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니마 [379337] · MS 2011 · 쪽지

2012-02-09 23:56:16
조회수 864

문학 강의 비문학 강의들을려고 합니다 병행해야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45911

병행해야할까요 ? 아니면 문학끝내고 비문학 으로 넘어가야할까요?

문학은 박담 수알모 문학 듣고잇구요 비문학은 추경문 지문답 구조독해 들을려합니다 ... (박담 비문학은 맛보기 들어봣는데 별로여서요..)

그리고 들으면서 문제풀이 하면서 적용해야할까요? 다듣고 문제풀이하며 적용해야할까요?

박담 수알모는 시 파트 끝나면 시부분 문제풀면서 소설 진도 나가고 해요 .

예비고2 구요 언어 강의는 2일~3일 에 한번꼴로 들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진작가 · 402017 · 12/02/13 20:43 · MS 2012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언어강의를 예비 고2인 현재 듣는 것은 추천드리고 싶지않네요. 인강의 특성상 인강교재의 구성이 인강선생님의 비법을 적용 시킬 수 있는것 만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또한 고2 모의고사에서는 비법이 충분한 역할을 하기에 그 비법만이 수능풀이에 적합한 방식이라는 편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편견을 가지고선 기본이 중요한 수능에서 고득점을 얻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현재 예비 고2시라면 충분한 시간이 남아있으니 문제풀이에 치중하는 공부를 하지마시고 기본적인 독해에 대한 능력을 키우는 공부를 하셨으면 합니다.

  • 혼니마 · 379337 · 12/02/13 23:35 · MS 2011

    좋은글 감사해요 제가 생각해도 그게 맞는거 같아요 근데 기본독해력을 어떻게 키우는게 좋을지 조언좀 부탁드려요 지문으로 공부하자니 지문이 잘 이해가 안가고 ;; 기본독해력을 향상시켜준다해서 나쁜언어 보고잇는데 이거 쭉 볼까요??

  • 사진작가 · 402017 · 12/02/14 09:17 · MS 2012

    제 경험에 비추어 말해 보자면 저또한 고1시절 2~3등급을 오가는 언어 성적때문에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고2가 되기전 겨울방학과 봄방학 기간동안 언어영역에 집중하였고 그결과 고2, 고3 모든 모의고사의 언어영역에서 백분위 99%의 성적을 얻을 수 있었고 수능또한 1등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제가 했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 당시에 가장 어렵다는 언어 문제집인 특작을 샀었고, 문제를 풀이함에 있어서 속도 보다는 정확도를 올리도록 노력했습니다. 먼저 지문을 독해함에 있어서 단순히 읽고 바로 문제를 풀기보다는 한문단씩 읽어가며 그 문단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구절에 줄 긋고(1문장이 적절, 때론 2문장 가능)문단 바로 밑에는 그 문단에서 쓰인 기술법을 적었습니다. 예를 들어 <정의>, <예시>, 이런식으로요. 이것을 전체 문단에 적용한 후에 문제를 풀었습니다. 글에 따른 문제를 모두 한꺼번에 다 풀고, 한번에 답을 매겨봅니다. 맞는 문제는 그냥 넘기고, <틀린문제는 "제시문을 통해서" 왜 선택지들이 오답이 되는지, 정답이 되는지를 공부했습니다.><--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답지에 나와있는 문단마다의 주제와 자신이 그은 문장이 일맥상통하는 가를 확인한 후 다음 제시문으로 넘어갑니다. 이는 비문학을 공부하는 방식으로 한 제시문당 10~20분 정도가 드는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밑줄의 문장이 주제와 잘 맞지 않을 수 있고, 문제또한 많이 틀릴수 있기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저의 경우 한 제시문당 4문제가 있다면 그중 반은 틀리고 넘어갔습니다 ㅎㅎ 하지만 숙련되신다면 순식간에 중심문장을 찾고 바로 밑줄긋고 문제로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물론 모의고사에는 기술법은 적지 아니하고, 중심문장에만 밑줄긋고 넘어가 문제를 푸시면 됩니다. 또한 문장에 나와있는 한자어나 단어에 대한 정의를 모르신다면 형광펜으로 체크를 하시고 사전을 통해서 정확한 정의를 익히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수 있습니다. 문학의 경우에는 수업을 들으시며 문학의 기본에 대하여 듣는것은 괜찮은 방법이라 사료됩니다만 벌써부터 문제풀이강의를 듣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문학은 문학어의 개념이 문학의 반이상을 차지하는 것이니 문학강좌를 통해서 개념을 체득하셔도 되고, 어려운 문제들을 통해서 직접 개념을 체화시키는 것또한 괜찮습니다.

    결론적으로 언어공부는 정도가 있는것이 아닙니다. 이 방법또한 저에게만 적용되는 방법일 수 있고, 님에게는 맞지않는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자신만의 공부법을 만드는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누구는 어떤 강의를 듣는다더라, 어떤샘이 좋다더라 라는 소문에 이끌려 자신을 남에게 내맡긴다면 결코 언어영역에서 고득점을 하실 수 없습니다. 꼭 명심하세요. 자신만의 공부법을 찾아내는데에 주력하세요!!! 자신만의 공부법을 찾을 수 있다면 2014 수능 언어영역에서 고득점을 획득하실 수 있으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