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왜 that 생략이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423090

마지막에 nature랑 we사이에 왜 that이 생략된 건가요??
의주동이라 그냥 원래 that이 필요없는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423090
마지막에 nature랑 we사이에 왜 that이 생략된 건가요??
의주동이라 그냥 원래 that이 필요없는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럼 저게 간접의문문이 아니라 what~nature을 수식하는 건가요..??
목적격 관계대명사 맞아요
Human nature 수식
근데 그렇다고 보면 우리가 디자인하길 원하는 어떤 종류의 인간 본성을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라고 해석되는데 너무 어색한 거 아닌가요...?? 거기에 수식이면 s v 표시가 없어도 될 것 같아서ㅜㅜㅠㅜ
너무 애매하네요
제 설명은 잊어주세요
다시 생각해보니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보면 that이 들어갈 필요 없이 간접의문문으로 보면 되는데, 관점의 차이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간접의문문으로 보셔도 됩니다.
근데 목적격 관대로도 볼 수 있는 건가요..??
what kind of a human nature we want를
목적격 관대로 해석하면
우리가 원하는 어떤 종류의 인간 본성
이 되는 것 같은데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어떤 종류의 인간 본성을 물어야 한다
가 해석이 이상한 것 같아서요..
더 정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이 문장은 관점이 두 가지인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하나는 확실히 알겠으나 다른 하나는 저도 확실히 답을 못드리겠습니다. 책의 오류인지, 제가 모르는 다른 어떤 것이 쓰였는지.. ;-;
2. 제가 파악한 확실한 것은, 질문하신 문장은 원래 아래의 두 문장이었다는 겁니다.
We want to help (to) design just what kind of human nature.
이 문장과
So we must ask ourselves ______ 문장을 합친 것이고, 이 _____자리에 윗문장이 온겁니다.
이때 첫번째 문장에서 의문사가 문두로 도치되면서
What kind of human nature we want to help (to) design이 된 것이고.
이녀석이 그대로 두번째 문장의 ______자리에 들어가게 되면서
So we must ask ourselves what kind of human nature we want to help (to) design.이 된 것입니다.
왜 that이 들어갔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이렇게 보는 관점도 정답이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따라서, what kind~~는 간접의문문이 맞습니다.
늦은 시간에 긴 설명 감사합니다!
일단 문의 남겨놨으니 혹시 오류라면 다시 답글 남길게요!
저도 저 'that'의 정체가 굉장히 궁금합니다 ㅎㅎ 고등수준 교재에선 제가 모르는 내용은 거의 없을텐데, 아마 제가 모른다기보단 미처 파악해내지 못한 문장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that의 정체를 알게 되시거든 제게도 공유 부탁드립니다 :)
오늘 바쁘신지 아직까지 답을 안주시네요ㅜㅜㅜ
방금 답 받았는데 오류가 맞대요!
의주동 형태인데 that을 쓰는 모순이라니.. 오타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