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노베이스를 위해_독해는 곧 '자동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050468
흔히 노베이스라 해서 국어성적이 좋지 않은 분들, 공부를 하지 않았던 분들, 책을 거의 읽지 않았던 분들을 지칭합니다. 그런 분들이 왜 국어를 잘 하지 못하는가 하는지는 다음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orbi.kr/00023552137
많이 간추려 쓴 글입니다만 어휘력에 관해 더 자세히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한달 전에 각각 올렸던 아래 두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단어를 (어떤 단어인지) 알아보거나 정확한 정의를 말할 수 있다고 해서
글을 읽는 동안 단어의 의미를 빠르고 쉽게 연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휘 교육은 독자들이 그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뿐만 아니라
그 의미를 빠르고 쉽게 접근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연습을 제공해야 한다.
- teaching vocabulary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중에서
2.
글을 이해하는 것은
독자의 지식과 고도로 자동화된 처리 능력에 의해서 가능하다.
독자가 세계에 관해 사실로 알고 있는 것과
조금 전에 읽은 것이 일치했을 때 글을 이해한다.
거의 자동적으로 처리한다는 점에서
읽기와 이해는 힘들지 않고 애쓰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응집성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즉, 글이 독자에게 이해되기를 멈출 때
독자는 다시 점검하고, 다른 해석을 시도하는 등
응집성에 도달하고자 했던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학생들이 독해능력을 높이려면
지식과 이해전략 둘 다를 계속해서 발전시켜야 한다.
- The progression of reading comprehension. P. David Pearson and David Liben
“단어를 (어떤 단어인지) 알아보거나 정확한 정의를 말할 수 있다고 해서”
눈으로 단어를 봤을 때 ‘아 내가 아는 단어야’라고 말하지는 않지만 그냥 바로 알아보지요. 단어인식이라고 하는데, 우리 마음이 ‘내가 아는 단어의 목록에 있는 단어’임을 아는 과정입니다. 이것도 독해를 시작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만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단순히 단어를 아는 것, 의미를 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독해를 할 때는 단어 하나의 의미만 생각하는 게 아니라 문장에 담긴 생각을 이해하고, 문장과 문장들이 구성하는 주제를 파악하는 작업을 계속해서 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어 하나를 만났을 때 단어가 가진 의미, 연결된 지식, 특정 단어가 등장했을 때 같이 따라올만한 내용 등을 마음속에 빨리 떠올리거나 준비시키는 게 중요합니다. 그것이 독해 결과의 차이를 만듭니다.
따라서 어휘력은 단어지식과 단어처리능력이 얼마나 자동화되어 있느냐를 의미합니다.
“글을 이해하는 것은 독자의 지식과 고도로 자동화된 처리 능력에 의해서 가능하다”
어휘와 지식의 처리를 ‘고도로 자동화’시키려면 “빠르고 쉽게 접근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지식을 처리하는 건 곧 글에 의해 지식을 연상하게 되는 것과 글에 의해 지식을 활용하는 추론을 의미합니다. 단어의 처리는 단어를 사용(독해) 경험을 축적해서 여러 문맥에서 적절한 단어의미를 문장이해에 적용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올바른 어휘학습은 단어와 의미를 같이 암기해서 ‘00는 ~~~라는 뜻이야’라고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에서 00라는 단어를 많이 만나서 마음속에 ‘~~~’라는 의미가 떠오르도록(기억에서 인출한다고 말합니다) 하는 것입니다.
(홍보시간) 제가 오르비에 전자책으로 올려놓은 어휘학습자료는 단어 00의 뜻은 ~~~라는 설명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00가 ~~라는 걸 수차례 떠올리게 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국어 노베이스라면 지문에 나온 단어를 정말 아는지 의미를 한 번 적어서 확인해보기를 권하고, 단어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 예문을 십여 개 정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확인했던 의미를 문장에 적용하면서 말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들 몇개쯤 있지않음? 난 비타민 k 주차 카메라 오버슈팅 등등 ㅇㅇ
-
원점수 기준 국어 100-97 고정vs수학(미적) 100 고정 9
뮈가 더 어려움??
-
저도 스무고개 ㄱ 17
매우 쉬움
-
진짜 진심으로 누가 누군지 모르겠음 이제
-
좋네요
-
원래 강민철 - 문학, 비문학 커리 탔고 강기분 완강하고 3모 봤는데 국어 압도적...
-
너무 애들이라 별로일까..
-
한 새끼는 왜 탄핵 안당했지
-
ㅆㅂ 이왜진 비 개쳐많이오네
-
다음 대통령 취임하면 킬러문제 다시 부활할까요..? 갠적으로 그냥 이정도의...
-
성욕 줄이기 2
성공한 사람 있나요? 퀀텀에서 공부할 때 급 꼴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현역때도...
-
바보라고 생각함 멀쩡히 졸업만 해도 bb는 받는데 개고생 할 필요성을 못느끼겠음
-
루트몇v 루트몇v 있으면 평균속도가 바로 안나옴 ㅅㅂ
-
무리 내에서 씨씨 탄생 둘이 헤어짐 여자는 여자끼리 남자는 남자끼리 다니면서...
-
4월 더프 0
학교에서는 4월 19일에 나와서 보라 하고… 러셀에서는 20일에 나오라 하는데…...
-
그렇다고 수학을 많이하지도 않은듯 내일부터 정신차리고 기출,수특, 주간지 풀어야겠다
-
시험 봤다면 난이도 어케 보시는지?
-
대학교에서도 접선 긋고 그러나요? 그적미적 이런 것도 하나요?
-
아직 멀었네요 ㅠㅠ
-
아무리쉬웠다고해도 작수4따리가 풀만한 문제는 아니지안나..
-
매우 굶주림 ㅠ 1
굶은 채로 과외 두 개 하고 밥 한 끼 먹고 다시 자다가 깸 지금 동물B 상태임...
-
뭐지
-
질문 받아요 5
서울대 학부 다니고 있고 전공은 AI입니다 (주전공 전컴, 제2전공 수리통계)...
-
몰랐네
-
옛날에 수업 들어 오셔서 인강 처음 시작했다고 자랑하시던게 생각나네요,,
-
2007년생 특 2
태어났을때부터 첫번째 수능까지 6명의 대통령을 경험 갓난아기때: 노무현 정부...
-
210930 22예비30 180630 풀이 다 이상해 ㅠㅠㅠ 이래서 듣는거긴...
-
현정훈 라이브 0
물리 현정훈이 유명하다 해서 한 번 들어보고 싶습니다. 지금 강민웅 특특 듣고 있고...
-
검고 만점이면 AA 컷이면 CC 이런거임??? 이 게 뭐 노
-
우리동네 병원 6
좋아요
-
시간없으면 0
뉴런보단 한완수임?ㅇㅇ
-
오랜만에 돌아온 범바오 관련 게시글
-
윤성훈 현강 날짜 목요일이랑 바꾸실 금요일 현강생 찾아요ㅠㅠㅠㅠㅠ 0
다른 학원 스케쥴 때문에 목요일 말고 금요일로 바꿔야 하는데 대기가...
-
하하 4
여기서 누가 어느 학교 다니는지 다 파악 완료 다들 조심합시다
-
다들 대학 생활 즐기느라 바쁜듯 근데 나는 아.
-
큰 종이로 뭐하나 뽑고 싶은데 종이 작으니까 글씨 다 씹힘
-
근데 이번 상위권 정시는 ㄹㅇ작년보다 상황 안좋은거죠? 2
하 심란하네
-
난 부산외대 소신 뜨게 생겼는데 에효..
-
확통 한완수 0
어떤가용
-
메슾에도 건양밖에 안보여요
-
쉰내 뭐냐 진짜 아……
-
작수 공통-1 미적-2 틀 얼마나 머리 싸매고 고민해야함…? 바로 해설지 보는...
-
나는 생1 고인물인데 고정1은 거의 맞긴한데 내가 50을 못맞거나 백분위...
-
서울대 시발년이 2
내신 반영 때문에 검고 쳣는데 과학에서 3개툴림;;나머지는 만점이긴함. 투표 좀 ㄱ ㄱ
-
김현우쌤 ㄹㅇ 개친절하심 단과는 현역들이 많이 듣는 거 알고 일부러 마지막 계산까지...
-
김범준T가 요즘 엄청 핫하던데, 이렇게 인기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제가 건너...
-
우리학교지만 건물은 ㄹㅇ 신식이라 좋네
-
그 과정이 너무 힘들다
-
성욕 컨트롤 어떻게 함 12
한 번 생각나면 아예 공부를 할 수가 없던데 이럴 때마다 집 가서 하고 올 수도...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간혹 뜻이 굉장히 추상적이거나, 사전의 의미를 예문에 적용했을 때 좀 어색하다던가, 뜻풀이가 동어 반복이라던가 할 때에 의미를 당최 파악할 수가 없어서 애먹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닌데 예문을 통해 학습하는 게 맞는 것 같네욤. 아는 단어들도 가끔 사전에 찾아보면 사전 의미와 매칭이 명쾌하게 되지 않을 때가 있던데 맥락 통한 의미이해가 중요한 거 같네요..
네이버 사전에서 검색하면 표준국어대사전을 먼저 보여줍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1999년에 완성된 것이어서 괴리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전 화면을 잘 보시면 고려대한국어대사전을 보실 수 있으니 그걸 참고하세요
10년 후에 만들어졌는데 차이가 꽤 나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네 표준국어 대사전은 좀 이해가 안 될 때가 많아서 고려대사전을 보는데 그게 좀 더 이해에 도움이 되더라구요!
아 근데 제가 고민이 있는데 혹시 쪽지로 상담 가능할까요??ㅜㅜ
우선 쪽지로 듣고 전화로 답을 드리면 좋겠습니다
쪽지로 전화번호를 알려주세요
넵 보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