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mine [946507]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0-02-02 17:01:53
조회수 20,062

26)수학 가형 도움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303659

인증을 해야 사람들이 본다는 말이 있었으니 일단 올리겠읍니다.



우선 제가 예전에도 한 말이긴 한데 칼럼이나, 도움글 들은 언제나 발췌독하여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시거나, 이해하여서 안맞는거 같으면 거르셔야지 이 글이든, 다른 글이든 걍 생각없이 따라하시는건 지양하시기 바랍니다.


킬러: 현재 최근 2개년 수능을 보면 19,20 수능 모두 킬러라 부를 만한 난이도의 문제는 없었습니다. 191121의 경우 여기에 배치시킨 평가원의 의도가 무엇인지 심히 궁금했고 191130, 201130 모두 어렵다고 말하기는 힘들고, 그나마 201121은 또 정답이 5번이긴했지만, 킬러라고 불릴만한 난이도의 끄트머리에 서있습니다. 181130, 181121, 171130 등의 유명한 킬러와 더불어 190621, 180930, 180630 등의 생각해볼만한 킬러들이 예전에는 있었습니다. 최근에 21,30에 배치되는 문제의 경우 비킬러에서 다루겠습니다.

우선 준킬러나 비킬러를 완성하지 못한 분들은 그거 하세요 같은 4점입니다

킬러를 푸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것 같습니다. 따라가는 논리적 풀이와, 직관을 통한 풀이. 

 어느 방향의 풀이든, 문제가 제시하는 조건들을 우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다음에 케이스 분류를 통해 푸는 문제의 경우 케이스 분류를 하던지, 아니면 함수 해석 등의 문제의 경우 함수의 개형을 파악하면 되겠죠 

 이때 케이스 분류든지, 함수 해석 문제든지, 베이스는 언제나 논리적인 풀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남는 케이스나, 함수가 이렇게 해석이 될수 밖에 없다라는 방식의 풀이를 통하여 나아가는것이 기본이 되고, 직관을 통해 특정한 케이스가 이 경우에 부합할 것이다라고 예측이 가면 그러한 케이스를 먼저 살펴 보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만일 논리적인 베이스 없이 직관만을 중요시하면 만일 그 예측한 케이스가 아닐경우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찍는 풀이에 불과하게 될것입니다. 

 직관 없이 논리만 따라가게 될 경우 케이스가 많거나, 함수 해석이 어려운경우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경우가 생길수 있기에 두 방법 모두 함께 사용해야 좋을것 같습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킬러를 풀다가 막힐 경우 답지를 보거나, 강사의 풀이를 보고 넘기지 마세요. 착각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답지나, 풀이는 힌트를 얻는 방식으로 사용해야지, 풀이 전체를 보고 넘겨 버리는 것은 얻을 거라고는 안다는 착각에 불과할 것입니다. 킬러를 맨 처음 푸는 사람이 킬러를 풀기 어려워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그 문제를 풀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고, 계산을 많이 해보거나, 다른 접근을 하면서 실력이 늘어야지, 답지만 대충 훑고 아 이렇게 풀었구나 이해했어 이러고 넘기면 도움이 안됩니다. 

 아에 막막하여 어떻게 푸는지 조차 모르면, 답지를 일부분 읽어서 도움을 받아서 나아가는 방식처럼, 답지나, 풀이는 부수적인 역할을 해서 킬러 푸는 실력을 늘려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킬러를 풀때 머리가 아픈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문제 푸는 실력이 향상 되는것 같습니다. 


킬러를 풀기 위해 도움이 되는 n제들: 딥마(유일하게 안풀어봄), 19,20샤인미, 20설맞이(모고에 끼워져있음), 19,20이해원, 20숏컷 빨간거, 19 숏컷, 마약, 규토, 2130, 콘크리트 등등


준킬러: 준킬러는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게 해답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킬러와는 달리 준킬러는 노력으로 충분히 쉽게 따라잡을 수 있는 정도의 문제들로, 평가원 기출들이 상당히 정형화 되어졌기에, 기출을 많이 모아둔 문제집이나, 쎈 등의 문제들을 풀어서 실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준킬러중 킬러에 가까운 문제들의 경우, 시중의 n제들이 많이 다루고 있기 때문에 문제를 지속적으로 많이 풀면 실력이 늡니다. 이때 킬러든, 준킬러든 여러번 반복해서 하는 말이지만, 모른다고 답지를 보고 넘어가는건 아는게 아닙니다. 


준킬러를 풀기 위해 도움이 되는 n제들: 패스파인더, 한완수, 일격필살, 오르비(얜 좀 애매), 크리티컬 포인트, 수학의 명작(얘도 애매), 기출코드 등등


비킬러는 준킬러와 마찬가지로 문제를 그냥 많이 풀수록 실력이 늡니다

 

공부 방법의 경우

수학은 공부한 시간에 비해서 성적이 잘 나오는 과목이 아닙니다. 따라서 평균 1등급을 맞는 분들의 경우 취약한 과목을 차라리 하는게 낫습니다. 2등급이나 3등급의 경우 수학을 올리는것이 입시에 도움이 크게 되기에 문제를 풀되, 2등급의 경우 준킬러들을 푸는 연습과, 21,29,30 중 최소 1개는 맞는다는 생각으로 가시고, 3등급이하는 킬러를 푸는 노력 보다는 준킬러나, 비킬러들을 마스터 하기위해 많은 문제들을 푸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꽤 많이 보이는 글들인데 '공부를 많이 했으나 성적이 안나온다' 라는 글이 종종 보입니다.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은 4가지 입니다. 

1. 정말로 많은 시간을 공부 한것이 맞는가? 

 제일 적은 유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만, 가끔씩 원하는 성적을 받기 위해서 하는 노력보다 적은 노력을 하고 불평하시는 분들이 게십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개인차가 극심하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소 4시간 정도는 해야지 수학을 많이 했다고 생각합니다.


2. 많은 시간을 했으나 집중은 적게 했다.

시간만 많이 투자하고 집중을 안하는건 안한거죠 끗


3. 제일 많은 유형이라고 생각합니다.

쉬운문제 즉 자신이 자신있게 풀수 있는 문제나, 이미 아는 강의를 많은 시간을 들었다.

이미 자신이 쉽게, 또는 풀수 있는 문제를 많이 푸는건 그닥 실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를 않습니다. 실수 적게하는거랑, 계산 능력 향상에는 도움이 될수 있겠지만, 성적향상이라는 측면에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모르는 문제를 풀어서 실력을 늘려야지, 아는 문제를 푸는건 시간낭비 일수도 있습니다. 그 시간에 다른 과목을 하거나, 모르는 문제를 통한 실력향상을 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4. 1,2,3에 해당하지 않으나 실력이 안는다

저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제 친구도 한명 그런 친구가 있는데 이거에 대한 해결책은 글쎄요.. ㅠㅠ


마지막으로 실모에 대하여


우선 최근 수능 트렌드에 맞는 실모를 소개하겠습니다.

포카칩 

제헌

일격필살

이해원 final (얜 걍 200630,200921 등을 베낀거에 불과하긴 하지만요)

빡모

신승범 모고(이투스 모고였나요?)

19Hidden kice(20은 있는지 몰랐네요)



다음으론 최근 수능보다 어려운 모의고사들입니다.

이해원(final 아닙니다)

설맞이

샤인미 리미티드(리마스터 아닙니다)

기대

킬캠

강남 단과 모의고사들(클리어 강기원 킬캠 등등)

서바이벌

호형훈제(어렵다고 들었으니 풀어보지는 못했습니다)


20수능에 없었지만 좋았던 모의고사들

샤인미

30번 없는 모의고사

어썸 모의고사 

이름이 기억안나는데 초록색 봉투의 모의고사 

샤인미 리마스터


돈낭비일 가능성이 큰 모의고사

elite 

19 대성 더 프리미엄

19,20 종로

19 비상

ebs이름 달고 나오는 이상한 모의고사들

모의고사 중 봉투가 매끈매끈하고 처음들어보는 모의고사들


돈낭비는 아니나 추천하기 힘든 n제, 모의고사들

fim(이건 문제들이 재밌긴하나 수능이랑 동떨어져있습니다. 재미는 정말있어요 킬러 좋아하시면 ㄱ)

20비상 (19 비상과는 달리 ㄱㅊ아졌으나 다른 더 좋은 모의고사가 많다)

20대성 (새로 나온 모의고사다 0회차의 경우 킬러가 재밌었으나 갈수록 계산만 많아졌다)

메가스터디 천기누설 (마찬가지로 더 좋은 모의고사가 많습니다)

오르비 옵티무스(포장지는 예뻤다)


 마지막으로 다시 얘기하지만 이것은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저와는 완전히 다른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많으시고,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은 각자마다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제가 쓴글의 일부에서 도움이 될수 있었다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조!

다시 말하지만 모든 칼럼은 언제나 *참조용*입니다. 맹신하지 마시고 필요한 부분만 들으세요. 제발 

그리고 킬러관련이 좀 긴데 3등급 이하는 개념이 부족한거니 킬러 손대지 마시고 개념이랑 유형등, 다른 거 부터 잡으세요

1등급은 과탐이나 하세요 수능 망하는거 보통 과탐때문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