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동 활성화를 위한 국사 자작문제 투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31570
밑줄 친 왕의 집권 시기때 볼수 있는 모습으로 알맞은 것은?
그 때에 임금이 외척에게 농락당하고, 붕당은 혼란에 빠질 것이다.거실세족이 장차 잔멸(殘滅)을 당하여 보전할 자가 열에 두셋도 안될것이다..........(중략)........... 늙은 왕비가 수렴을 걷고 정사를 행하며 어린 아이가 왕이라 일컫는다. 어린 임금 원년에 옥사가 크게 일어나 피가 성곽에 흐를것이다..
-격암유록-
1.승과를 보러 한양에 올라가는 스님
2.성학십도를 작성하는 이황
3.왕이 되려고 음모를 꾸미는 수양대군
4.평안도에서 백성들을 선동하는 홍경래
5.해동제국기를 왕에게 바치는 신숙주
풀어보세요 ㅎ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
그렇습니다
1번? 명종인거같은데
오답
4번이요
늙은 왕비는 정순왕후
어린 임금은 순조
옥사는 신유?박해 (천주교박해)
외척은 안동김씨
정답!
어디서 힌트를 얻으셨나요?
늙은 왕비가 수렴청정 한다는 것에서요
제가 알기론 조선시대 수렴청정이 그리 많지않거든요
정희왕후 문정왕후 정순왕후랑 선조초기 어느왕후 정도로 기억해요
그 네명이 다 선지에 있는데 특별히 정순왕후를 택하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붕당이 선조 때 생겼으니 다른 것은 정답이 아니죠
게다가 순조1년에 큰 옥사가 있어서 이 때 정약용도 유배간 걸로 압니다
네.. 제가 염두에 둔게 "붕당'이었습니다.
이 문제가 수능에 나오면 어느 정도 난이도라고 보시나요?
이거 어디서 봤던 사료같은데......어디였지 ㅎㅎ 어디서 구하신건가요?
강민성 t 심화교재요 ㅎㅎ
아 그렇군요 역시.....ㅎㅎ
작년 강민성 심화교재 321p에 있네요 ㅎㅎ
교과서 기준으로 이걸 추론할수잇는 근거가잇나요?
교과서 기준으로 이걸 추론할수잇는 근거가잇나요?
그러게요.... 근데 그렇게따지면
6월달 최윤나오는 상정고금예문은 교과서로 추론가능한가요?
궁금해서요... 전 그냥 최윤나오면 상정고금예문이라는걸 외워서 풀어서.. 잘 모르겠어요..ㅠ
상정고금예문 교과서에 날개로나와요 최윤의인가 이름만나옴... 이름외워서 풀어야했으니까 무지어려웠죠
네 교과서날개에 최윤의라고 명백히적혀잇엇어요ㅇㅇ 솔직히 붕당이란말로 추론하란건 너무어렵네요;;ㅠ
붕당!
붕강관련된 글을보고 숙종이후 일이구나...
늙은왕비면 영조가 영게좋아해서 왕비로맞았던 그사람인가?
거기다 ㄱ외척농간까지있는것보몈...
그러면 정조후인데 조선후기인것을 골라야되는데
4번밖에없네요
명종으로 낚일 가능성은 없다고 보시나요?
명종으로 낚일 수 있죠.. 붕당못보면요 ㅎㅎ
대윤vs소윤 이걸 붕당으로 착각할수도 있을것같은데 ㅎㅎ
전 이거 선지만 좀 섞어서 어렵게 내면 진짜 20%미만 찍을거같아여....ㅎㅎ
사료에서 추론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윗분말씀처럼 조선후기 문화파트 선지 1개상 교체하면
난이도 상될듯?
근데 이황은 언제적인물인가요?명종아닌가요?
성학십도는 선조 1년에 완성해서 바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