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펭귄맛 · 389525 · 12/07/26 15:01 · MS 2011
    작지만 튼튼한 메탈밥그릇. 'ㅅ'
  • My Chemical Romance · 251955 · 12/07/26 15:15 · MS 2008
    이렇게 급여만 보니까 너무 적네.. 성과금이나 세제혜택같은거 합한 실수령액금액은 없나여??
  • Mable · 363307 · 12/07/26 15:15 · MS 2010
    7급 9급 차이가
    저렇게 적다는게 더 충격 ㅋㅋ
  • 전국수석ㄱ · 386996 · 12/07/26 15:30
    안정적이다고해도
    되게 박봉이네요..
  • 샤로간다 · 377090 · 12/07/26 15:57
    1호봉 시급이 7천원이네요,
    최저임금이 4500원이니까 이천오백원이나 많네, 많이 주는 듯
  • 샤로간다 · 377090 · 12/07/26 15:57
    1호봉 시급이 7천원이네요,
    최저임금이 4500원이니까 이천오백원이나 많네, 많이 주는 듯
  • 라리라리라 · 301417 · 12/07/26 16:08 · MS 2009
    저건 기본급 아닌가요?? 실제로 받는 돈은 저것보다 많습니다 9급은 잘 모르겠지만 5급 4호봉(남자 임용 2년차)이 위에있는 표랑 다르게 세전 4700 정도 받습니다
  • 은꼴찡>,.< · 379287 · 12/07/26 16:15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2909693&sca=&sfl=wr_subject&stx=5%EA%B8%89+4%ED%98%B8%EB%B4%89
  • 라리라리라 · 301417 · 12/07/26 17:14 · MS 2009
    제가 학교 커뮤니티에서 본 인증된 자료에는 4700가량 찍혀있어요 님이 올린거랑 다른 짤인데 아마 부처마다 다를수도
  • 죽댓 · 331229 · 12/07/26 16:42 · MS 2010
    기본급만 보니 짜게 보일수밖에요.
  • 종합예술인 · 270667 · 12/07/26 17:15 · MS 2008
    9급의 경우 일반적인 연봉개념으로는 2500만원정도 됩니다. 남자의 경우 군대2호봉인정받으므로 9급3호봉으로 출발하죠. 즉 기본급 123만원에 수당 20-30만원+시간외20-30만원 더하면 대략 실수령액은 160-180만원정도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수당이 많아서 190정도 되구요. 그럼 어차피 신입의 경우 야근꺼리가 많아서 시간외 30찍는다 가정하고 180만원을 기준으로 놓으면 180만원*12=2160만원입니다. 여기에 명절보너스 120% 더하면 2376만원. 여기에 성과급 200만원 더하면 2576만원. 문제는 군대호봉을 인정받은 대신 기여금을 소급해서 내야하는데, 이것을 나중으로 연기하느냐 아니면 그냥 내느냐에 따라 150만원정도의 차이가 있게 됩니다.
  • 후니 · 114036 · 12/07/26 18:13 · MS 2005
    고졸도 응시가능하고 6시 칼퇴근에 야근하면 추가수당에 보너스 잘주는편이고 휴가잘쓸수있고 복지좋고
  • 종합예술인 · 270667 · 12/07/26 18:32 · MS 2008
    1. 고졸이 응시는 가능하지만 고졸합격자는 사실상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합격자중에 고졸은 1%도 안되요.
    2.6시 칼퇴는 지방직중에서도 일부 주민센터나 사서직, 교행직중 일부, 민원업무를 하는 공무원 중 일부에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국가직공무원은 대다수가 칼퇴는 꿈도 못꿔요
    3. 보너스는 사기업하고 공무원하고 넘사벽입니다. 사기업은 원래 기본급이 적고 성과급이 많은편이죠. 연말에 성과급 500%, 600%인곳도 많습니다. 그에비해 공무원은 명절보너스120%, 성과급은 보통 200-300정도가 보통입니다.
    4.공무원 휴가 쓰는 것은 군대하고 비슷합니다. 자기가 쓰고싶다고 아무때나 쓸 수 있지는 않습니다. 짬밥에서 밀리면 쓰고 싶을때 못쓰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특히 자기가 독립적이고 책임을 져야하는 부서에 있는 경우는 자기 아니면 그일을 대신 해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경우, 휴가를 못쓰고 나중에 돈으로 돌려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5.복지는 사기업이 훨씬 좋습니다. 공무원은 학자금이 고등학교까지이고, 대기업은 대학까지도 학자금 지급해주는 곳이 많습니다. 다만 대기업은 자식이 대학가기전에 짤리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지요. 콘도나 독신자숙소도 기업이 더 잘되어 있습니다.
  • 후니 · 114036 · 12/07/27 03:43 · MS 2005

    근데 그런 조건이 되는 기업이 얼마나 되나요

  • deliberate · 568701 · 15/05/22 05:05 · MS 2015

    고졸이 1%밖에 안된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이네요

  • 이스킨데룬 · 400820 · 12/07/26 18:30
    그래도 너무 박봉이라서 별로 하고 싶지는 않네요..
  • 소윤성 · 406658 · 12/07/26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 · 18781 · 12/07/26 20:44 · MS 2017
    부모님이 두분다 30년 이상 공직에 계셔서
    어릴때는 참 우리집은 가난하다 생각했는데
    요즘은 두분다 연금 받는걸로 계속 여행만 다니시면서 노후 즐기는거 보면
    공무원이 최고인거 같다는 생각이..
  • 벼행주 · 383657 · 12/07/26 21:25 · MS 2011
    오히려 등본같은 서류 떼주는 업무하는 9급하고 국가정책관련 실무담당하는 사무관하고 연봉차이가 저것밖에 안난다는게 의아함.
  • 철십자훈장 · 263575 · 12/07/27 23:21 · MS 2008

    실제로 국가세금운용관련 공무원들이 하는 일이 (속칭 기획부서?)

    300억 500억 1천억 나랏돈 쓰는 용도를 결정하는데 정작 월급은 300대 끄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