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수능국어 질문 받아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230838
1. 16~20번 계약 관련 지문에 19번 문제 질문.
3번 선지에 증여는 변제의 의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매와 차이가 있다고 적혀 있어 저는 이게 올바른 선지라고 생각했는데 틀렸더라고요. 변제=인데 채권은 청구권을 내용으로 하는 권리잖아요 근데 청구는 사전적 정의가 <상대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나 급부를 요구하는 일.>이던데 증여를 받는 사람은 채권이랑 좀 안 맞지 않나요? 제가 생각했을 때 증여는 "제가 이거 드릴게요 가지실래요?" "네 감사합니다" 하고 마는 느낌이어서 증여 받는 입장에서는 '요구'랑 거리가 멀어 보여서요. (참고로 이 선지에만 의아함이 있습니다 다른 선지들이 왜 옳은지는 알고 있어요)
2. 39~42번 가능세계 관련 지문에 42번 문제 질문.
3번 선지에 '가능세계의 완결성에 따르면, 어느 세계에서든 "어떤 학생은 연필을 쓴다."와 "어떤 학생은 연필을 쓰지 않는다." 중 하나는 반드시 참이겠군.'이라 적혀 있어 적절한 내용인 줄 알고 골랐는데 아니더라고요. '~'가 부정을 나타내는 기호라서 제시된 두 명제가 모순 관계인 줄 알고 이는 배중률에 성립됨으로써 이 선지는 답이 맞겠구나! 했는데 해설을 보니 모순 관계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모순 관계가 아닌 이유는 두 명제 모두 거짓인 경우가 있으므로 이로 인해 두 명제 모두 참인 것도 거짓인 것도 가능하지 않은 관계라는 정의에 어긋나서인가요? '~' 기호와 관계없이?
말주변이 없어서..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 들어 주시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이크로 소프트 하게
-
불법다운로드 ㅈㅅ
-
아내가 종아리 알을 풀어줬습니다. 그리고 진짜 울었습니다. 덧: 그나저나 왜 이...
-
A : 넌 연대가면될듯 B : 연>고 ㅇㅈ합니다 A : 아니 연산 대성
-
이정도면 무슨수저 맞죠??? (웃기지 않나요? ㅠㅠ )
-
비어있는잔과 beer있는잔 새르비 여러분들 우습씨다 하하하하하하하핳ㅎㅎㅎㅎㅎ
-
. . . 왜인 루니 데헷
-
도대체 버스비가 언제 인하대죠?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웃어줘잉
-
스듀 현재 상황.jpg 33
개판 5분전 ㄷㄷ
-
실수인 줄 알았으나 전부 다 예상되어있던 큰 그림
-
0.99999... 가 1이 아닌 과학적인 이유. 16
0.999... 가 1이면, 비둘기가 일! (잠깐쉬고) 일! (잠깐쉬고) 일!...
-
아재개그 모음 0
입이 s잘 되어있으면? EBS 설날에 용돈을 못받으면? 설거지검도하다 죽었다......
-
웃긴미드 처음접했는데 너무재미있더라구요...ㅋㅋㅋㅋㅋ 이런거 너무좋음......
-
우울하고.. 힘없는 횐님들을 위해,,.. 선물을 준비했읍니다... ^^ㅎㅎ~ 77
횐님들 신나게~~ 웃으시고,,.. 다시 힘내시라고..유모아.. 준비했읍니다.....
-
인문 논술책이지만 자꾸 어떤 자연계 강사분이 썻을것 같다는 생각이 맴도네요. 심증은...
-
동학농민운동마저 폭동이 되어버림ㅋㅋㅋ.그냥 전라도에서 일어난 구국운동은 어느시대에...
오르비 특)
질문 받아주러 들어왔다 글 길이 보고 뒤로가기
ㅇㄱㄹㅇ 지금 뒤로가기 누르려다가 답글달러옴
ㅋㅋㅋㅋㅋ큐ㅠㅠㅠ넘들하심..
근데 원래 간결하게 질문해야 잘 받아줘여
이렇게 길게 물어보면 거의 답 안 달아주심
저도 그러고 싶은데 이 궁금증을 도저히 간결하게 풀어 쓸 수가 없어서..ㅋㅋㅋ쿠ㅠㅠㅠㅜㅜ아쉽습네당
좋은 질문이에요.
1번 물음에 대한 답을 하기 전에, 문항#19 를 유심히 살펴봅시다.
"증여는 당사자의 일방이 자기의 재산을 무상으로 상대방에게 줄 의사를 표시하고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이다. 증여자만 이행 의무를 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글쓴이는 '증여'라는 것이 아무런 대가 없이 상대방에게 금전이나 현물을 주는 것이기에, 증여자 입장에서 이행의무가 없다고 생각했나봐요. 그런데 그 생각이 좀 적절하지 않아요.
일단 내가 너에게 100만원을 증여하기로 하는 '증여계약'을 확정하고 나면 그 뒤에 일방적으로 증여자 입장에서도 증여계약을 파기할 수는 없는 거예요. 위에 인용한 에서도 증여자는 '이행 의무'를 진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선택지③의 설명은 증여는 이행의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 부분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입니다.
헉 정성 댓글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ㅠ 혹시 한 가지 더 여쭤도 된다면.. 저는 증여자가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것에는 이해를 하고 있었는데 증여를 받는 입장에서 채권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던 것이었어요. 변제의 정의 자체가 '채무자가 의무를 이행->채권 소멸'이어서 어쨌든 채권을 소멸시켜야 변제로서의 의미를 다했다고 볼 수 있는데 증여는 증여자의 의무만 이행하면 됐지 받는 입장에서 요구하는 느낌은 못 받았거든요..그래서 증여는 변제랑은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아닌가요?
'증여계약'이 체결된 이후에는, 그 계약에 근거해서 증여계약의 수증자(받는사람)는 계약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이행청구권 또한 채권의 일종이에요.
2번 물음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하려면, 대당사각형의 정확한 개념을 반대관계와 소반대관계, 모순관계를 포함해서 설명해야 하는데 너무 길어질 것 같아요.
"어떤 학생은 연필을 쓴다." / "어떤 학생은 연필을 쓰지 않는다." 의 두 명제는 소반대관계에 있는 명제들입니다.
이에 반해 가능세계의 완결성이란 명제 P와 ~P에 대해서 P or ~P 는 언제나 참임을 의미할 뿐입니다.
위의 직접인용한 두 명제는 P와 ~P의 관계에 있지 아니하므로, 선택지③의 설명은 논리적으로 옳긴 하지만 가능세계의 완결성으로 그것이 설명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럼 제가 말한 이유도 모순 관계에 해당하지 않는 이유에 포함될까요?
42번의 3번 두 명제는 소반대대당이지 모순대당이 아닙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AEIO 형식을 아신다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