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표준편차가 작으면 고르다라는 건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48780
통계과목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가 작으면 고르다라는 표현을 쓰는데 왜그런건가요? 고르다는 것은 낮은점수에서부터높은점수까지의 점수 분포가 균등해야 하는것 즉 표준편차가 커야 고른거 아닌가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전글) 무지성 군수로 인서울 한 후기 ->...
-
22학년도 수능이 끝나고 남학생분들의 경우 군수의 길을 걷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은...
-
공군vs육군 1
자격증이 없으면 공군은 거의 헌병 급양 방공포로 간다는데 어떻게 할까요 수능 준비 하려는데...
표준편차의 정의가.. ∑(확률변수)-(평균) 의 제곱이니 표준편차가 작다는의미는 확률변수랑 평균과의 차이가 얼마안난다는 의미겠죠.... 그말은 평균에 근접한 변수가 많다는 뜻이구요. 점수차도 크지않겠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것은 분산입니다
변량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여져있는가를 쉽게 알수 있는게분산입니다.
변량과 평균의 차이인 편차에 제곱을한뒤 평균을 구하면 분산이고 그곳에 루트씌운개 표준편차입니다
통계적으로 변량값들이 평균주위에 몰려있을수록 '고르다'라고 합니다
여럿이 다 높낮이, 크기, 양 따위의 차이가 없이 한결같다.
표준편차가 작다 -> 그래프는 뾰족하다 -> 고르지않다 X X X X X X X X X X X X XX X X X X
표준편차가 작다 -> 점수가 들쑥날쑥하지않고 평균에 모여있다 -> 고르다 OOOOOOOOOOOO
그래프가 시각적이라서 위쪽반응?에 의해서 헷갈리신거같아요. 전 그랬었는데.. 아닌가?
이 답변이 제일 마음에 드네요 ㅎㅎ
제가 고르다라는 말의 의미를 제 주관으로 변용했었네요
감사합니다(__)
표준편차가 작아야지 고른거 아닌가요 ...?
그게 햇갈리시는건데 하나씩 써보심 될텐데
고르다는게 모여있다는 뜻이니까 평균쪽에 모여야 비슷한 애들이 많겠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퍼옴
고르다03〔골라, 고르니〕
「형용사」
「1」여럿이 다 높낮이, 크기, 양 따위의 차이가 없이 한결같다.
「2」상태가 정상적으로 순조롭다.
【<고다<석상> 】
여럿이서 차이가 없어야 하니까 평균에 몰려있을수록 차이가 작겠죠.
표준편차가 작으면 고르다
표준편차가 크면 고르게 분포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