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시간다 [848152] · MS 2018 · 쪽지

2020-02-08 20:36:37
조회수 373

이 문제 쉽게 풀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476838

Long before Walt Whitman wrote Leaves of Grass, poets had addressed themselves to fame. Horace, Petrarch, Shakespeare, Milton, and Keats all hoped that poetic greatness would grant them a kind of earthly immortality. Whitman held a similar faith that for centuries the world would value his poems. But to this ancient desire to live forever on the page, he added a new sense of fame. Readers would not simply attend to the poet’s work; they would be attracted to the greatness of his personality. They would see in his poems a vibrant cultural performance, an individual springing from the book with tremendous charisma and appeal. Out of the political rallies and electoral parades that marked Jacksonian America, Whitman defined poetic fame in relation to the crowd. Other poets might look for their inspiration from the goddess of poetry. Whitman’s poet sough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n the instability of American democracy, fame would be dependent on celebrity, on the degree to which the people rejoiced in the poet and his work.


① a refuge from public attention
② poetic purity out of political chaos
③ immortality in literature itself
④ the approval of his contemporaries
⑤ fame with political celebrities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물천의 조유리 · 905343 · 20/02/08 20:36 · MS 2019

    지금까지 본 지문중에 그게 제일 ㅈ같았음ㅋㅋㅋㅋ
  • 입시판을 떠난 이 · 801259 · 20/02/08 20:38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설시간다 · 848152 · 20/02/08 20:39 · MS 2018

    4번임

  • 크리링 · 905153 · 20/02/08 20:39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롯데자이언츠 · 804457 · 20/02/08 20:44 · MS 2018

    왜 아직도 기억이 나지...ㅋㅋㅋㅋ 답까지 기억나서 쉽게 풀리는지를 모르겠음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2/08 22:00 · MS 2019 (수정됨)

    월트 위트먼이 'Leaves of Grass'를 쓰기 오래 전에, 시인들은 명성에 집착해왔다. 호레이스~~ 들은 소망했다. 시적 훌륭함이 그들에게 일종의 세속적 불멸성을 줄 것을.

    → 시를 잘 쓰면 두고두고 이름이 남기 때문에 시인들은 거기에 집착했다. 뭐 이런 느낌같고..


    위트먼은 비슷한 신념(아까 위에서 서술한 다른 시인들이 집착한 불멸성)을 가지고 있었다. 수백년동안 세상이 가치있게 여기기를 본인의 시들을. 하지만 (위트먼은) 그 페이지(=시를 말하는 듯 하네요)에 영원히 살려고 하는 이 열망(=아까말한 불멸성)에, 그는 새로운 명성감을 더했다.

    → 위트먼과 다른 시인들의 신념(열망)은 비슷해보이지만, 다르다. 위트먼은 거기에 명성감을 추가함.


    독자들은 시인의 작품을 간단히 다루려고 하지 않는다. 독자들은 끌린다. 그의 성격의 활달함에. 독자들은 보고싶어한다. 그의 활동적인 시를 그리고 책으로부터 뛰쳐나온 카리스마와 호속력을 지닌 개인을

    → 독자들은 시 속 등장인물이나 내용의 입체감을 더 음미하고 싶어한다 뭐 이런 내용같고.


    Jacksonian America를 나타내는 정치적 집회와 유권 행진에서 벗어나, 위트먼은 정의했다. 시적 명성을 군중과 관련하여. 다른 시인들은 찾았을지도모른다. 그들의 영감들을 시의 여신으로부터.

    위트먼의 시는 추구했다 ____________.

    → 위트먼은 남들과 다르니까 따로 빈칸으로 만든거겠지요?


    미국 민주주의의 불안정 속에서, 명성은 유명세에 의존할 수도 있다. 사람들이 시와 그의 작품 속에서 크게 기뻐하는 정도에서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2/08 22:05 · MS 2019

    이 문제는 소거법을 쓰는 편이 더 쉬워보이네요.

    1번은 검토할 가치도 없는 확실한 오답입니다.

    2번은 '불멸성'이 나오니까 지문에서 나온 '불멸성'과 관련있어보이겠지만, 불멸성을 추구한건 위트먼이 아니라 오래 전의 다른 시인들의 얘기이니 오답.
    (논리를 더 엄밀히 따지자면, 다른 시인들이 불멸성을 원한 반면, 위트먼은 수세기(수백년)간 사랑받기를 원함. 그러므로 불멸성은 오답.)

    3번은 위트먼이 대중적 관심으로부터 도피한다는 내용이 없으니 오답. 오히려 군중과 관련하여 명성을 규정했지요.

    5번 정치적 유명세와는 아무 관련 없습니다. 오히려 정치적 집회와 유권 행진에서 벗어났다고 했지요.


    저도 4번이 정답으로 나오네요.

    논리적으로도 '군중과 관련하여 명성을 규정했다'라는 문장이 있으니, 동시대 사람들의 인정(=명성)이라고 유연히 생각 가능합니다. 다른 1235번에 비해 최소한의 근거가 되어줄 내용이 있습니다.

    확실히, 일반적인 지문에 비해서는 상당히 난이도가 있네요.

  • 흔들린우동 · 766396 · 20/02/09 01:28 · MS 2017

    4번 기억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