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도 수학 점수가 안 오를 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765000
수학 -> 개념 탄탄히 하고, 문제풀이 양도 늘리고... 뭐 등등 즉, 공부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간을 재고 문제를 풀 때 생각보다 점수가 안나오고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면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실전 연습"을 해야합니다.
1. 풀이과정 반듯하게 쓰기.
-> 저는 풀이과정을 그냥 지저분하고 난잡하게 쓰는 스타일이였습니다.
풀이과정을 또박또박 반듯하게 쓰면 논리과정도 더 잘보이고 검토하기도 편합니다.
실수할 가능성도 적고요.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연습할때 문제지 말고 노트에다가 풀이과정을 쓰는 것 보다 실제 평가원 시험지 여백을 이용하여 연습하는걸 추천드립니다.
2. 무턱대고 풀지 말것.
-> 문제를 읽으면서 천천히 음미하세요. 머릿속에 상황을 그리시고 어떻게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생각해 본 후
풀이를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무턱대고 풀다가 괜히 지웠다 썼다 지웠다 썼다만 반복하다 시간만 날리게 됩니다. (준킬러 문제정도부터는 이렇게 하는게 좋아요)
3. 시간 배분
-> 3점짜리 문제까지는 몇분, 21,29,30번 제외하고는 몇분...... 이런거 저는 비추합니다.
수능 때는 절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면 압박감과 긴장감은......ㄷㄷ합니다.
그냥 제 생각은 처음부터 차례대로 차분하고 꼼꼼히 푸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시간 구애받지 않고 그냥 맞출 수 있는건 다 맞추자라는 생각으로 풉시다. 시간을 단축시키려다가 실수가 생길 수 있고,
실수 몇개만 해도 크리티컬하기 때문에 천천히 정확히 푸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검토하지말고 그냥 한번에 완벽하게 푸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초록깃발=안정 노란깃발=소신 빨간깃발=스나 이렇게 해석해도됨? 그리고 왜...
풀이과정 진짜 인정합니더 물론 저는 내신이긴 하지만 풀이과정 똑바로 쓴이후 3에서 1까지 수직상승했어요
저 올해 수능 29번 원뿔 부피 1/3안해서 틀림....ㅠㅠ ㄹㅇ 연습해야됨
2번 ㄹㅇ공감 시간안에 빠르게 푸는것도 중요한데 일단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는게 문제를 능동적으로 푸는데에 있어서 중요한듯
+안풀리면 거르기 수능때 21 ㄷ 하루종일 풀고 못풂 29 3분만에 높이만 구하면 되는 단계까지왔는데 종침 그냥 29를 풀었으면 어땠을까?