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테스터 [270672] · MS 2017 · 쪽지

2012-04-17 02:38:46
조회수 831

언어 12수능문제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69907




 선택지2번을 보면 그냥 외부성이라고 하지않고,
 '제3자에게 이익을 주는' 외부성이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비효율성을 초래하지않는 거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삼차 · 348418 · 12/04/17 03:52 · MS 2010

    지문에서 한 '가정'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오류를 범하셨네요
    A의 두번째줄을 보시면 "과수원의 이윤감소보다 양봉업자의 이윤증가가 더 크다면~" 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과수원의 이윤감소가 양봉업자의 이윤증가보다 더 크다면 어찌될까요?
    Qa보다 더 많은 생산을 하게되면 양봉업자의 이윤이 증가되므로 제3자에게 이익을 주는 외부성에 해당되는데 과수원의 이윤감소>양봉업자의 이윤증가 이므로 비효율성은 증가되죠?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3

    ???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02

    이익을 주든 안주든 상관없이 외부성은 무조건 사회 전체적으로 비효율성 초래함...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1

    외부성 자체가 제3자에게 끼치는 이익과 손해를 모두 포함합니다. .,...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22

    첫째줄에 나와있듯이요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5

    그러므로

    외부성은 사회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참

    이익을 주는 외부성도 사회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참

    손해를 끼치는 것도 사회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참

    이죠..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8

    그런데 지문의 내용에 따라 엄밇히 말하자면,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라기보단, 초래 '할 수 있다' , 즉 가능성의 의미로 보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지 2번에서 처럼 '초래하지 않는다'는식의 단정적인 내용은 거짓이 되는 것입니다.

  • Busker♪ · 388316 · 12/04/17 10:15 · MS 2011

    제3자에게 이익을 준다고 사회전체에 비효율성을 안주는건 아니죠
    제3자와 사회전체를 같은 대상으로 보시면 안됩니다

  • 서울대말뚝 · 385016 · 12/04/17 10:19

    22 질문하신분이 약간의 상식, 배경지식 때문에 혼동하신듯. ' 이익을 주니까 사회전체적으로도 좋은거겠지...''

  • 몽돌이 · 328320 · 12/04/18 20:42 · MS 2010

    글을 이해하세요..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죠.. 제3자에게 이익을 주는 양이 5라 했을 때, '나'의 이익이 -10이 되버리면..
    사회 전체적으로 -5라는 비효율성이 생기므로.. 오답이죠

  • 몽돌이 · 328320 · 12/04/18 20:45 · MS 2010

    [A]부분이 제가 말씀드린 부분의 뜻입니다. 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