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로운산책 [336988] · MS 2017 · 쪽지

2012-02-03 11:12:23
조회수 1,529

물리1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13423

알짜힘=0 이라는말은 물체가 정지해있거나 등속직선운동을 할때이다라고 알고있는데요.

제가 이비에스작년도 인강교재에 있는 기출문제인데여



손으로 10N의 힘으로 물체를 잡아당길때 일정한속력으로 움직이게 당겼다. 라는 내용인데요,

인강선생님께서는 일정한속력=가속도0 이기때문에 알짜힘이 0이다. 따라서 10N의 마찰력이 1kg, 2kg에 나눠서 걸린다. 라고하셨는데여

(알짜힘=0 => 등속도운동/정지 )   이게 거의 공식비슷한거니까 뭐 이논리대로라면 풀겠는데요,

근데 전 아직도 합력이 0인데 왜 물체가 움직이는걸까.. 하는게 이상해요.   앞에서 10N 으로 당기고 뒤로도 10N의 마찰력이 작용하는데

왜 움직이는걸까. ...ㅇㅅㅇ 저번엔 도르래문제를 풀었는데 그때는 오른쪽에서 50N 왼쪽에서 50N 이니까 알짜힘이 0이라서 정지 라고했는데..

이번엔 알짜힘이 0이라도 움직인다 ..ㅇㅅㅇ 

정지마찰력은 외력과같기때문에 안움직이고 등속직선운동할때는 운동마찰력과 외력의힘이 같다..하지만 움직인다  ;;ㅇㅅㅇ

알짜힘이0이 되는 논리 (왼쪽오른쪽의 합력이 0 )는 정지해있는물체를 설명할때나 등속직선운동하는물체를 설명할때나 같은데 왜
어쩔땐 움직이고 어쩔땐 안움직이고 ..ㅇㅅㅇ

헷갈려요 ㅇㅅㅇ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카렌 · 278738 · 12/02/03 19:24 · MS 2018

    알짜힘이 0이라는 것은 뉴턴의 운동 제 2법칙의 F = ma에서 좌변이 0이라는 것입니다. 뉴턴의 운동 제 2법칙은 "운동의 종류"를 알려 주는 것이므로,(http://orbi.kr/0002701164 에 단 제 댓글에서도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뉴턴의 운동 제 2법칙을 이용하여 이 물체는 "가속도가 0인 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뉴턴의 운동 제 2법칙으로는 "운동의 종류"는 알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운동인지 확실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어느 특정 시간의 위치나 속도 등이 필요합니다.(주로 처음 위치나 속도를 사용합니다) 즉, "가속도가 0인 운동"에는 "계속 정지해 있는 것"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있는데, 이 중 어떤 운동이 되느냐는 처음 속도에 달려 있는 거죠. 처음에 속도가 0이었다면 "계속 정지해 있는 것"이 되고, 처음에 속도가 0이 아니었다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됩니다. (관성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위의 것이 이론적인 내용이라면, 이제는 실제적인 이야기를 해 보죠. 도대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당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말입니다. 말하자면 대충 이런 것입니다. 물체가 처음에는 정지하고 있었겠지요. 이 때 힘을 주면 물체가 가속됩니다. 그러면서 물체의 속도가 자신이 원하는 속도가 되면, 그 순간부터는 알짜힘이 0이 되도록 힘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이 때부터는 알짜힘이 0이므로,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물체의 운동은 "정지" 또는 "일정한 속도로 운동" 중 하나이며, 둘 중 어느 것인지, 뒤의 것이라면 어느 정도의 속도로 운동하는지는 위에서 말했듯이 알짜힘이 0이 되었을 때의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그 때의 속도는 0이 아니므로, 물체는 그 때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운동하게 되는 것이지요.

  • 프리드리히 니체 · 401419 · 12/02/07 01:05 · MS 2012

    '관성' 때문이랄까요. 정지한 아해는 계속 정지하려하고 움직이는 아해는 계속 움직이려하는 관성. 갈릴레이의 사고실험에서 잘 드러납니다.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지구 최강의 철학자로 손꼽히는 아리스토텔레스도 "움직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라고 생각을 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