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전역을 감동시킨 의인 이수현, 그를 기리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818775
2001년 1월 26일 오후 7시 15분, 도쿄의 야심한 밤.
신주쿠에 위치한 신오쿠보역에는 여느 날과 다름 없이
퇴근길을 재촉하는 도쿄인들로 가득했습니다.
여느 때와 다름 없어 보이던 평범한 도쿄의 퇴근길
이내 열차가 도착한다는 안내방송이 역내에 울려퍼집니다.
그런데 이내 안내방송과 함께 역사 내에 비명소리가 들려옵니다.
이수현 의인의 추모 영화 '너를 잊지 않을거야' 의 장면
열차를 기다리던 취객이 선로 위로 떨어진 것입니다.
열차는 진입하고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
역내에 승객들은 어찌해야할지 모르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이수현 의인의 추모 영화 '너를 잊지 않을거야' 의 장면
그 순간 두 남성이 망설임 없이 선로 위로 뛰어듭니다.
열차는 역사로 시속 70km의 속도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기관사도 이들을 발견했지만 70m 떨어진 거리에서 제동을 해도
열차를 멈추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이수현 의인의 추모 영화 '너를 잊지 않을거야' 의 장면
몸을 피할 수 있는 공간도 없는 신오쿠보역의 교상 위 구조
결국 철로에 빠진 취객과 그를 구하기 위해 주저하지 않고 뛰어든 두 남성은 그 자리에서 숨졌습니다.
한국과 달리 지금도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역사가 많지 않은 일본의 지하철역
그렇기에 선로 추락 사고는 자주 있는 불상사였으나
이날의 사고는 일본의 뉴스에 대서특필 되며 일본인들의 개인주의에 날카로운 일침과
이들을 구하기 위해 제 목숨을 던진 두 의인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일파만파 퍼지게됩니다.
두 남성은 일본인 사진작가 세키네 시로씨와 한국인 유학생이었던 꿈 많던 청년 이수현씨였습니다.
역사 내에 있는 200여명의 승객들이 망설이는 동안 가장 먼저 선로에 뛰어든 남성은
자국민도 아닌 타지에서 온 대한민국의 청년이었다는 점은 당시 일본 사회에 적잖은 충격을 줍니다.
고려대학교 서창캠퍼스(현 세종캠퍼스) 무역학과에 재학중이던 청년은
당시 냉랭했던 한일 관계의 오작교가 되고 싶다는 제 꿈을 이내 가슴에 품은 청년이었습니다.
운동, 특히 자전거 타기를 좋아하고 기타를 치는 것을 몹시 좋아했다는 26살의 이수현 의인
그런 그는 일면식도 없던 낮선 일본인을 구하기 위해 주저함 없이 제 목숨을 내었습니다.
당시 일본의 관방장관 후쿠다 曰
"이씨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한일 친선관계를 위해 애쓰겠다."
그의 추모식에 당시 천황이었던 아키히토도 참석합니다.
천황 뿐만 아니라 총리인 모리 요시로도 참석합니다.
이처럼 냉랭했던 한일관계를 양국 국민의 가슴 속에 남아 '오작교'가 된 이수현 의인
또한 개인주의가 팽배했던 일본사회에 희생의 소중함이라는 큰 가르침을 일깨웠습니다.
실제로 이 사건 후, 일본에 배용준과 같은 배우들이 크게 인기를 몰며 한류 붐을 만들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이전의 양국관계에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일이었습니다.
허나 고인의 그 바람과는 달리 우리 사회의 일원들은 제 색은 바래버린
소설 모모에 나왔던 회색신사들이 생각나는 전람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하철 투신현장에서 누구 하나 돕는 이 없이, SNS에 좋아요 하나 더 받을라고
포스팅과 공유에 혈안이 되어 있는 회색 신사들의 모습은
고인이 저 위에서 대성통곡 할 모습이지 아닐 수가 없습니다.
'경복궁 미투 사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런 분위기가 형성된다는 것 자체가
우리 사회가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에 있어 의인들에게 얼마나 큰 부담을 지우는지
도대체 이 사회에 정의는 어디에 머무르고 있는건지 귀가 먹먹하고
가슴이 한 없이 답답해지는 순간이 항상 찾아옵니다.
제가 어렸을 때, 내가 나아갈 사회는
지식을 동경하지 깎아내리지 아니하며
제 가슴 한 켠에 모두 큰 이상을 품으며
정의롭고 공명정대한 사회 속에서 이를 손잡고 나아가는 그런 사회였습니다.
아직 늦지 않았다고 믿고 싶습니다. 아니 믿고 있습니다.
대학에 가서도, 사회에 가서도 모두 제 이상을 잃지 아니하고
모두 함께 정진해 우리보다 먼저 떠난 그들을 위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살아가면서 안될 때도 있고 힘들 때도 있겠지만
그 까짓것 때문에 피해가고 뒤로 물러서고 싶지는 않습니다.
언제든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고 헤쳐나갈 용기가 있습니다."
-이수현-
http://www.soohyunlee.com/pages/main.php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탱콘
-
나가고싶은데 얼굴보고 뽑아서 안될듯
-
릴스 내리다보면 나오는 팬티 브라자차림이 전부 캘빈거임.. 뭐지 안부끄러운가
-
일반화학 셤공부할 때 셤공부 목적으로 화1서바 풀어봄...
-
아저씨.
-
솔직히 순공 3
1초정도됨
-
나도 젊을때할껄 난 지금 너무 늙엇어
-
정상화의 신 7
-
47 2등급인걸 잊지 못했지만 오늘 더프 풀면서 이거 실전이면 45점 1컷이었을거...
-
작수 미적81점 이번3평 높2 이번 5평 80점 나왔는데 국숭세 아주인하 이상...
-
오버워치 2시간 하느라 106시간밖에 못함 ㅠㅠ
-
삼반수 계획 0
메인커리 조언부탁드립니다 국어 : 김승리 수학 : 김범준 영어 : 션티 생명 :...
-
탐구 0
화2 2 턱걸이 vs 사탐 화1러였음
-
개념은 메가스터디로 듣고있고 첨삭은 온라인 과외 구하려고합니다 첨삭받을때 제출할...
-
덕코는 안 주셔도 됩니다.
-
힘들다
-
이렇게 하나에 진심이엿던 적은 너가 2번째야
-
국어 약점—인문이나 그런 쪽 비문학이 약점인 걸 알아냄. Feed100하는동안...
-
재수생입니다. 현재 미적 3점은 다 맞고 29번 수열나오면 풀긴하는데 확신이...
-
국어 98점, 0개국어 ㅠㅠ순공 14시간, 적진 않은거겟죠 ㅠㅠ
-
맛자욱 근황 0
신에게 무릎을 꿇다…
-
엉덩이
-
국어를 4
못해
-
호날두 첼시감? 5
?
-
흐흐흐
-
걍 화1 버려야하나 10
전국 브릿지 7회 풀었는데 6개 쳐틀림 근데 1컷 47이라 하노 과탐은 딱 2등급만...
-
선지 모순찾기. 예를 들어 A,B 중에 옳은 선지 찾을때 o인게 두개이상 나오면 그...
-
김승리 앱스키마 0
내신하느라 7월 초입에 시작해야 할 것 같은데 그냥 기출을 더보고 아수라때...
-
작수기준 0
설대식 404면 내신 bb에 화생공 ㄱㄴ?
-
siuuuuuuuuuuuu
-
학교 다니면서 , 알바 하면서 , 운동 하면서 , 도로에서 옛날에는 별의별 사람이...
-
팁도 알려주명 좋겠다
-
중딩때부터 계속 하루에 1~2잔씩은 마셔왔는데ㅔ 시험칠 때 이뇨작용때문에 집중이 잘...
-
캬 내일 월요일 4
좀만 참으면 휴가
-
고민이다
-
왜 주말벌써 끝나감?
-
아;;
-
누가 더 좋을까요?
-
벽느껴짐 2
-
너무 힘듦..
-
모고 망하면 한 일주일동안 계속 그생각만나고 공부도 잘 안되고 틀린문제 계속 머리에...
-
한 번도 안 풀어봄 그냥 궁금띠
-
걍 화2할까 4
2받기 쉬움? 화1이랑 비교해서..
-
예체능이고 3등급은 나와야 감점이 없어요ㅠㅠ 이미지 커리 타고 싶어서 대성 끊어놓긴...
-
계약학과 삼반수 5
05 남자 미필이고 경희대 경영학과 다니고있는데 서성한 계약학과를 목표로 삼반수...
-
사려는데 왜 e북밖에 없음..? 못사는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영화 인상 깊게 봤었던 기억이 나네요.
영화도 보셨군요. 훗날에 뉴스에서 영화 시사회, 추모회 자리가 나오는걸 보고 이 사건을 처음 접했습니다. 사회가 각박해져서인지 이런 분들을 보면 뭔가 더 가슴이 뭉클해지는게 있습니다..
:)
:)

좋은 사회로 나아가길 소망합니다..새해는 올해 따뜻한 겨울처럼 가슴 한 켠도 따뜻해지는 한 해이기를
세상이 개인적, 이기적으로 변해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개인주의의 심화는 현대 사회의 크나큰 비애이죠...
지나친 개인주의가 점점 미덕으로 여겨지는거 같아서 더 씁슬하네요...
애석할 따름입니다. 개인의 각축장이 되어버린 이 사회
지금 한일관계보면 죄송스럽네요..
오히려 퇴보해버렸네요
:)
제 중학교 선배이십니다 ㅠㅠ 학교에도 안내문 걸려있어요
경복궁 사건 언급은 좀... 그냥 꼴페미 논리 같은데
일상 속에서 본 적은 없지만 소위 ‘펜스룰’이라던지, 쓰러진 시민을 심폐소생술로 구조해줬더니 되려 고소를 하거나 성폭행을 당했다며 고소하는 사례가 국내, 해외를 가리지 않고 보이는 어처구니 없는 실태죠. 경복궁 사건과 같이 이런 사회 분위기가 조장되는게 애석하여 사례를 들어보았습니다.
사건 자체는 거짓이기는 하지만, 그 내용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사람들이 이런 일을 씁쓸하게 여겼다는 점에서 이 글에 언급된 게 아닐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