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플랜 [373454] · MS 2011 · 쪽지

2012-06-07 11:47:04
조회수 678

중하위권 수험생 전공적성 틈새 공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17295

중하위권 수험생 전공적성 틈새 공략

 

6월 7일(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모의고사가 치러진다. 6월 모의고사는 올 수능의 난이도와 출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되므로 여느 모의고사 때보다 긴장감이 높다.

이번 2013학년도 대입 정시 모집은 총 모집인원이 감소한 반면 수시 비중이 지난해보다 소폭 늘어난 약 63%에 달한다. 수시 지원횟수 6회 제한에 이어 수시모집에 추가 합격된 학생들도 정시 모집에 지원이 불가능하고 접수기간 까지 줄어 수험생은 신중하고 짜임새 있는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그만큼 전년보다 2013학년도 입시는 수시 모집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자신의 대학입학전략을 확정짓지 못한 학생들은 전국 모의평가 이후 내신 준비에 어느 정도 비중을 두어야 좋을지 고민이 되기 마련이다. 반면 본인에게 유리한 전형을 파악하고 그게 맞는 입시 전략을 수립한 학생들은 어떤 공부를 집중적으로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담감과 스트레스가 덜하다.

 

수시모집에는 입학사정관제, 논술 시험, 적성검사 등이 실시되고, 정시모집은 수능이 실시된다. 이중에 나에게 가장 적합한 유형의 입시를 찾아내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중하위권 학생들이라면 수도권 대학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는 적성검사 전형을 준비하는 것이 좋은 전략일 수 있다. 적성검사가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학생부의 반영 비중이 비교적 낮고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없거나 낮기 때문이다.

내신이나 수능에 크게 자신이 없어도 적성검사만 꾸준히 준비하면 합격 가능성이 높은 전형임으로 정시 전형으로 지원하는 것보다 기회가 좋고 시험의 난이도도 높지 않아 승산이 있다.

그러나 무턱대고 준비한다면 위험 할 수 있는 전형이기도 하다. 적성검사 시험은 객관적이고 문제가 어렵지 않아 이를 쉽게 생각하고 지원하는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대학별로 출제경향이나 전형방법이 달라 이에 맞춰 준비하지 않으면 합격을 기대할 수 없다. 먼저, 자신의 학생부 성적과 전공적성 시험의 비중 등을 고려해 합격 가능성을 따져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지원할 대학을 정했다면 해당 대학의 정보와 전년도 입시 결과, 올해 시험의 출제 경향 등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이는 대학 입학처에 문의하거나 대학 홈페이지 참고, 입시설명회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공적성 검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 등도 있으니 이를 활용해보는 것도 좋다.

전공적성검사에서는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합격의 가장 큰 요소는 적성검사 시험 자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경쟁률이 높은 만큼 성적대가 비슷할 경우 최종 당락은 학생부 점수에서 갈릴 수 있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법을 보고, 내신 간 등급 점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등을 꼼꼼히 살펴 유리한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지름길이다.

 

이번 2013년 적성검사를 실시하는 대학은 가천대, 세종대, 강원대, 명지대, 경기대, 고려대(세종), 서울과학기술대, 한양대(ERICA)등을 비롯한 20여개 대학이다.

 

전공적성검사의 평가 요소는 크게 언어 능력, 수리 능력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대학별로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출제되기 때문에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출제 유형과 평가 항목 등을 미리 파악하여 대비해야 한다.

문항 수는 120~200개 안팎이며, 60~80분 정도의 시간 안에 풀어야 한다. 특히, 문항 수에 비해 시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시간 안배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이나 유사한 대학의 기출 문제를 바탕으로 문제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을 공략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유형이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원하는 대학의 문제 유형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 봄으로써 문제 푸는 감각을 익힌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올해 처음으로 전공적성검사를 실시하는 대학의 경우, 대학 홈페이지 등을 통해 예시 문항을 공개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