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edgrill [288250] · MS 2009 · 쪽지

2012-09-14 09:41:22
조회수 2,787

수능 경제 문제 甲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61223


((수정한 다소 자극적 제목 정말 죄송합니다.))
첨부된 그림을 보시면
2009 수능 경제의 18번 문항인데요.
4번 선택지의 "3차 산업의 취업자 수는 증가해 왔다"라고 서술된 내용이 옳은 선택지라고 되어있습니다.

표를 보시면 취업자 구성비가 3차 산업에서 비교적 많이 증가하고 18번 문제 발문 옆에는 이 국가의 인구 수와 인구 구조가 안정적이라는 것이 전제되어있는데요.

이 것을 읽어보면 4번 선택지가 얼핏 맞은 것 같아 보이지만

(반론)문제에 제시된 내용으로는 고용률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있지 않으니 고용률에 변화에 관해서 단정지을 수 없는데 고용률이 많이 제시된 년도 중에서 고용률이 많이 떨어졌다면 인구 구조가 안정적이어서 노동 가능 인구가 크게 변화가 없었다고 하면 취업자 수는 크게 감소하므로 3차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 수"가 "증가"하였는 지의 여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4번 선택지는 잘못된 선택지인데 왜 중복 답으로 인정이 안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벼행주 · 383657 · 12/09/14 12:05 · MS 2011

    사실 '인구수'가 증가했다는 조건과, '인구구조' 가 안정적이라는 조건을

    경제활동인구 비중이 안정적인 거구나 라고만 캐치하면 알 수 있습니다.

    표에 나온 내용은 어차피 취업률이 아닌, 단순 3차산업의 '취업자 구성비' 이기 때문에

    증가하는 인구수와, 비슷한 인구구조 하에 1차 산업 구성비는 낮아지고, 3차산업 구성비는 높아진 다는 것은

    '아~ 산업화과정을 나타내는 건가?' (엄밀히 말하면 산업구조의 고도화) 정도로 파악하시고 금방 푸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fishedgrill · 288250 · 12/09/14 12:16 · MS 2009

    벼행주님 답변 감사드려요.
    물론 이제까지 숱하게 학습한 바로는 위에 제시된 자료를 보면 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고 파악해서 직관적으로는 4번이 옳은 선지처럼 보이지만 문제 의도 자체가 주어진 자료만을 가지고 추론하라는 것인데 인구 구조를 말씀하신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4번은 틀린 선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인구 구조의 의미가 문제인데 인구 구조를 '경제활동인구 내에서의 비중'으로 보는 것은 너무 주관적인 것(끼워맞추기식) 아닌가요?

  • 벼행주 · 383657 · 12/09/14 12:24 · MS 2011

    다시보니 '인구수와 인구구조' 는 안정적이었고... 라는 조건 이네요.

    평가원이 원하는 보편적인 생각으로 보자면

    "야~ 갑국이 1975년부터 2005년 까지 다른요소에 거의 변화없고, 표에서 변화한 상황만 파악해봐"

    라는 의도로 낸 것 같네요.

    사실 사회탐구 영역이 언어영역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꾸준히 경제가 성장했다' 라는 조건때문에 2번이 확실한 답이되죠.

    반면에 애매한 4번을 방어하기 위해 '인구수와 인구구조' 라는 조건을 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