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isingeagle [941059]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0-02-17 23:11:24
조회수 873

국어ㅈ밥 현여기 질문 답해주실 국어황을 구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758177

2019년 7월 고3 교육청


지문

여유 자금을 기업에 투자할 때는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가

치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재

무비율 분석이 필수적이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경영에 따른 재

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회계 원칙에 따라 간단하게 표시한 

재무 보고서를 말한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

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정 시점의 기업의 재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재무상태

표를 활용할 수 있고, 일정 기간의 기업의 수익 규모와 수익성

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이 제시된 포괄손익

계산서를 활용할 수 있다. 

 기업의 재무 상태는 자산과 부채, 그리고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 지분인 자본*을 통해 알 수 있

다. 자산은 현금과 토지, 건물 등과 같이 기업이 소유하고 있

는 유형 ․ 무형의 재산을 말한다. 부채란 갚아야 할 돈으로 흔히 

말하는 빚이다. 자본은 주주가 출자한 자본금과 자본 거래 및 

영업 활동을 통해 발생하여 축적된 이익 등으로 구성된다. 기

업이 자산을 활용해 발생시킨 매출액에서 매출 원가 및 기타 

비용 전부를 차감하면 당기순이익을 알 수 있다. 

 재무제표에 표시된 숫자들은 숫자 그 자체보다는, 다른 숫자

들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또는 기간별로 그 숫자들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파악할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투자자들

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재무제표에 표시된 숫자

들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 재무비율 분석을 

해야 한다. 재무비율 분석 중 널리 쓰이는 비율로 ‘자기자본순

이익률(ROE)’이 있다.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주주가 투자한 자

기자본에 대한 투자의 효율성을 보여 주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을 평균자기자본으로 나눈 후 백분율로 환산하면 구할 수 있

다. 미국의 화학 기업인 듀퐁은 자기자본순이익률을 활용하여 

재무제표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인 ‘듀퐁 ROE 분

해’를 창안했다. 듀퐁 ROE 분해에 따르면 자기자본순이익률은 

매출액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 그리고 재무레버리지를 곱한 값

과도 같으므로 이 세 가지로 분해하여 각각의 재무비율을 파악

하면 기업의 수익성, 효율성, 안정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듀퐁 ROE 분해 중 ‘매출액순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당기순

이익이 얼마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

눈 수익성 지표이다. 만약 1,000만 원어치 물건을 팔아서 재료

비, 인건비, 임차료, 전기료 등을 다 제하고 최종적으로 남은 

돈이 120만 원이라면 매출액순이익률은 12%가 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의 한 회계 기간 동안의 매출액 중 당기순이익의 비

중을 보여 주어서 산업별 평균값이나 다른 기업과 비교해 보면 

자신이 투자한 기업이 수익을 제대로 내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듀퐁 ROE 분해 중 ‘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평균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자산의 효율성 지표이다. 자산회전율이 높으면 기

업의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

어, 기업 A와 B 모두 매출액이 1,000만 원이고 A와 B의 평균

총자산이 각각 1,000만 원과 400만 원이라고 한다면 동일한 

매출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자산이 B는 400만 원에 불과한 반

면, A는 B의 2.5배인 1,000만 원이다. 따라서 A와 B의 자산회

전율은 각각 1과 2.5로 B가 A에 비해 자산의 이용이 2.5배 효

율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듀퐁 ROE 분해 중 재무레버리지는 평균총자산을 평균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안정성 지표이다. 재무레버리지가 높아

지면 기업의 안정성은 낮아진다. 특히 경기가 좋지 않을 때에 

재무레버리지가 높을 경우 그 기업은 금리 인상에 따른 재무적

인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자기자본순이익

률이 상승한 기업에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이유가 

높은 재무레버리지에 의한 것은 아닌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재무레버리지를 산업별 

평균값 또는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해 보아야 한다.

A기업의 매출액순이익률(%)이 10이고 자산회전율(회)이 2, 

재무레버리지가 2라고 한다면 A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은 

40%(10×2×2)가 된다. 따라서 듀퐁 ROE 분해는 다른 기업과 

자기자본순이익률을 비교하거나 각 기업을 수익성, 효율성, 안

정성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에도 경영 성과와 재무 상태를 파악할 수 있

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업의 경영 환경

과 경기 상황 등에 따라 재무비율에 대한 의미가 달라질 수 있

으므로 경제 여건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 자본 : 기업의 소유주인 주주들만의 자산, 즉 순자산을 회계 용어로 자

본이라고 부르며, 타인자본인 부채와 구분하여 자기자본이라고도 함.

5번째 문단에 재무레버리지는 평균총자산/평균자기자본이라고 되어 있는데 1번 선지에 평균총자산이 증가하면 재무레버리지가 높아진다고 되어있길래

'분자가 커지면 당연히 전체값이 커지지 문제 ㅈ밥으로 만들었노' 하면서 골랐는데 바로 나가리.

답지 설명 보니까 

'부채가 일정할 경우 평균총자산이 증가하면 

기업의 재무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재무레버리지는 

낮아진다'라면서 1번 선지가 틀리다고 되어있는데 그냥 평균총자산/평균자기자본 이 공식 이용해서 풀면 안 되는 거였는지 모르겠음.

그리고 3번이 답으로 되어있길래 답지 설명 보니까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이므로 

평균자기자본이 일정할 경우 부채가 증가하면 자

산이 증가하게 되므로 재무레버리지는 높아진다.'

라 되어 있는데 그러면 평균총자산=자산 이렇게 놓고 문제를 풀어야 했던 건지 아니면 내가 멍청해서 다른 놓친게 뭔가가 있는지 모르겠음.


국어 고인물들의 열렬한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