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트 [404935] · MS 2012 · 쪽지

2012-05-13 18:53:12
조회수 418

순수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96552

아 이걸 생담실에 써도 될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너무나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인강 강사들도 그렇고 학교 선생님들, 주변 분들, 학교 선배님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리나라는 기초과학 지원 수준이 기가 차다고 하더군요.

바로 바로 결과가 나오지 않으니 그럴 수 밖에 없다더라고요.

덕분에 결과가 딱 딱 나오는 응용과학(공학) 쪽에 관심을 돌렸고, 이 부분에선 꽤나 발전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면 기초과학 수준이 높아질 리가 만무하고, 국내 인재들은 다 외국으로 빠져나갈게 분명 하잖습니까?

결국 외국과 본국의 기초과학 즉, 자연과학의 차이는 갈수록 벌어질 것이고 우리는 그걸 수입해서 쓰는 처지에 놓일것 아닙니까?

이를 우리나라 농가와 대비 해보면, 농가에 대한 지원이 적고 국산 쌀이 비싸 값싼 해외 쌀을 수입해오는 처지랑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응용과학은 기초과학 지식을 응용한 부분이잖습니까? 그렇다면 응용과학은 기초과학적 지식이 발전하지 못하면 한계가 생기냐? 이겁니다.

근래 수학자가 꿈이었던 고대 수학과 졸업하신 사촌형과 대화를 하면서 생각해봤던 부분입니다.

문과 인문학도 그렇고 이과 자연과학도 그렇고 정말 순수학문은 우리나라에서 살아남기 힘든가봅니다.

정말 우리나라는 뿌리없는 나무라고 생각할 때가 많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ack · 365327 · 12/05/13 19:10 · MS 2011

    한계가 생길거라는건 환원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극히 급진적인 발언이죠.

    공학은 기초과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어서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말해 무엇하겠냐만

    물리학을 예로 들면, 현대 물리학 이론이 직접적으로 현장에서 쓰이는 공학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언제나 자연과학은 저 멀찌감치 발전해있고 공학은 그 부산물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생활에 접목시키죠.

    전문가들이 자연과학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이유는, 연구에 있어서 공학도와 자연과학도의 상호 융합이 중요하기 때문인데

    한국의 뛰어난 학생들은 애저녁에 미국으로 가 버리고, 그나마 뛰어난 학생들은 의대로 빠져버려서 문제가 생기는 거죠.

    그렇다고 해서, 현재 공학에 사용되는 순수과학의 이해도가 부족해서 한계가 생길일은 절대로 없죠. -_-

  • 스튜어트 · 404935 · 12/05/13 22:01 · MS 2012

    아하! 고마워요 궁금증이 해결 됬어요 ^^ 개인적인 소신이 있어 의대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지만 이건 정말 궁금했었어요. 수험생 입장이다 보니 정보가 부족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