이어진 경우로 볼 수 있다.
7)반면,기업가정신이 낮은 경우 혁신이 매우 적게 발생한다.
8)이는 개인의 본능인 모방을 조직화 하여 유도한 결과, 조직원 개개인의 느끼는 즐거움이 사라져 수동적 조직으로 변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9)둘째로, 낮은 모방성을 지닌 조직의 경우 기업가정신의 정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혁신이 일어난다.
10)이는 (가)를 참고 하면,이 조직이 모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11)즉,이 조직은 타 조직을 모방을 하지 않고 스스로 혁신을 이루려 하는 능동적 조직이다.
12)따라서 이 조직은 모방을 많이 하는 조직에 비해 혁신의 편차가 일정하다.
13)또한 높은 기업가 정신이 조직을 이끌어도 조직의 특성 상 혁신은 비교적 적게 향상되는 한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ver 2.

1)(가)의 플라톤은 모방을 진리와 본질을 왜곡시키는 부정적 행위로 파악한다.
2)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을 지식과 기쁨을 얻게 해주는 긍정적 행위로 파악한다

3)한편, (나)는 첫째, 사회복지 조직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 사이의 비례적 관계를 나타낸다.
4)둘째,사회복지 조직의 모방성이 높을수록 기업가 정신과 혁신의 정도간의 비례관계가 뚜렷해짐을 나타낸다.

5) 우선, (가)의 플라톤의 관점을 참고하면 모방과 기업가 정신, 혁신의 관계는 서로 부정적 상호작용을 하여 조직이 추구하는 혁신을 왜곡시키는 관계이다.
6)플라톤에 따르면 모방은 인간이 추구하려는 진리와 본질을 오히려 왜곡시키는 부정적인 것이다.
7) 따라서 이 관점을 참고하면 높은 모방성은 높은 기업가 정신을 만나 왜곡된 혁신을 대량으로 발생시켜 조직을 왜곡된 상태로 변형시킬 것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8)둘째로, (가)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참고하면 모방과 기업가 정신, 혁신의 관계는 서로 연합하여 조직의 긍정성을 증가시키는 관계이다.
9)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모방은 인간으로 하여금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게하는 긍정적인 것이다.
10)따라서 모방과 모방성이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혁신과, 이를 촉진시키는 기업가 정신 사이의 관계는 긍정적인 관계로 파악할 것이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