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나무 [922095] · MS 2019 · 쪽지

2020-04-22 16:16:30
조회수 204

안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582949

왜 한 아이의 어머니는 자신의 욕망을 아이를 통해 성취하려 하고, 아버지는 집안의 지배자로 군림하려는 것일까?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폐제와 부권적 기능에 대해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폐제와 부권적 기능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폐제는 어떤 특정 요소를 상징계 즉, 언어로부터 완전히 추방하는 것이다. 상징계 전체를 떠받치는 요소이기에 그것이 폐제되면, 상징계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정신분열증을 다룬 상당수의 정신분석학자의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언어는 신경증과 정신병의 경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프랑스의 현대철학자이자 유명한 정신분석학자인 라캉에 의하면 정신병에서 폐제된 요소는 아버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라캉은 그 요소를 ‘아버지의 이름‘ 이라고 불렀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은 지그문드 프로이트의 ’아버지의 기능’ 혹은 ’부권적 기능’이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아버지의 기능 혹은 부권적 기능의 개념을 사용한 적이 있지만 그것을 구체화 한 것은 라캉이다. 부권적 기능의 부재는 정신병을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하고 확실한 준거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것을 눈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부권적 기능은 역설적으로 아버지에 의해 연출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한 개인의 가족 안에서 연출되는 역할이 아니며 그렇기에 부권적 기능은 한 사람의 아버지의 특정한 인격과는 무관하다. 또한 아버지가 부권적 기능의 주 역할이 아닐 수 있는 만큼 아버지의 부재가 부권적 기능의 부재를 담당하지 않는다.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부권적 기능에서의 작동은 ‘아버지다운 면모’를 가진 인물에 의해 수행되며, 또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부권적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언어와 은유에 대한 라캉의 개념부터 알 필요가 있다. 라캉은 아버지는 아이에겐 엄마에게 끌려가지 못하도록 하고, 엄마에게는 그들의 아이를 삼켜버리지 못하도록 한다. 그는 아이들이 엄마의 욕망을 위험하고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부권적 기능이 작동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느낌은 어떤 경우엔 자신을 엄마의 전부로 간주해 주길 즉, 독립적인 존재로서의 아이를 제거하길 바라는 아이의 원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곳에서는 성취할 수 없는 만족을 아이에게서 대신 얻으려는 엄마의 노력에 대한 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동일하다. 아버지는 엄마와 합일을 이루려는 아이의 시도를 방해하거나 엄마가 아이에게서 어떤 만족을 성취하려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아이가 엄마에게서 일정 정도 거리를 유지하도록 만든다. 바꿔 말하자면 아버지는 아이를 잠재적인 위험 요소인 엄마의 욕망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므로 아버지는 집안 내의 법을 제정하는 자로 군림하게 되는 것이다.





독후감 써왔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