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갈마인드 랩스 [838829] · MS 2018 · 쪽지

2020-06-07 22:54:12
조회수 877

[공유] 정치와 법. 학생들이 정말 어려워 하는 '정부형태' 파트의 고민을 한방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26898

(73.7K) [430]

정부형태.pdf

안녕하세요 전국에 계신 수험생, 특히 정법을 택한 수험생 여러분.


학생들이 정말 어려워 하는 정법의 파트 우선순위별로 업로드 중인데요.


오늘은 '정부형태'의 가장 핵심적 개념들을 조문 위주로 압축했습니다

수능의 모든 과목이 그러하듯 기본 개념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제에서 어떠한 개념을 요구하는지

그 개념을 연계하는 과정이 그 문제 해결과정의 핵심이죠


구체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국영수와 달리 사탐은 역방향으로 공부가 가능한 과목입니다.


문제를 통해 개념을 입체화 하는 방법이 효율적 개념학습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리갈마인드랩스에서는 앞으로 개념을 입체화 하면서 

최근의 수능 및 모의고사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킬러 문제를 자체 제작하여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단편적으로 나열된 개념을 구체적으로 입체화 하는 문제 풀이를 통하여


법조문 구조의 이해를 통한 완벽한 암기 그리고 문제 풀이를 통한 

개념 암기의 입체화를 이끌어 보겠습니다. 


법의 전공자로서, 교육자로서

제가 올리는 자료들을 통해 단 한명의 정법 수험생이라도 

도움을 받는다면 더할나위 없겠습니다.


그럼 이해를 통한 암기의 과정을 최대한 즐겨보시길! (Why? 피할 수 없으니까- 논리적!)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약은 원래 까맸다 · 971075 · 20/06/07 22:54 · MS 2020

    정법자료 퍄퍄

  • 절 대 준 식 해 · 904371 · 20/06/07 22:54 · MS 2019

    사랑합니다 ㅎㅎ

  • 현역노베인서울 · 871103 · 20/06/07 22:56 · MS 2019

  • 고구마 · 900828 · 20/06/07 22:59 · MS 2019

    감사합니다 선생님 파트 신청가능한가욤?

  • 리갈마인드 랩스 · 838829 · 20/06/08 09:04 · MS 2018

    현재는 따로 신청 등을 받지는 않고 있어요. 정법 공부하다 어려운 점 있으면 쪽지나 댓글로 질문주세요. 최대한 상세히 답 드릴게요.

  • Alea iacta est · 908993 · 20/06/07 23:07 · MS 2019

  • 설경제손나은 · 972369 · 20/06/07 23:11 · MS 2020

    저 정법에 나오는 법조문 그냥 쌩으로 다 법전 보면서 외우고있는데..
    괜찮은 학습법일까요?
  • 책읽는 올빼미 · 774178 · 20/06/08 00:34 · MS 2017

    제가 주제넘는 소리를 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수능사탐에서 작년에 법정을 보았기에 길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법조문은 필요한 것 위주로 보시고 꼭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법조문을 다 외운다고 무조건 맞는 시험이 아니라 법 개념을 상황에 적용하고 판단하는 시험이 수능 혹은 모의고사 정법시험입니다. 즉, 개념 못지 않게 적용능력 혹은 문제풀이 능력도 중요합니다. 작년 수능 법정 15번 같은 문제가 나왔을 때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 그리고 선지 판단을 빠르게 해서 맞춘 후에 20번에 나오는 선거구 문제에 빠르게 다가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거구 문제의 경우 어려운 경우 5~10분 가량을 잡아먹을 수 있기에 그런 능력을 수능 전에 배양해야합니다.

  • 설경제손나은 · 972369 · 20/06/08 00:34 · MS 2020

    감사합니답
  • 리갈마인드 랩스 · 838829 · 20/06/08 09:00 · MS 2018

    수능 모든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항상 강조하는 사항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제시문과 지문의 분석입니다.

    제시문과 지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된 이후 문제에서 요구하는 개념을 연계하여야 합니다.

    특히나 킬러 문제의 경우 제시문과 지문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하는 경우 개념을 연계하는데 성공하고도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정법의 경우 선거제도, 상속분, 정부형태, 헌법재판소 등등의 케이스 킬러문제에서 제시문과 지문의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진 이후 문제에서 요구하는 개념을 연계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필요성 및 방법론은 앞으로 업로드하는 다양한 자체 제작 문제 등을 통하여 상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정법에서 법조문을 올바르게 읽고 분석하는 이유는 정법의 필수 개념에 해당하는 중요 법조문을 올바르게 문리적으로 분석하고 입법 취지 등을 고려하여 합목적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해당 조문의 취지를 바탕으로 핵심개념의 실질적 이해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법조문은 외우기 위해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정법에서 요구하는 핵심 개념을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법조문 및 구조를 분석 및 해석하는 것이죠. 이를 법학에서는 ‘요건 사실론’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제공하는 모든 자료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정법에서 ‘이해를 통한 암기’의 희열을 공감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작성된 것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