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비문학 어떤식으로 푸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12729
이과생이구요
김동욱선생님 이것이 비문학이다 들어보니깐 지문부터 초 집중 정독하고 그 다음 문제푸는데 이게 정석이긴헌데
저는 문제부터 한번훝고 풀거든요 밑줄친ㄱ 이나 내용일치문제나오면 지문읽으면서 풀거든요... 보통 모의고사보면 비문학은 2개 정도 나가는편입니다
갑자기 80일 남았지만 제 방법이 틀린것같다는 생각이 자꾸만 들어서요... 여러분들은 비문학 어떤식으로 푸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ttps://orbi.kr/00065917558/%EC%99%B8%EB%8C%80%...
-
와 핑크.. 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아이고
-
얼버기 10
둥근 해가 떴.. 안떴네요
-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6번 문장별 분석 0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6번 해설 ( 선명하게 출력해서...
-
개념하면 좀더 맞출수있을거같은데
-
ㅈ됐다 2
ㅆ1발 학고 반수각섰다
-
사탐런 질문 0
25 수능때 물지 백분위 90 98 받고 26 수능 사문 지구 응시하려고...
-
야간 편돌이 1
심심하구나
-
우우..
-
중형 화려한 버섯만 패
-
건강이 안좋아지면 안되니까 ㄹㅇ일찍잘거임ㄹㅇ 다음에 바로 시작 이따가 밤에 오후...
-
오지훈 이신혁 0
누구 들을까요 6/9/수능 현역 4/3/2(94) 재수 3/2/2(94)
-
내일은 꼭 23시 취침해야지
-
가만히 있엇는데도 무릎에 엄청 멍들음 뭐야무서워요
-
컨텐츠관리자님 2
레어 환불제도 빨리 만들어주세용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런행
-
레어화긴 2
크하하 근데 안보영..
-
와 핑크.. 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잇나요..
-
아 짜증난다.. 0
아까 이상한 레어 사져서 사고싶은거 못 사….
-
나 잔다 ㅂㅂ
-
크아 6
크ㅜ
-
출근길에 방문열어봣다가 없어진거알면 뒤집어질거같아서 못가겟슨
-
야옹
-
남자들의 모순점 6
롤하는 여자를 찾지만 막상 롤창 여자 보면 신기해하거나 피함
-
알바 끝내고 새벽에 불교를 복습하며...
-
뭔가 근데 처음부터 여붕인걸 눈치까면 그냥 그렇구나 하겠늗데 14
남르비인줄알고 드립을 다 쳐놨는데 여르비라고 실토하면 배신감이 와..
-
놀랍게도 실화임.. 오르비에서 책 사면 주는 스티커 붙이고 다님뇨
-
무조건 달고 다닐 수 잌ㅅ음
-
내가하면 다들 나를 거르겠지
-
고향에 온거 같음
-
아 ㅈ같다 0
대리 이 ㅂㅅㅅㄲ는 갠새이 게속ㅊ쳐 넣노 일 ㅈㄴ 하기싫다 퇴근 언제하냐
-
와 핑크.. 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자러갑니다 2
다들 좋은새벽보내시고 꿈 잘꾸시길 전 어제 운전하다가 총맞는꿈꿨음
-
이거 재밋네 다른 것도 해봐야지
-
F식 화법 6
무슨일 있어? 밥먹으러 갈까? 이거 아님?
-
자러간다 3
-
배고파 0
뭐 먹지
-
과외 날먹도 못 하겠고 컨텐츠 팀 일도 적당히 못 하겠어서 계속 수정하고...
-
확통런할까요 0
예비고3인데 작수 공통 20,21틀 미적 28 29 30틀입니다 이유도 말해주세용
-
으하하
-
금수저 부러워
-
현실이랑 넷?상 0
나는 여기서 교양인인척하고 현실에서는 노미현코스프레하고다님...
-
차이점은 넷상은 산화당한팀06오르비언을 둘째달에 보니까 3
그담부터 순화한 5번은 하고 돌려서 하는듯
-
전 ‘그건 나라도 ~하겠다.’ 이정도가 최대인데
-
이차곡선 슥삭해야지
-
현실이 없고 넷인생 넷친구만 있는데 어떡하나요?
-
극 내향인이라 롤보도 안킴
-
인터넷이 현실이고 현실이 인터넷이야
전 님처럼 안 푸는데요.
그래도 자기 원래 방식대로하는게좋을듯요
저같은 경우는 일단 지문을 읽으면서 글의 구조를 파악해요. 사실 단락과 단락의 관계를 파악할려면 일단 문장과 문장의 관계부터 제대로 파악해야 되거든요. 저는 비문학 쫑내기라는 시중의 책을 통해서 충분히 훈련을 했고요, 일단 이게 가장 기초가 되는 독해력이라는 것입니다.
그다음이 시간을 단축하는 스킬인데, 저같은 경우는 다 읽고 문제를 푸는게 아니고, 글의 한 3분의 2나 4분의 3지점까지 읽으면 글의 구조가 다 파악이 됩니다. 그럼 바로 문제로 눈을 돌려서 일단 확인되는 선지들은 다 지워나갑니다. 풀 수 있는 문제는 제자리에서 풀면서 내려갑니다. 그러다 보면 2문제 이상을 동시에 풀어내려가는 경우도 생기고요, 그렇게 하다보면 딱 한번만 읽고도 문제가 동시에 다 풀리게 됩니다.
이 방법이 좋은 점이 뭐냐면, 특히 과학지문같이 정보량이 많은 지문의 경우 세세한 정보를 다 기억 못하잖아요, 그러니까 읽자마자 바로 선지를 지우거나 찾을 수 있어서 시간낭비가 적고요, 또 기억이 가물한 선지의 경우는 우리가 글의 구조를 파악했으니까 그 정보가 지문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만 훤히 꿰뚫고 있으면 바로 확인이 되니까 시간 낭비가 적습니다.
제가 이런 방법으로 해보니까 한지문당 최소 30초에서 1분정도는 시간이 절약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