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표현을 하는데 쓰는 도구이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802553
오늘은 '언어'와 '도구'에 대해서 각각 좀 이야길 나눠보겠습니다.
제가 수능 국어를 좀 공부하다보니 '언어'를 보면 '한국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고, '도구'를 보면 석기시대 사람들이 만들어 쓰던 돌도끼 같은게 상상됩니다. 대체 이 두가지가 서로 무슨 연관성이 있길레 이 둘을 같이 다루는지 상상이 안될껍니다.
먼저 좀 직관적인 '도구'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자르기 위해서 가위나 칼을 쓰고,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 키보드를 사용하며, 문제를 풀기 위해 샤프를 씁니다.
그런데 도구는 앞서 예시로 든 유형의 것 말고도 무형으로도 존재합니다. 수학에서는 도구를 '함수'라고 표현하죠. 예컨데 수학에서 '어떤 함수의 미분계수를 쉽게 구하기 위해 쓰는 도구'를 '도함수'라고 명명해두었습니다. 도함수라는 간편한 도구가 있기에 우리는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도 좀 쉽게 미분계수를 알아낼 수 있죠.
(우리가 '툴'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보통 다 도구입니다. 뭘 하기 위해서 쓰이는 물건들을 지칭하는데 특히 컴퓨터나 수학에서는 무형의 툴을 정말 많이 다룹니다)
도구를 사용하는 데에는 특별한 고민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도구를 적당히 다룰 정도의 손재주나 사고력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죠. 미분계수를 구하고 싶으면 도함수에 숫자를 집어넣고 계산해보면 됩니다.
우리가 가위의 세세한 작동 원리를 알거나 만드는 과정을 몰라도, 충분히 손가락 집어넣고 힘을 주면 쉽게 자를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편하게 자주 사용하고 있죠. 도구를 고안하는 것이랑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서로 다른 종류의 지식입니다.
이제 도구에 대한 이야기가 끝났으니 언어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글이나 말을 표현하는데 쓰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유용한 도구를 통해서 우리의 생각과 상상을 쉽게 표현하고 남들에게 전달할 수 있죠. 만약 우리에게 가위가 없었다면 물건을 자르는 일이 힘들었을듯이, 우리가 한국어라는 언어를 익히지 않았다면 읽고 써서 남들과 의사소통 하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었을 것입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표현하는 도구를 잘 다룬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남들보다 더 빠르고 쉽게 받아들이거나 표현할 수 있죠. 저는 오랜 시간 글이라는 도구를 다루어왔고, 그 덕에 평균적인 수준보다는 좀 더 잘 다루는거 같습니다.
'언어'를 '표현하거나 받아들이는데 사용하는 도구'라는 관점에서 보면 세상의 다양한 것을 언어로써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글 뿐만 아니라 그림으로도 남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림도 언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누구나 쉽게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죠.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821010010487 )
컴퓨터 언어(혹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 세상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서로 의사소통 하기 위해 만들어둔 언어입니다. 이 언어를 입력해서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래머한테 보여주면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죠. 컴퓨터 공부 1도 안해본 저자는 그 도구를 배워본 적이 없기에 이해 못합니다.
수학도 언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문제의 풀이과정을 쭉 적어놓은 것을 보면 우리가 그걸 보고 문제푼 사람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 이해할 수 있죠. 한국어는 하나도 안적혀있지만.
그런데 우리더러 수학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하라고 하면 좀 힘들 껍니다. 뭐라고 써야하지? y=sinx 정도를 쓰면 아름답다고 느낄까? 참 애매해지죠. 그런데 한국어로 아름다움을 묘사하라고 하면 갖은 예시와 비유를 들어 설명이 어느정도 가능할 것입니다.
반대로 한국어'만' 사용해서 어떤 수학문제를 풀라고 하면 가능하긴 하겠는데 좀 많이 짜증나고 쓸데없이 길어지겠죠. 수학이나 컴퓨터 언어는 좀 객관적이고 수치적인 것들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다르게 직관적이거나 감정적인 것들도 쉽게 표현이 가능한 한국어는 수학언어만큼 엄밀하게 수치를 설명하기에는 좀 힘듭니다.
제가 왜 오늘 이런 언어와 도구 이야기를 하느냐면 수능 국어에서는 이 두가지를 정말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떤 문제를 풀때 그에 효율적인 해법을 사용하면서, 그 해법을 '도구'라고 명확하게 인지해야합니다. 예컨데 닭잡는 칼 소잡는 칼에 관한 속담이 있죠. 닭잡는 칼은 닭은 잡는데 최적화된 도구이고 소잡는 칼은 소에 더 맞춰진 칼입니다.
(칼이라는 도구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자 종류에 따라 최적의 목적에 맞는 경우가 다 다릅니다. 과도로 스테이크 썰려고 하면 결국에는 자르긴 하겠지만 정말 짜증나겠죠
https://m.cafe.daum.net/outdoorchef/IFbW/13?q=D_23ESpBVz-JU0& )
그런데 소잡는 칼로 닭을 잡으려고 한다면 잡기야 잡을 수는 있겠지만 좀 비효율적이겠죠. 도구는 각자의 목적에 정확히 알맞는 것으로 사용해야 실수나 실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결국 이를 위해서는 우리는 좀 더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고 인지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내가 '어떤 목적'을 위해, 그에 맞는 '어떤 도구'를 사용했다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하죠.
너 왜 과일을 그 칼로 잘랐니? 이게 과도랑 비슷하고 과일 크기랑 맞아서 가장 좋다고 생각해서요. 라고 말하면 아주 논리적이고 정확한 설명이 됩니다. 한편으로는 또 당연한 이야기죠.
정확하게 목적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도구를 골라 해결하는 것이 가장 빠르면서 시간도 적게 걸리는 정답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 이용하면 상당한 난이도의 문제를 만들 수 잇다는거
-
06년생 반수생이고 이번수능은 확통 백분위 85나왔습니다 다음수능도 확통으로 할건데...
-
기하해요 2
^오^
-
ㅈㄱㄴ
-
아 심심해 개강했으면.
-
참 물2화2가 과탐 중에서는 재미 GOAT인 거 같은데 0
현장에서 국어 80분 수학 100분 영어 70분 한국사 30분동안 푸느라 기진맥진한...
-
큐브 마스터까지? ㄹㅇ기만이네
-
나같이 해도해도 경우으ㅔ 수를 못나누고 케이스 자체를 분류 목하믄 종족이 있음 ㅇㅇ...
-
이런 끔찍한 악몽이 다있냐
-
우리집은 자녀두명임 나랑 2살밑 동생이랑 아빠만 연봉 1억가까이되고 엄마는 거의...
-
여기서 부분분수를 놓치면..
-
미적하는 이유가 단지 고점때문이라면 양도 5배나 적은 확통하면서 탐구나 국어에...
-
님들이면 머함
-
이렇게 해서 6 9 수능 열역학은 다 맞았는데 현정훈 선생님이 표풀이 버리라고...
-
국어 교육청? 13
보통 국어 기출 푼다고 하면 n개년치 평가원 기출 풀던데 왜 교육청은 안 푸는...
-
어케 이렇게 모다지
-
중에 기하1등급이 더 많다는데 맞나요
-
일단 kold20불때 분할로 들어가야지
-
부분분수 분해 ㄹㅇ..
-
ㅈㄴ 모담
-
시저염 ㅠ
-
안녕하세여 8
금연은 힘드네요..
-
댓글 좋아요 많이 받으면 왕관 달리잖아요 잘보면 그 왕관 움직여요?!?!?!! 저만...
-
난 생각보다 내 공부를 못한다 내 수학 풀이는 ㅂㅅ이다 높은반은 나빼고 다 이과인거...
-
이거 뉴런에 새로 들어왔던데 자주 쓰는 공식인가요? 제가 공부할땐 없엇던거 같아서요
-
ㄹㅇ
-
기출분석 방법 중 많은 분들이 말씀해 주시는 게 각 선지들의 근거와 이유 같은...
-
학원에서 수능에서는 절대로 A 선지로 시작하는 문제가 없으니 B,C 선지 중에서...
-
https://youtube.com/shorts/uwy1kEbLaY0?si=nKGod...
-
씹덕겜 깔면 용량 부족함
-
도파 전역했구나 1
캬
-
바로 경제 공부 on ㅋㅋ
-
된다면 대성패스 가져갈 사람..00
-
연고대 논술 3회합격자, 연상논술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마지막...
-
짜증 지대루다 2
점수 원복됨
-
ㅈㄱㄴ
-
오르비 뱃지단들 같은 사람들이 오길 바란건 아니었다고요
-
메가 국어 커리 1
국어 인강 아직 고민중인데 문학은 김상훈쌤 듣고 싶고 독서는 김동욱쌤이나 김승리쌤...
-
현역들은 어떻게 살라고요 특히 나 같은 빡통노베는 어떻게 하라구우우웃요
-
다들 조금씩 외로운 게 있는 걸까요?
-
법사가 두명이나 0
정법쌤 문학쌤 조교되겠습니다
-
개웃기네 진짜...
-
피지컬을 키워야되나.....엉엉 이러면 전달력도떨어지는 것 같구
-
1. 정시는 면접 안보고 그냥 성적대로 대학에 합격하는가? 2. 사탐공대가...
-
위 글은 PDF방에 올라온 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본인이 쓴 글이 아닌...
-
밤에 다시 와야할듯.
-
실장님이 당황해함 머리만 세시간은 한 듯.. 다음부턴 시그니처말고 그냥 일반 펌...
-
바쁘네요 4
분명 아싸라서 친구 만나는 일정은 하나도 없는데 과외 병원 등등.. 달력이 꽉차있어요
-
LCK Cup 결승..? 일단 한화는 걍 대놓고 잘하고... (DK VS...
-
ㅈㄱㄴ
이분 글 읽으면 읽을수록 정말 똑똑하신 분인게 느껴짐..잘읽었읍니다 리스펙 bb

책은 언제 나올까요나오길 간절히 바랍니다
별 의미 없지만 제목을 한 번더 압축해봤씁니다
‘언어, 표현의 도구’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