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도치구문 이해(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788543
영어 문장에서의 도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어라는 언어가 ‘자연스럽다’고 보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흔히 5형식이라고 부르는 기본적인 구조에 잘 나타나 있는데요, 영어 문장은 <중간강세부>-<약세부>-<강세부>의 구조를 가장 일반적이고 자연스럽다고 봅니다.
| 중간강세부 | 약세부 | 강세부 |
1형식 | S | V | 부사/전치사구 |
2형식 | S | V | C |
3형식 | S | V | O |
4형식 | S | V+I·O | D·O |
5형식 | S | V+O | O·C |
문장의 처음에 서술이나 묘사의 대상(Subject)이 나오는데, 주목의 대상이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은 편이지만 가장 결정적인 부분은 아닙니다. 뒤이어 동사로 서술이나 묘사를 시작하는데, 서술이나 묘사 과정의 시작 부분에 불과해서 보통 아주 약하게 발음합니다. 문장의 마지막에 서술이나 묘사의 결정적인 부분이 위치하는데, 보통 가장 중요한 정보, 혹은 새로운 정보가 처음으로 제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강하게 발음합니다. 결국 영어 문장에서 가장 강조되어 발음되는 부분은 마지막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영어 문장에서의 도치는 ‘주어’로 시작하는 이런 일반적 구조에 변화가 생길 때 발생하는데, 1형식과 2형식 문장에서 ‘주어’가 가장 중요한 혹은 가장 주목해야 할 새로운 정보여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해야 할 때입니다. 이렇게 되면 부사나 보어가 문장의 첫 부분에 나오고, 그 다음에 동사, 마지막에 주어가 나오는 형태로 도치가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주어’가 가장 중요한 정보 혹은 새로운 정보여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할 때에는 보통 주어에 추가적인 설명이 붙어서 주어부가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장 약하게 발음되며 문장의 중간에 위치합니다.
| 중간강세부 | 약세부 | 강세부 |
1형식 | 부사/전치사구 | V | S |
2형식 | C | V | S |
<1형식, 2형식 문장에서의 도치>
1. Just outside the ruins / is / a fortress (surrounded by high walls and stately trees).
2. Near my house / is / a tiny dry-cleaning shop (run by a chatty old lady).
3. Common to these reforms / is / the need (to increase the rigor of the high school experience).
4. Popular at this time / were / stories of ill-fated lovers (who commit suicide in despair because of the love they couldn’t attain).
문법 참고서에서 ‘부사나 보어를 강조하면 도치된다’고 하지만 이 설명은 이치에 맞지는 않습니다. 부사나 보어는 보통 위치하는 마지막 자리가 가장 강하게 발음되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보통 때와 다른 위치에 있게 되면 주목하게 되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엄연히 가장 강하게 발음되는 위치는 문장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수동태 문장에서도 도치의 원리는 같습니다. 역시 ‘주어’가 가장 중요한 혹은 가장 주목해야 할 새로운 정보여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해야 할 때 도치가 발생합니다.
<수동태 문장에서의 도치>
1. In the gallery / were hung / three paintings (not ordinarily displayed for public viewing).
2. On some of your faces / was written / the answer 'No' // and / on some of them / was / the answer 'Yes.' His was a 'Yes' face.
3. In the second place / were seated / nice-looking chefs, (followed by plumbers).
4. On the top of the buoy / was placed / a bell (which would ring out loud and clear when the waves dashed against it).
이런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5명이 여행을 가기 위해 역 앞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3명은 이미 도착했고 아직 Jason과 Mary가 오지 않았습니다. 잠시 후 Mary가 오고 있는 것을 한 사람이 봅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There comes Mary!’ 이 상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전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정보는 둘 중에 누가 오느냐, 즉 ‘Mary’가 온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Jason만 오면 됩니다. 그런데 이제 Jason은 더 이상 중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누가 아직 오지 않았는지 모두 다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드디어 Jason이 옵니다. ‘There he comes!’ 이제는 Jason이 ‘온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보입니다.
다음의 경우를 비교해 보십시오.
A: Today I feel very tired. (A가 피곤하다고 느낀다고 말합니다.)
B: So do I. (B가 자기도 피곤하다고 말합니다.)
- 이 경우 A만 피곤한 것이 아니라 B도 역시 자기도 피곤하다는 뜻을 전달해야 하므로, 가장 중요한 정보는 B 자신 즉 ‘나’입니다. 그래서 ‘I’가 가장 마지막에 위치합니다.)
A: You look very tired today. (A가 B에게 B가 피곤해 보인다고 말합니다.)
B: So I am. (B가 자기가 진짜로 피곤하다고 말합니다.)
- 이 경우 B는 진짜로 자기가 ‘피곤하다’는 의미를 전달해야 하므로, 정말로 ‘그렇다’는 긍정의 의미를 강조해서 말해야 합니다. 그래서 ‘am’이 가장 마지막에 위치합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Yes, I am. 또는 Yes, I do.라고 말할 때 am이나 do가 마지막에 오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앞에서 동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장 약하게 발음되고, 문장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했는데, 위의 ‘There he comes!’라고 말하는 경우와 이 경우가 바로 그 특별한 경우입니다.
대동사+주어>
1. She doesn’t like the dog // and neither do I.
2. It was the end of a long, tiring day at Walt Disney World. The children were overstimulated and annoyed, // and so were the parents.
3. As a social organization moves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 so does the organization (through which it educates its children).
4. Environmental problems do not stop at national borders, nor do the natural disasters.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영어 문장의 의 원리 중 ‘영어 문장은 일반적으로 가장 약한 소리 부분을 가운데에 두고, 조금 강한 소리 부분은 맨 앞에, 가장 강한 소리 부분은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구조를 자연스럽다고 본다’는 ‘강약의 원리’를 중심으로 도치의 원리를 살펴보았습니다. 대학교 때 교수님들의 강의부터, 이런 저런 언어학자들의 강연들에서 주워듣고, 이 책 저 책, 이런 저런 논물들에서 읽으며 오랜 세월동안 공부하며 나름대로의 체계를 세우려 노력한 결과물인지라 소스를 정확히 밝히기 어려움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에도 도치구문 이야기를 조금 더 이어 가 보겠습니다. 비교절에서의 도치와 <전치사+관계대명사>-절에서의 도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반수해서 나갈까봐 걱정이 된다" 교수님 저 미필삼수에요... 이제 못 나가......
-
대놓고 보는데 싫어할꺼면 왜 내놓고 다니는거지
-
정시 지원할때 2
작년컷 기반으로 지원하나요.? 매년 컷 달라지지 않나
-
오랜만에 6
들어왔군요 이렇게 서서히 오르비와 멀어지는건가..
-
취업 잘하는줄알았음 요즘 인스타 보니까 그것도 아니더라구요
-
탐구 선택 0
지금 지구 1 버리고 화학 1 가는건 어떤가요 2학년 때 물화생지 다 해서 유베임
-
ㅈ돾다
-
차라리 외향적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고 서로 잘 융화되는 사람이 더 낫다는...
-
맥주 마신상태에서 소주는 힘드네 ㅡㅡ
-
작년에 불국어 찌라시 ㅈㄴ돌앗는데 막 22독서에 24문학나온다 3년주기설이다...
-
후기좀
-
12일이면 손해 메꿀수있다 가즈아
-
오르비 잘자요
-
한완수 하 1
난이도 많이 어렵나요? 한완수 끝나고 기코하려고 했는데 기코 먼저하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싶어서..
-
QnA가 진짜 좋음 한줄 질문 남겼는데 답변을 거의 3천자 넘게 써주심 질문에...
-
지역인재 2
맛잇게 먹어야지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무슨 생각함? 부끄럽게 생각하고 있고 금전적 문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는데 오늘...
-
정시 라인 질문 11
언미과탐 수능때 94 100 1 100 98 이면 수도권 의예 이상으로 진입 가능한가요?
-
쥰내 힘드네 0
43분만 더 하면....!
-
하... 내 평생 문과 직업을 가진다는 생각을 안 했는데 수능 한정 문과가 잘 맞는...
-
저녁에는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
가장 좋았던 단원이나 파트 어디임요??
-
그러면 우스워보이려나
-
하하
-
현역때는 200일채 안남았을때도 아직 시간 많다 충분히 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을...
-
고양이 핥기 3
츄르르륿
-
흠
-
COLDPLAY 0
GOAT 시험 5일 전 이었다
-
아 진짜 영어 스페인어 문학 어떡하지 ㅋㅋㅋ
-
오늘은 수학만 품 ♤: 계산 많이 절어서 시험지가 겁나 더러움. ♧: 말로만 듣던...
-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꽤나 쉬웠음 그나마 특이점이라고 할만한건 6번 국립공원 무등산...
-
이미지 미친개념듣고 김범준 스블 들으면 진짜 미적 다맞을수잇음 5
찐임 이미지는 특이한상황 위주로 깊게 머릴안써도 바로바로 보이는 그게 잇음...
-
보정 기준이요 ㅇㅇ
-
사문 38인데 0
보정 2 가능? 2번틀림 ㅠㅠ
-
오늘 공부 끄트 2
머리가 무거워요
-
난 입시 따위가 중요한 게 아니야! 내 자신의 발전과 성취로 고능해지겠어! 라는...
-
무슨 책이 26000원이냐 v올인원도 2만원인데 하... 어차피 단어공부는 책...
-
ㅈㄱㄴ 요즘 20대 여자들 40대 남자랑 결혼 꽤 한다는데 연예인 같은 유명인 결혼...
-
현역 언미물1지1 정시 미적: 수분감 마지막 단원, 뉴런 대기중 탐구: 기출 끝,...
-
뇌가 타는 기분 오랜만이야
-
솔직히 작년에도 입실갔었는데 올해도 갈수도 있음 입실 재밌음 근데고대에 아는 인간이없음
-
내가 치는 과목 기준으로 세지 > 지구 > 언매 > 한국사 >> 독서 > 영어 >>...
-
현역들아 0
내신 기간 언제부터 언제까지야??
-
지인선N제가 드릴 뺨 13대 후려갈기고도 남을 거 같은 난이도군요 자존감 떨어짐
-
2022년 7월: https://orbi.kr/00057971264 2022년...
-
98 96 1 98 98 이면 서연고 다가나요?
도치모의고사 어려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