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1등급과 비 1등급의 차이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128094
저번에 올렸던 칼럼이 올라간 후에 반응이 좋아서 계속 써보기로 했습니다 ㅎㅎ
봐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이전 칼럼 주소 : https://www.orbi.kr/00028068253
오늘은 비문학과 국어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글은 어렸을 때 독서를 많이 해서 국어에 대한 감이 있는 분들 혹은 선천적으로 언어적 감이 뛰어나신 분들은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3. 비문학
: 분석을 위한 분석
이전 칼럼을 읽고 감사하게도 쪽지로 질문해주신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 분들일 갖고 있는 고민들과 함께 여러 수험생 커뮤티니를 눈팅해본 결과,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들은
'지문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가?'
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주변에서 지문 분석해라 ~ 해라~ 하는데 정작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경우가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지문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비문학 칼럼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볼 것이고, 오늘은 간단하게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잘못된 케이스가 총 2가지가 있습니다.
1. 정답의 근거만 밑줄 쳐놓고 넘어가는 경우(혹은 정답에 대한 근거를 필기하는 경우)
2. 지문 내용을 옆에다가 문단 요약하듯이 필기하는 경우
이 외에도 문단 중심내용을 요약한다던지, 지문 주제를 자기가 생각하지 않고 답지에 있는 것들을 그대로 필기하고 공부라고 생각하던지 등등 다양한데, 이 부분은 사실상 2번과 비슷하기 때문에 크게 2가지로 추려보았습니다.
1번은 그래도 양반입니다. 정답 근거가 지문에 있다는 사실을 그래도 인지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2번은 정말... 저는 개인적으로 비문학 문단을 교과서 요약하듯이 필기하는 공부법을 정말 비추천합니다.
중요한건 지문의 구조와, 지문을 구성하는 매커니즘입니다.
단순히 문제가 정답인 이유만을 찾았다고 넘어가는 것도 안되고, 80분 안에 풀고 치워버리는 지문 내용을 예쁘게 필기하는 것도 잘못된 방법입니다.
지문이 어떻게 흘러가고, 어떤 화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지문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있다면 그 키워드는 무엇이고, 앞 문단과 다음 문단에서 나오는 내용들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등등
공부해야할 부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 과정을 공부하다 보면 평가원 기출이 왜 평가원 기출인지 느끼시게 될겁니다.
공부를 위한 분석을 합시다.
기출에 나왔던 지문 다시 나올일은 없습니다.
낯선 텍스트로 구성된 지문이 항상 출제되고 그것들은 일정한 논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사실을 반드시 인지하고 공부해주셔야 합니다.
지문의 내용이 어떻게 문제와 연결되는지에 대한 연습은 이 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 국어 영역에 대한 태도.
: 이해
문학, 비문학 부분에서 언급했던 내용과 비슷합니다.
일부 중하위권 학생들 중에서 시험지에 있는 지문들을 읽고 '이해'(문학의 경우는 '감상')하려는 친구들이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국어영역은 여러분의 생각과 이해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주어진 텍스트를 읽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과목입니다.
문학에 주어진 도, 비문학으로 출제하는 지문도 대부분 논문에서 끌어옵니다.
그런데, 수능은 기본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고3)을 대상으로 하는, 최종학력 중졸이 치르는 시험입니다.
중졸한테 논문을 이해하라고 할까요?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수많은 글자들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완전히 이해하고 풀게 하지 않습니다.
물론, 소재가 어려워서 지문이 눈에 안들어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소재가 어렵고 낯설어도 그 분야와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요구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즉, 말 그대로 '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시험이라는 것입니다.
지문이 어렵다고 해서 부담을 느끼지 않으셨으면 좋겠고, 공부를 할 때 지문을 이해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문학의 경우, 내 주관을 통해서 작품을 감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화작이든,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학문적으로 파고들지 말고, 실전적으로 문제를 풀기 위해서 어떻게 공부하는게 효과적일지 항상 생각해보세요.
수능은 학문이 아닙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입니다.
조금 뜬구름 잡는 이야기처럼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들은 댓글이나 쪽지로 남겨주시면 제가 해드릴 수 있는 선에서 모두 답해드리겠습니다!
쪽지는 제가 자주 확인을 안하는 편이라 늦을 수도 있어요 ㅠㅠ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 ㄱ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손톱 0
21살때까지 엄마가 짤라준사람? 손톱자르다 든 생각이다...
-
입시 실패하니까 낮은 지능땜에 더 스트레스 받는듯
-
배 아파 0
아.
-
2컷부턴 좀 빡세짐. 3컷은 불확실 표점 원과목이랑 비슷해짐 투필수 표본으로 돌아갈...
-
그런건 없음
-
미적vs확통 2
삼반수 생각중인데 미적계속할지 확통으로 바꿀지 고민입니다 24수능 미적 27~30다 틀렸습니다
-
저만 지방대임
-
ㄹㅇ
-
오르비 평균 4
미만 학벌,지능,키,외모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숭실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숭실대생, 숭실대...
-
오르비평균학벌 1
입니다
-
그래도 투필수시절처럼 원시회귀 하진 않을 거 같은데 2
3등급컷이랑 표점 정상화는 이루어질 듯
-
진짜 구라안치고 친구 10명있으면 6-7명이 스카이메디컬인데.... 이번에...
-
지금 몇시에요 0
ㅈㄱㄴ
-
투과목이 내년에 끝남
-
수학 말곤 국어 영어 쌍으로 ㅈ같네 시불시불하면서 풀었는데 역시 점수도 시불이네...
-
일단 ln(2이상의 자연수)는 모두 무리수임 챗지피티가 그렇대...
-
반수/유급하면 몇 명이나 나감뇨 중중중휘 보니까 51->43됐던디 너무 케바케인가
-
물론 성공한 사람도 있겠지만 반수면 이도저도 안되고 결과적으로 실패가 훨씬많음....
-
설의 설치 목표 자체도 의대 반수생 아니면 절대 추천 못하겠고 극소수의...
-
정석킥 0
작년에 김승리 듣던 중에 맛보기로 정석민 문학 찍먹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좋았어서...
-
코동욱 일클 3
독서만 듣는데 일주일에 한 주차 강의 듣는 날 정하고 나머지 날은 검더텅 기출이나...
-
근데 남자는 임신이 안된데...
-
현?역 건동홍떨 재?수 서울대
-
물리학과가서 전자과 복전 할려는데 다른 물리학도들도 복전 많이 하는 편이죠?
-
연하는 14
별로같다
-
안녕하세요. 아마 기억하는 분들이 거의 없겠지만 약 7~8년전 오르비북스를 통해...
-
그래도 돌아왔을때 아주 힘들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했습니다
-
경제사문 하다가 생윤사문으로 넘어왔는데 뭐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감이 안 잡히네요...
-
궁금한건데 저거 미분계수로 나타내면 8f’(0)이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답은...
-
앙 ♡ 뱃 3
앙 ♡ 뱃을 달았다 ㄷㄷㅇ
-
왜 꾸역꾸역 결혼하는지 잘 이해안감 능력있거나 한쪽이라도 돈많으면 ㅇㅋ인데 진짜...
-
평가원 #~#
-
ㄹㅇ임뇨
-
오늘은 6수, 2026에 도전하게된 기념으로 내 이야기를 끄적거려보려함. 난...
-
에휴
-
이 싸움은 UFC임 의사 전체의 앞으로의 인생의 가치와 들여온 노력을 걸고 싸우는...
-
홍대 다니는분 1
입학 하기전에 뭐해야할지 알려주실분 있나요 카페 깊콘으로 사례 해드릴게요 쪽지 부탁합니다
-
완전 독학으로는 공부하기 힘든가요?
-
자존감 대폭락할듯
-
다같이 뭉쳐도 모자랄텐데
-
좋은 수면제였는데 ...
-
언제 열리지
-
이제 고3 올라가는 문과임 고1때까지는 나름 수학? 열심히 했었는데 고2때부턴 그냥...
-
박석준은 신임 0
ㄹㅇ
-
남자한명 여자한명 따로따로 가심 할사람은 어떻게든 하는구나
-
예비 고2 정시파이터인데 수학 기출을 지금부터 해놓으면 나중에 이점이 있을까요??
-
누구는 휴학하고 누구는 수업듣고 이런건 없음 우리는 모두 한팀임ㅇㅇ
-
선생님 181130 풀어주세요
국어황
님이 더 국어황
(댓글 잘못달았음요 ㅠ ㅋㅋ)
좋은 글 감사합니다. 느끼는 게 많네요ㅠ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당

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굉장히 좋은것 같아요. 저도 관련 내용 앞으로 꾸준히 올릴테니 참고해주세용
그러니까 비문학은 문단간 유기적인 관계파악에 중점을 두라는 말씀인가요?
넵 그게 우선적으로 선행되면 미시적인 근거찾기가 어느정도 따라와요. 지문의 흐름을 파악하면 관련내용이 어딨는지 찾기도 수월하구요.
저는 좀 읽을때 글을 어떤내용이 어디에 있었지 하는 정도만 기억이나고 문제를 읽고,다시 지문에 돌아가서 푸는?(이때는 세세하게 읽지는 않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만) 그러니까 지문을 외우지 않는데.. 이렇게 해도 될까요? 이게 고2까지는 먹히던데. 고3때는 어떨지 궁금합니다.특별한 심프님만의 비문학풀이법이있는지요?
전 그냥읽고 그냥푼다 주의라서 ㅋㅋㅋㅋ
저도 그렇게풀어요! 돌아가는 과정에서 그 내용들이 어디에 있었는지 기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지문의 흐름을 기억하는거구요. 잘 하고 계시는것 같아요.
혹시 쪽지드려도될까요?
넵 편하게주셔용
넵 감사합니당
비문학문단요약이 지문 구조도그리는거랑은 다른건가요?
네 제가 아는 구조도라면 그렇습니다. 내용을 옆에 막 적어놓는거랑 지문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키워드중심으로 쓰는거랑은 다르죠.
제가 했던 비문학 분석이 방향이 잘못됐군요...
실례가 안된다면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추후에 계속 칼럼 올리긴 할건데 제가 이전에 썼던거 링크 올려놓을게요. 좀만 기다려주세용
https://www.orbi.kr/00023812774
https://www.orbi.kr/00023813080
https://www.orbi.kr/00027086452
감사합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팩트체크 잘해주시넹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 시험칠때도 비문학 풀 때 옆에 스키마 짜면서 푸는데 잘못된건가요 ㅜ
구조를 짠단 말씀이신가요?? 저는 그런 방법이 잘 안맞기도 하고 시간도 빡빡해서 비추천드리긴 합니다만, 본인에게 맞다면 괜찮죠! 사람마다 공부법이 다르니까요.
칼럼 읽고
전체 스키마대신 부분 스키마로 4지문정도 연습 했습니다
시간단축에는 좋네요 아직은 연습이 더 필요한듯합니다...
6문제 비문학기준 13분->10분
도움되신다는 것 같아서 기분좋네요. 열공하시길 바라요
맞말 추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