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공부하면서 느낀 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143691
1. 1,2학년 수업에서의 지식은 윤리와사상 선에서 정리됨.
2. 비트겐슈타인 학부과전 개설 안 함
3. 수업교재는 보통 원전 발췌
4. 롤스는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보다 훨씬 대단한 철학자.
5. 사실 고교 윤리에는 오류가 많음.
6. 작년 수능 윤리에서 롤스 문제 대부분 오류라고 하심(교과서, 수능 기준으로 오류 아님. 학계위 정설 아니라는 의미에서 오류)
7.철학과는 배우는거 2가지
8.첫째 텍스트 리딩→국어 비문학 못하면 철학과 가면 개고생
9.논증하기→시험이든 레포트든 일단 주장이 있어야하고 근거가 충실해야 함
10. 교수님 거의 서울대. 연고대도 거의 없음.
11. 교수 선발에서 학벌 영향력 개심함(교수피셜)
12. 고3이 생각하는 철학과 과정은 보통 석사 이상의 과정
13. 철학과에서 윤리학은 생각보다 주류가 아님
14.정치철학 수업은 철학과보다 정치외교학과애서 주로 열림.
15. 학부 수준 철학과는 배울거 별로 없으니 다른거 하고 복전으로 하기 딱 좋음. 어차피 대학원 갈거라서 교수 인맥 얻기 위한 경우 제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EBS 초압축 요약집(과학기술편)을 소개합니다.(단돈 1500원) 6
매년 다채로운 이슈가 쏟아지는 수험 시장이지만, 한 가지 한결같은 것이 있습니다....
-
과학기술 제재만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교재 및 강의가 강민철 선생님 피드백...
철학과 전체 진로 풀 자체가 엄청 좁아서 교수 된 분들은 ㄹㅇ 혼모노 철학러들...
교수님들 열정 대단하심ㅋㅋㅋㅌㅋ그런데 공대 출신 교수가 둘이나 있음. 한명은 이학박사심ㅋㅋㅋㅋ

저는 공대가서 철학과 복전 가는게 로망임공대 과제에 털려서 복전 힘듬. 축제 때 밤새면서 과제하더라. 그리고 공대 교수님들 철학과 싫어하심. 쓸데없는 소리한다고

쓸데없는 소리라 하면 상처받는뎅그리고 공대 갈거면 물리2까지 꼭 하고 가셈. 슈능으로 선택하라는게 아니라 수능 끝나고 합격하면 방학동안 물리하셈. 물리 안 하고 오는 애들 개털리더라

참고할게요이럴 줄 알았으면 경제 가서 복전이나 할걸 동일 대학 상경 비빌 수 있었는데ㅠㅠ
로스쿨 갔다가 법철학 박사 딸거임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