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us carlsen [946507] · MS 2020 · 쪽지

2020-05-20 13:24:20
조회수 10,457

칼럼)개학 했으니 정시러에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211313

ㄹㅇ 오랜만에 칼럼쓰네요. 오늘 부터 개학이라는 소식을 듣고 정시러가 학교에서 했으면 좋겠는 것들 말하고자 합니다. 전 대애애충 쓸거니 제대로 된 글을 보고 싶으시면 화학실험님의 글 ㄱ https://orbi.kr/00030180357/%EC%A0%95%EC%8B%9C%EB%9F%AC%EB%A5%BC%20%EC%9C%84%ED%95%9C%20%ED%8C%81,%20%EC%95%88%EB%82%B4%20%EB%B0%8F%20%EC%A3%BC%EC%9D%98%EC%82%AC%ED%95%AD


어쨋든 정시러라고 했으니 말 그대로 정시에 올인 한 사람이라 가정하고 다룰께요. 


a) 학교

1. 내신 및 수행평가

던집시다... 일단 내신이 정시 전형에 적용되는 과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적을 뿐더러, 적용되는 비율 또한 작기에 내신을 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내신 공부 열심히 해봤자, 정시로 마음을 굳힌 순간 의미가 없는 시험이 되게 됩니다. 내신 공부 하지말고, 그 시간에 수능 공부를 합시다. 수행평가도 마찬가지에요. 친구들한테 폐를 끼치지 않을 정도로만 하고, 크게 의미를 두지 맙시다. 


2. 생기부 

1번과 마찬가지로 버립시다. 의미 없어요. 정시 전형으로 지원하려는 순간, 생기부는 의미를 상실하게 됩니다. 생기부가 잘 적히든, 요상하게 적히든 상관이 없어져요. 그냥 생기부에 욕 안 적히고, 무난한 학생1 처럼 생기부가 나오면 됩니다. 의대 면접도 마찬가지에요. 생기부 안봅니다. (아주댄가? 는 모르겠네요)


3. 교사와의 관계

1,2번이 의미가 없음을 알았으면 교사와의 관계도 마찬가지겠지요? 별 상관이 없어요. 그냥 무난무난하게 교사한테 이름은 기억하지만 별다른 특징이 없는 학생1처럼 관계를 가집시다. 물론 친해지면 좋죠. 근데 수시와 달리 학생부, 내신 등이 별 상관이 없으므로 매달린 필욘 없겠죠?


4. 수업시간에 하는 공부

어짜피 내신을 버렸으니 걍 자신이 할 공부를 하면 됩니다. 이때 고3의 경우 교사가 공부를 잘 터치를 하지 않습니다. 그럼 그냥 무슨 공부를 하든 상관이 없어요. 아예 자습을 시키는 사람도 있는 반면, 자습을 불허하는 교사도 있습니다. 자습을 해도 된다하면 그냥 원하는 공부를 하면 되고, 자습이 안된다면 수업을 듣되, 쉬는 시간처럼 생각하고 있으세요. 수업시간에 잠을 자도 된다면 주무시고... 

뭐 조회& 1교시에는 국어를 하는게 좋긴해요. 수능이랑 비슷한 생활 습관을 가지는게 좋으니까 말이죠. 수학, 국어, 영어 와 같은건 50분이라는 시간내에 모의고사를 풀기가 힘드니, 실모를 풀기보다는 문제를 푸는게 좋고 과탐의 경우 오히려 좋겠죠. 


5. 쉬는시간에 하는 공부

쉬는 시간에는 쉬는게 좋긴한데(괜히 '쉬는' 시간이 아닙니다), 공부를 해도 문제는 없겠죠. 하지만 주위 친구들이 소란스러울 가능성이 매우 크긴해요


6. 출결

그냥 학교 정상적으로 가세요. 이건 별다른거 없어요. 하루 이틀 학교 안가고 공부한다고 성적오를거란건 환상입니다.


b) 모의고사 

1. 제발 집착하지 말자

모의고사는 '모의'가 붙어있습니다. 모의고사 올100 맞는다고 해서 수능 올100 맞는것도 아니니 집착하지는 맙시다. 모의고사는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모의고사를 풀고 나서 틀린 부분을 파악하여, 자신이 보충해야할 부분을 알아내서, 그부분을 수능장에서 맞출수 있도록 하는 것, 그리고 자신이 모의고사를 통해 얻은 성적을 파악하여 자신이 어느 정도의 분포에 위치해 있는 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공부 계획을 수정해 나가면 됩니다.


2. 6,9모는 중요하긴하다

왜 중요하냐면 일단 평가원이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n수생도 보기 때문이죠 끗


3. 교육청 모의고사 무시하지말자

교육청이 낸다고 무시하는 경우 있는데, 무시하지 말고 최선을 다합시다. 모의고사는 위치 파악용이지, 성적 과시용이 아닙니다..


c) 생활

1. 밤 늦게까지 새지말자...

이건 사람마다 다르긴한데, 밤 늦게 자면 아침에 몽롱한 상태가 되는 사람일 경우 그냥 일찍 자세요. 그게 전체적인 시간으로 봤을땐 이득일 가능성이 큽니다. 만일 잠을 적게 자도 쌩쌩하면 뭐..


2. 공부 외 게임등은 적당히 조절하자

여기 빠지면 답없는건 음.. 굳이 안 말해도 당연하겠죠?


3. 쉴때는 확실히 쉬자

공부도 안되고 집중도 안되는데 그냥 앉아 있는건 크게 도움이 안됩니다. 집중이 안되면 그냥 확실히 쉬고, 다시 시작합시다.


 쓰고보니 ㄹㅇ 대충썼네 이제 할말이 없어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